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CLSV(Apple chlorotic leafspot virus) 감염이 사과 '홍로' 품종의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CLSV-infection on Fruit Quality of 'Hongro' Apple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0 no.2, 2004년, pp.145 - 149  

김현란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원예환경과) ,  김정수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원예환경) ,  황정환 (원예연구소 과수) ,  이신호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원예환경) ,  최국선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원예환경) ,  최용문 (원예연구소 원예기술지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과 '홍로' 품종은 품질이 우수하여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는 중요한 품종으로 최근 일부 농가에서 과실 크기가 작아지면서 과육이 딱딱해지고 과즙이 거의 없어지는 소과증상이 발생되고 있어 재배현장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홍로' 품종의 소과증상은 주요 재배지역에서 조사한 결과 조사농가당 홍로품종 재배주수의 평균 12%정도 발생되고 있었으며 ELISA에 의한 바이러스 진단 결과 소과 발생나무에서 고농도의 ACLSV가 100% 검출되었다. 즙액 접종한 C. quinoa에서 ACLSV가 분리되었으며, 접목 접종한 목본지표식물에서도 잎 상편생장 및 줄기괴사 병징을 나타내어 접목전염성이 확인되었다. 소과증상의 원인 구명을 위해 열처리와 생장점배양으로 육성된 바이러스 무독주에 인위적으로 ACLSV 등 바이러스를 접목접종 한 다음 결실된 과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ACLSV 접종주에서 소과증상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과증상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 ACLSV 감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육성종인 '홍로' 품종은 ACLSV에 대한 감수성 품종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ngr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e cultivars whose growing area is increasing because of its good quality. Recently fruit shrinking symptom causing decrease of fruit size, juice, and quality, appears in some commercial 'Hongro' orchards. The average frequency of occurrence of fruit shrink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발생농가에서 이상증상 발생주에 대한 조치 로 정상적인 과실이 결실되는 가지를 고접을 하였으나 마 찬가지로 고접된 가지에서도 이상 과실이 결실되는 것이 확인되어 접목전염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바이 러스 등 접목전염성 병원체 감염에 관한 검토가 요구되 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홍로과실의 바이러스병의 감염 과 인위적인 바이러스 접종에 의한 결실과실의 반응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홍로 소과증상과 바이러스병 감염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 바이러스 인위접종 및 결실과의 과실반응 조사. 바이 러스 무독주 3년생 나무에 ACLSV 등 2종의 바이러스가 단독 또는 복합 감염되어 있는 감염주의 수피를 ©2년 5 월에 접목접종한 후 2년간 잎에서의 바이러스 검출농도 와 결실과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an, B., Karen, C., Michael, D., Adrian, G. and Leslie, W. 1995. Viruses of Plants ; Descriptions and lists from the VIDE Database. pp.100-102. CAB International 

  2. 김점국, 홍재성, 송기철, 최국선, 윤천종, 임명순. 1996. 수출용 과실의 고품질 안정생산에 관한 연구 : 과수 신육성 품종의 재배법 개선에 관한 연구.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시험연구 보고서, 292-305쪽 

  3. 김현란, 최용문, 임명순, 김규래. 1998. 사과나무의 바이러스 피해와 목본 지표식물에 의한 바이러스 검정, 식물병리학회 추계 프로시딩, 217쪽 

  4. Koganezawa, H. Yanase, H. and Sakuma, T. 1983. Viroid like RNA associated with apple scar skin (or dapple apple) disease. Acta Horticulturae 130: 193-197 

  5. Lee, J. H., Park, J. K., Lee, D. H., Uhm, J. Y, Ghim, S. Y. and Lee, J. Y. 2001. Occurrence of Apple scar skin viroid-Korean strain(ASSVd-K) in Apple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17(5): 300-304 

  6. Martyn, E. B. 1968. Plant virus names. Phytopathological papers, No. 9, Kew: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Surry 

  7. Osaki, H., Kudo, A. and Ohtsu, Y. 1996, Japanese pear fruit dimple disease caused by apple scar skin viroid (ASSVd). Ann. Phytopathol. Soc. Japan, 62: 379-385 

  8. Palmiter, D. H. 1970. Apple chat fruit symptoms produced by green mottle virus infection. Phytopathology 60: 577 

  9. Parish, C. L. 1976. A comparison between the causal agents of cherry rasp leaf and flat apple diseases. Acta Horticulