[국내논문]Arabinoxylane과 PSP의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 효과 검증 The Effects of the Arabinoxylane and the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the Antiallergy, Anticancer원문보기
본 연구에 사용한 아라비녹실란화합물은 미강에서 추출한 헤미셀룰로즈에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에서 분리한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식물성다당류이며, PSP(polysaccharidepeptide)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Coliolus versicocor Sov-1의 균사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얻은 단백다당체 성분이다. 이들에 대한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등에 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장세포의 B cell과 T cell에 arabinoxylane과 PSP의 항체생성과 세포활성능을 조사한 결과 PFC형 성은 10 ∼ 15%, RFC검출은 10 ∼ 30% 증가하였다 복강침출세포로부터 대식세포의 탐식능 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PSP는 약 18%, arabinoxylane은 22% 정도 증가하였다. S-180 고형암에 의한 항암실험에서 arabinoxylane은 66.2%(p<0.01), PSP는 49.0%(p<0.05)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효과는 PSP, arabinoxylane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다.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군은 40, ara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경감되었으며, arabinoxylane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혈중 histamine 함량도 PCA와 유사한 결과로 arabinoxylane군과 PSP군이 히스타민 함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아라비녹실란화합물은 미강에서 추출한 헤미셀룰로즈에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에서 분리한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식물성다당류이며, PSP(polysaccharide peptide)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Coliolus versicocor Sov-1의 균사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얻은 단백다당체 성분이다. 이들에 대한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등에 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장세포의 B cell과 T cell에 arabinoxylane과 PSP의 항체생성과 세포활성능을 조사한 결과 PFC형 성은 10 ∼ 15%, RFC검출은 10 ∼ 30% 증가하였다 복강침출세포로부터 대식세포의 탐식능 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PSP는 약 18%, arabinoxylane은 22% 정도 증가하였다. S-180 고형암에 의한 항암실험에서 arabinoxylane은 66.2%(p<0.01), PSP는 49.0%(p<0.05)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효과는 PSP, arabinoxylane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다.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군은 40, ara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경감되었으며, arabinoxylane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혈중 histamine 함량도 PCA와 유사한 결과로 arabinoxylane군과 PSP군이 히스타민 함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abinoxylane and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the immune cell functions. Both arabinoxylane and PSP increased plaque forming cell (10-15%) and rosette forming cell (10-30%) formation. Stimulation of macrophage with PSP (18%) and ...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abinoxylane and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the immune cell functions. Both arabinoxylane and PSP increased plaque forming cell (10-15%) and rosette forming cell (10-30%) formation. Stimulation of macrophage with PSP (18%) and arabinoxylane (22%) resulted in increased phagocytic effects. Both arabinoxylane and PSP induced the tumor suppressive effect in mice injected sarcoma-180 cell intracutaneously. When the mice injected intraperitoneal cavity with sarcoma 180 cells, survival ratio was increased in the mice fed on arabinoxylane and PSP. The ratio of PCA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mice fed on PSP, especially fed on arabinoxylane than in the control mice. The concentrations of blood histamine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mice fed on arabinoxylane and PS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pacity of arabinoxylane and PSP seems to act as a potent immunomodulator causing augmentation of immune cell activity, and with the absence of notable side-effects, arabinoxylane and PSP could be used as a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having possible therapeutic effects against immunological disorders.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abinoxylane and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the immune cell functions. Both arabinoxylane and PSP increased plaque forming cell (10-15%) and rosette forming cell (10-30%) formation. Stimulation of macrophage with PSP (18%) and arabinoxylane (22%) resulted in increased phagocytic effects. Both arabinoxylane and PSP induced the tumor suppressive effect in mice injected sarcoma-180 cell intracutaneously. When the mice injected intraperitoneal cavity with sarcoma 180 cells, survival ratio was increased in the mice fed on arabinoxylane and PSP. The ratio of PCA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mice fed on PSP, especially fed on arabinoxylane than in the control mice. The concentrations of blood histamine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mice fed on arabinoxylane and PS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pacity of arabinoxylane and PSP seems to act as a potent immunomodulator causing augmentation of immune cell activity, and with the absence of notable side-effects, arabinoxylane and PSP could be used as a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having possible therapeutic effects against immunological disord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리고, polysaccharide- peptide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운지버섯 중에서 CovT이라 는 특수 균종의 균사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얻은 단백 다당체 성분으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T0).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로 수입되어 기능성 식품의 원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arabinoxylane과 polysaccharide-peptide의 면역세포 활성능력, 항암 기능 활성 능력 및 알레르기 억제 능력을 비교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2)The vahjes represent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제안 방법
면역세포의 항체생성능 및 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생쥐의 비장 세포를 이용하였다. 먼저 생쥐의 비장을 분리한 다음, 핀셋이나 메 쉬를 이용하여 단일 세포 부 유액을 만들었다. 단일 세포 부유액을 RPMI1640 배 양액으로 3회 세척한 다음 plaque forming cell 형 성과 rosette forming cell의 검출을 위한 실험에 사용하였다(11).
Rosette forming cell (RFC)의 검출: 비장 세포의 ro- sette형성 세포의 검사는 “Method in immunology”에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13). 즉, 비장 세포 부유액(2x1V cell/mL) 200 UL 와 1% SRBC 부유액 200 UL를 시험관에 넣고 혼합하여 l, 700xg에서 원심 분리한 후, 이것을 다시 부유 시켜 혈구 계산 반에 주입하여 RFC를 검 경 관찰하였다. 현미 경상에서 비장 세포에 SRBC가 3개 이상 부착한 세포를 RFC로 판정하여 다음 공식에 준하여 계산하였다.
즉, 비장 세포 부유액(2x1V cell/mL) 200 UL 와 1% SRBC 부유액 200 UL를 시험관에 넣고 혼합하여 l, 700xg에서 원심 분리한 후, 이것을 다시 부유 시켜 혈구 계산 반에 주입하여 RFC를 검 경 관찰하였다. 현미 경상에서 비장 세포에 SRBC가 3개 이상 부착한 세포를 RFC로 판정하여 다음 공식에 준하여 계산하였다.
S-180은 8~12주령 된 ICR 생쥐의 복강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즉, 복수암에 걸려서 복부가 팽만한 생쥐의 복강 속으로 일회용 1 mL 주사기로 찔러 노란색의 복수액 1 mL를 채취한 후, 그 원액을 0.1 mL씩 ICR 생쥐의 복강 속에 접종하고 배양하면서 13일마다 계대하였다. ICR 생쥐의 복강에 in vivo 계대 중인 S-180 세포를 멸균된 주사기로 채취하였다.
그 암세포들을 MEM 배지로 희석하여 S-180 세포의 농도가 4X107 cells/mL 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희석한 S-180 세포액을 50 UL(2xi06celis)^ 8마리의 ICR 마우스(수컷, 6주령, 28±2 g)의 우측 서혜부에 피하 이식한 후 실험 시료를 경구투여하였다. 종양세포 이식 29일째 되는 날 치사 시켜 생성된 고형암을 적출하고 그 무게를 측정한 후 다음 식에 따라 종양성 장저 지 백분율(tumor growth inhibition ratio, I.
이와 같이 희석한 S-180 세포액을 50 UL(2xi06celis)^ 8마리의 ICR 마우스(수컷, 6주령, 28±2 g)의 우측 서혜부에 피하 이식한 후 실험 시료를 경구투여하였다. 종양세포 이식 29일째 되는 날 치사 시켜 생성된 고형암을 적출하고 그 무게를 측정한 후 다음 식에 따라 종양성 장저 지 백분율(tumor growth inhibition ratio, I.R.■- %)을 계산하였다 (14).
이와 같이 희석한.S-180 세포액을 0.1 mL(lx Hfcells)씩 ICR 생주] (수컷, 6주령, 28±2g)의 복강에 이식한 후부터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시료 용액을 경구투여하고 20일 째부터 5일 간격으로 40일까지의 생존 여부를 관찰하여 마우스의 생존 수를 확인하고 생존 백분율(survival ratio,S.R.: %)을 구하였다(15).
알레르기 항혈청 조제 : Egg albumin을 알레르기 항원으 로 사용하였다. 즉, 2 mg/mL 농도의 항원 용액과 동량의 complete freuncTs adjuvant# 혼합해서 유화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유화한 것을 마우스 좌우 대 퇴 부에 100 PL씩 피 하 주사하였다. 알레르기 유발은 최초 알레르겐 주사 후 2주째에 한번 더 접촉시켜 형성되었다.
알레르기 유발은 최초 알레르겐 주사 후 2주째에 한번 더 접촉시켜 형성되었다. 각각의 약물은 채혈 15일 전부터 CON(0.4 mL), PSP(1.5 mL), ARA(1.5 mL) 투여한 다음 채혈해서 PCA 실험과 혈중 histamine을 측정하였다.
PCA(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반응 : PCA 측정은 Kind와 Maedel 방법에 준했다(16). 항혈청 중 IgE 항 체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6~8주령 rats의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10배 희석 항혈청을 2배 단계 희석하여, 이 희석 항혈 청액 0.1 mL씩을 피 내 주사하였다. 항혈청 액을 피내주사한 24시간 후에 egg-albumin + 1% Evans blue dye를 꼬리 정맥에 주사하고 3시간 후에 PCA에 의해서 생성된 푸른 반점을 직경 5 mm 이상인 것을 양성으로 판정하여 측정하였다.
0 mL 를 넣고 혼합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BuOH-chloroform 용매로 추출한 다음 0.2% O-Phthal aldehyde(OPT) 발광제 로 발광한 것을 fluorometeric spectrophotometer# 이용하여 여기 파장 360 nm, 형광 파장 440 nm 측정하였다.
The samples was administered after 24 hours tumor cell inoculation and 2 times daily for 14 days.
알레르기의 유발은 알레르기 항원에 의해서 마크로 파지, T-세포, 사이토카인, IgE, 비만세포, 히스타민, 등이 관여해서 일련의 연속된 반응으로 일으나며, 히스타민의 근육수축과 혈관 확장 작용의 결과 나타나는 증상이다. PCA titer는 IgE의 함량을 나타내는 역가로 실험군의 혈청으로부터 항 egg-albumin IgE의 역가를 측정하기 위해 단계희 석 한 혈청 0.1 mL씩을 등 부위 피내에 피동성으로 감작한 rat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able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PCA 역가와 시료를 투여한 실험군의 역가로 본 알레르기 억제 효과는, 대조군의 PCA 역가는 80인데 비해서 arabinoxylane 투여군은 20, PSP 투여군은 40으로 1/2 ~ 1/4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1 mL씩을 피 내 주사하였다. 항혈청 액을 피내주사한 24시간 후에 egg-albumin + 1% Evans blue dye를 꼬리 정맥에 주사하고 3시간 후에 PCA에 의해서 생성된 푸른 반점을 직경 5 mm 이상인 것을 양성으로 판정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histamine 측정 : Histamine 측정은 Shore 등(17)의 방법에 따라 시행했다.
대상 데이터
실험에 사용한 시료인 arabinoxylanefARA)^]- polysac- charide-peptide(PSP)는 (주)이롬라이프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대한 실험동물센터에서 특정 병원체 부재 (spe- cific pathogen free) Balb/c 생쥐오]", 국립보건원에서 분양받은 8~10주령의 ICR계 생쥐를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 상자(18x20 cm)당 6개 체의 밀도를 유지하며 사용하였다. 이들 생쥐는 2주일간 실온에서 물과 일반고형 사료(삼양유지사료(주))를 충분히 자유 공급하고, 명암주기는 12시간으로 조절하면서 가능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사육하면서, 8~12주 사이의 생쥐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대한 실험동물센터에서 특정 병원체 부재 (spe- cific pathogen free) Balb/c 생쥐오]", 국립보건원에서 분양받은 8~10주령의 ICR계 생쥐를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 상자(18x20 cm)당 6개 체의 밀도를 유지하며 사용하였다. 이들 생쥐는 2주일간 실온에서 물과 일반고형 사료(삼양유지사료(주))를 충분히 자유 공급하고, 명암주기는 12시간으로 조절하면서 가능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사육하면서, 8~12주 사이의 생쥐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장 세포 분리
면역세포의 항체생성능 및 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생쥐의 비장 세포를 이용하였다. 먼저 생쥐의 비장을 분리한 다음, 핀셋이나 메 쉬를 이용하여 단일 세포 부 유액을 만들었다.
먼저 생쥐의 비장을 분리한 다음, 핀셋이나 메 쉬를 이용하여 단일 세포 부 유액을 만들었다. 단일 세포 부유액을 RPMI1640 배 양액으로 3회 세척한 다음 plaque forming cell 형 성과 rosette forming cell의 검출을 위한 실험에 사용하였다(11).
고형암의 성장 억제 실험 : 생쥐 복수 암세포인 sarcoma 180(5-180)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았다. S-180은 8~12주령 된 ICR 생쥐의 복강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고형암의 성장 억제 실험 : 생쥐 복수 암세포인 sarcoma 180(5-180)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았다. S-180은 8~12주령 된 ICR 생쥐의 복강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즉, 복수암에 걸려서 복부가 팽만한 생쥐의 복강 속으로 일회용 1 mL 주사기로 찔러 노란색의 복수액 1 mL를 채취한 후, 그 원액을 0.
1 mL씩 ICR 생쥐의 복강 속에 접종하고 배양하면서 13일마다 계대하였다. ICR 생쥐의 복강에 in vivo 계대 중인 S-180 세포를 멸균된 주사기로 채취하였다. 그 암세포들을 MEM 배지로 희석하여 S-180 세포의 농도가 4X107 cells/mL 되게 하였다.
알레르기 항혈청 조제 : Egg albumin을 알레르기 항원으 로 사용하였다. 즉, 2 mg/mL 농도의 항원 용액과 동량의 complete freuncTs adjuvant# 혼합해서 유화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유화한 것을 마우스 좌우 대 퇴 부에 100 PL씩 피 하 주사하였다.
데이터처리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as determined by Student's t-test.
이론/모형
Plaque forming cell(PFC) 검출 : 항체 생산 세포의 검색은 Cunningham과 Szemberg(12)의 방법에 의하며, 약물 투여는 10일간 행하고 6일째에 SRBC를 1 X 109 cells/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생쥐의 복강에 0.2 mL 주사하였다. 4일 후 비장을 적출하여 세포 부유액으로 만들어 3회 세척 후, lx 106 cell/mL이 되 도록 조정한 비장 세포 200 虬와 10% SRBC 36 JiL, complement 21 J1E, 그라고 5% FCS-HBSS액 143 UL 를 혼합하여, 제 작한 Cunningham chamber에 넣어 37"C in- cubator에서 1시간 배양하면 항체 생산 세포 주위에 적혈구가 용해된 투명한 용혈반이 생성된다.
Rosette forming cell (RFC)의 검출: 비장 세포의 ro- sette형성 세포의 검사는 “Method in immunology”에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13). 즉, 비장 세포 부유액(2x1V cell/mL) 200 UL 와 1% SRBC 부유액 200 UL를 시험관에 넣고 혼합하여 l, 700xg에서 원심 분리한 후, 이것을 다시 부유 시켜 혈구 계산 반에 주입하여 RFC를 검 경 관찰하였다.
PCA(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반응 : PCA 측정은 Kind와 Maedel 방법에 준했다(16). 항혈청 중 IgE 항 체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6~8주령 rats의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10배 희석 항혈청을 2배 단계 희석하여, 이 희석 항혈 청액 0.
항혈청 액을 피내주사한 24시간 후에 egg-albumin + 1% Evans blue dye를 꼬리 정맥에 주사하고 3시간 후에 PCA에 의해서 생성된 푸른 반점을 직경 5 mm 이상인 것을 양성으로 판정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histamine 측정 : Histamine 측정은 Shore 등(17)의 방법에 따라 시행했다. 헤파린이 처리된 시험관에 채혈한 마우스의 혈액 0.
성능/효과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 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 군은 40, ara- 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 군에 비하여 다소 경 감되 었으며 , arabinoxylane 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혈중 histamine 함량도 PCA와 유사한 결과로 arabinoxylane 군과 PSP 군이 히스타민 함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면양 적혈구로 면역시킨 생쥐에 arabinoxylane 과 PSP를 10일간 경구 투여한 후생 쥐 복강 상재성 대식세포를 회수하여 각 시료가 항체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비장 세포의 PFC 형성을 통한 항체 생 성능은 대조군(245±20/5乂1。6 cell)에 비하여 PSP 투여 그룹은 272 + 23/5xl0fi cell 개로 11%, arabinoxylane 투여군은 281+24/5X106 cell 개로 14% 항체 생성을 증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 장세 포에 Rosette형 성을 관찰한 결과는 대조군은 비장 세포 1 X107^- 102±14개의 rosette를 형성하였으며 , PSP 투여군은 125±10개로 9%, arabinoxylane 투여군은 133 ±14개로 30% 대조군에 비하여 증강된 유의성 (p<0.
비장 세포의 PFC 형성을 통한 항체 생 성능은 대조군(245±20/5乂1。6 cell)에 비하여 PSP 투여 그룹은 272 + 23/5xl0fi cell 개로 11%, arabinoxylane 투여군은 281+24/5X106 cell 개로 14% 항체 생성을 증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 장세 포에 Rosette형 성을 관찰한 결과는 대조군은 비장 세포 1 X107^- 102±14개의 rosette를 형성하였으며 , PSP 투여군은 125±10개로 9%, arabinoxylane 투여군은 133 ±14개로 30% 대조군에 비하여 증강된 유의성 (p<0.05) 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arabinoxylane과 PSP는 B세포 활성화, T세포 증식 및 PEC의 면역 세포 활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arabinoxylane0] PSP보다 항 체생성능, T 세포 증식 능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05) 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arabinoxylane과 PSP는 B세포 활성화, T세포 증식 및 PEC의 면역 세포 활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arabinoxylane0] PSP보다 항 체생성능, T 세포 증식 능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46 g이었다. Table 2, Table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투여에 따른 고형암괴의 억제는 실험군에 따라 차이가 있어, arabinoxylane 투여군은 암괴무게가 0.51 ±0.34 g로 대조군에 비해 66.2%, PSP 투여군은 L15±1O4 g로 49.0 %로, 암괴 무게가 감소하는 함암효과를 보였다.
체중의 변화는 고형암 유발 10여 일째부터 PSP 및 ARA 투 여군이 대조군과 현저한 차이를 보여, PSP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2.52 g 감량을 보였고, ARA 투여군은 3.82 g 감량을 보였다. 이는 고형종양괴의 무게 차이로 사료되며, PSP군 보다 ARA 투여군이 우세한 결과는 고형 암괴 무게만을 측정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Lentinus edoses 의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단백다당류가 sarcoma-180에 대해서 억제 효과가 뛰어났다고 보고하였다. 이상과 같이 고등균류의 자실체나 균사 배양물에서 수종의 다당류 또는 단백다 당류가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소재로부터 회수한 polysaccharide protein를 면역 증강 제 혹은 항암 보조제로 실용화가 기대되며 건강식품, 의약품, 의약품보조제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복수암 유발에 따른 생존율 결과로 PSP와 arabinoxylane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생존일수가 길어지는 경향을 보여 복수암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Table 4와 같이 20일째에서 생존률이 대조군이 50%인데 비해 PSP 투여군과 arabinoxylane 투여군은 100%의 생존률을 보였고, 30일째에서는 대조군에서 생존률이 0%인데 비해서 PSP 투 여군은 38% 생존률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 시료들의 항암 억제 효과 양상이 고형암과 복수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이들 시료들의 항암 억제 효과 양상이 고형암과 복수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고형암에서는 arabinoxylane이 PSP에 비해 양호한 효과를 보인 데 비해서 복수암에서는 이와 상반된 결과로 PSP 투여가 생존율을 더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1 mL씩을 등 부위 피내에 피동성으로 감작한 rat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able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PCA 역가와 시료를 투여한 실험군의 역가로 본 알레르기 억제 효과는, 대조군의 PCA 역가는 80인데 비해서 arabinoxylane 투여군은 20, PSP 투여군은 40으로 1/2 ~ 1/4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Arabinoxylane0! PSP에 비해 IgE 생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PCA 역가와 시료를 투여한 실험군의 역가로 본 알레르기 억제 효과는, 대조군의 PCA 역가는 80인데 비해서 arabinoxylane 투여군은 20, PSP 투여군은 40으로 1/2 ~ 1/4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Arabinoxylane0! PSP에 비해 IgE 생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istaminee 혈관확장과 근육수축으로 알레르기 증상의 직접 반응물질로, Table 6은 실험군의 혈중 histamin 함량 결과 PCA 반응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대조군이 2.978 ng/mL, arabinoxylane 투여군이 2.223 ng/mL로 histamine 함량을 저 하시 켰고(25.4%), PSP 투여군은 2.785 ng/ mL(6.5%)로, 항 histamine 작용을 나타내어 arabinoxylane 은 상당한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등균류의 항알레르기에 관한 연구는 Hirokazu 등(27)의 Asarum/brbes汀에 대한 항과민성 연구, Yiu와 Ushio(28) 는 Aurantii fructus 등 전통의 약 천 연식 물 소재 의에 탄올과 물추출물로부터 PCA 억제와 히스타민 유리 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주어 항알레르기 유의한 결과의 소재 20여 종을 탐색 보고한 바 있다.
이는 cAMP phosphodiesterase 억제의 결과 세포 내 cAMP 함량의 증가로 결국 히스타민 유리가 억제될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30). 단백 다당류 계통이 항알레르기 효과는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면역세포 활성화와 항알레르기성 사이토카 인의 활성화의 결과로 상대적으로 IgE의 생성 및 접착 억제와 히스타민 유리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장 세포의 B cell과 T-cell에 arabinoxylane고]" PSP의 항체생성과 세포 활성 능을 조사한 결과 PFC 형성은 10~ 15%, RFC 검출은 10-30 % 증가하였다. 복강 침 출세 포로부터 대식세포의 탐식능 효과는 대조 군에 비하여 PSP는 약 18%, arabinoxylanee 22% 정도 증가하였다. S-180 고형암에 의한 항암실험에서 ara- binoxylanee 66.
복강 침 출세 포로부터 대식세포의 탐식능 효과는 대조 군에 비하여 PSP는 약 18%, arabinoxylanee 22% 정도 증가하였다. S-180 고형암에 의한 항암실험에서 ara- binoxylanee 66.2%(p<0.01), PSP는 49.0%(p<0.05)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 효과는 PSP, arabinoxylane*]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 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 명연 장 효과가 나타났다.
05)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 효과는 PSP, arabinoxylane*]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 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 명연 장 효과가 나타났다.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 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 군은 40, ara- 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 군에 비하여 다소 경 감되 었으며 , arabinoxylane 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 효과는 PSP, arabinoxylane*]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 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 명연 장 효과가 나타났다.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 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 군은 40, ara- 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 군에 비하여 다소 경 감되 었으며 , arabinoxylane 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혈중 histamine 함량도 PCA와 유사한 결과로 arabinoxylane 군과 PSP 군이 히스타민 함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복수암 유발에 따른 생존율 결과로 PSP와 arabinoxylane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생존일수가 길어지는 경향을 보여 복수암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Table 4와 같이 20일째에서 생존률이 대조군이 50%인데 비해 PSP 투여군과 arabinoxylane 투여군은 100%의 생존률을 보였고, 30일째에서는 대조군에서 생존률이 0%인데 비해서 PSP 투 여군은 38% 생존률을 보였다.
후속연구
특히, 일본은 기능성 식품을 21세기의 식품 산업계를 주도할 품목으로 예시하고 있으며, 미국도 새로운 산업으로 designer foods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국내외의 상황을 고려할 때, 유용 천연자원 개발은 국내의 환경에 맞게 산학연의 긴밀한 협동 연구로 새로운 소재의 탐색과 함께, 새로운 제품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1-4).
이상과 같이 고등균류의 자실체나 균사 배양물에서 수종의 다당류 또는 단백다 당류가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소재로부터 회수한 polysaccharide protein를 면역 증강 제 혹은 항암 보조제로 실용화가 기대되며 건강식품, 의약품, 의약품보조제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 사용한 아라비녹실란화합물은 미 강에서 추출한 헤 미셀룰로즈에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 분리한 효소를 작용 시켜 생성된 식물성 다당류이며, PSP(polysaccharide- peptide)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Coliolus versicocor Sov-l-eJ 균사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얻은 단백 다당체 성분으로써, PSP와 arabinoxylane이 면역 세포 활성과 ST80 세포항 억제 효과로 볼 때 면역강화 소재와 특수식이용노약자, 회복 기환 자, 면역 결핍자용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또한,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시료에 따라 효과의 차이는 있으나 PCA값의 억제, histamine 저 하능은 Coombs와 gell 등의 분류에 의한 I형 알레르기 반응의 억제 작용에 대해서 기대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30)
Hirokazu O. 1994. Current topics in allergy. J Trad Sino-Japanese Med 15: 11-15.
Dibner M. 1995. Biotechnology Guide USA. Institute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Masatoshi K. 1994. Kampo-therapy of child asthma. J Trad Sino-Japanese Med 15: 16-22.
Ikuo K, Seizaburo K, Teruo Y, Masahiko M. 1981. Antitumor activity of lactobacillus casei in mice. Gann 72: 517-523.
Ghoneum M. 1999. NK immunorestoration of cancer patient by MGN-3, a modified arabinoxylan rice bran (study of 32 patients followed for up to 4 years). American Academy of Anti-Aging Med 10: 11-10.
William DG. 1998. MGN-3: Quite possibly the most powerful immune booster known to man. Alternatives for the Health Conscious Individual 7: 113-120.
Ghoneum M. 1998. Enhancement of huma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by modified arabinoxylane from rice bran (MGN-3). Int J Immunotherapy XIV: 89-99.
Yang MM, Chen Z, Kwok JS. 1992. The anti-tumor effect of a small polypeptide from Coriolus versicolor. American J Chinese Med XX: 221-232.
Qian ZM, Xu MF, Tang PL. 1997. Polysaccharide peptide (PSP) restores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cyclophosphamide in rats. American J Chines Med XXV: 27-35.
Takino BN. 1998. A review of research on th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olysaccharopeptide, PSP) from the mushroom Coriolus versicolor (Basidiomycetes: Polyporaceae). Gen Pharmac 30: 1-4.
Jeong YR, Ha MH, Kim SH, Jo SK, Byun MW, Cho HW, Seo K, Yee ST. 2000. Immunosuppressive effects of herbal plant extracts on alloantigen reactive cell prolliferation and cyt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33-1138.
Cunningham AJ, Szemberg A. 1968. Further improvements in the plaque technique for detecting single antibody-forming cell. Immunol 14: 599-606.
Garvey JS. 1980. Method in immunology. W.A. Benjamin Inc., New York. p 449-450.
Suga T, Shiio T, Maeda Y, Chihara G. 1992. Antitumor activity of lentinan syngenetic and autoch-thonous hosts and its suppressive effect on 3-methyl cholanthrent-induced carcinogenesis. Cancer Res 52: 154-162.
Maeda Y, Chihara G. 1993. The effect of neonatal thymectomy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lentinan, carboxylmethyl pachymaran and zymosan and their effects on various immune responses. Int J Cancer 11: 153-167.
Kind LS, Macdo SO. 1973. Heterologous adoptive cutaneous anaphylaxis: A method for detecting reaginic antibody formation by cells of the mouse. J Immunol 111: 638-640.
Shore PA, Burkhalter A, Cohn VH. 1992. A method for the fluorometric assay of histamine in tissues. J Pharmacol Exp Ther 127: 182-186.
Kazuki S, Yuji O, Takashi K. 1986. Growth-promoting effects of an extract of a thermophilic BLUE-green alga, Synechococcus elongatus var. on human cell lines. Agric Biol Chem 50: 2225-2230.
Chihara G, Hamuro H, Maeda Y, Arai Y, Fukuoka K. 1970.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des. Cancer Res 30: 2776-2781.
Minowata T, Ohnuma T, Moore GE. 1972. Brief communication: Rosette forming human lymphoid cell lines. I. Establishment and evidence for origin of thymus-derived lymphocytes. J Nat Cancer Inst 49: 891-899.
Wybran J, Carr MC, Fudenberg HH. 1972. The human rosette forming cell as a marker of thymus-derived cell. J Clin Invest 51: 2537.
Hamuro J, Hadding U, Suermann B. 1978. Solid phase activation of alternative pathway of complement by ${\beta}-1,3-glucan$ and its possible role for tumor regressing activity. J Immunol 34: 695-705.
Hirokazu K, Ryosuke K, Toshimi S, Takash M, Toshihito H, Takwi N. 1988. Cytotoxic steroids from the mushroom Agaricus blazei. Phytochemistry 27: 2777-2782.
Yiu TC, Ushio S. 1989. Screening of antiallergic effect in traditional medicinal drugs and active constituents of Auranyii fructus Immaturus. Shoyakugaku Zasshi 43: 314-318.
Kazuhiro N, Shuichi T, Yukihiro S, Yukio S, Yasuyuki Y. 1992. Histamine release inhibition of bisbenzylisoquinoline alkaloids. Planta Med 58: 505-50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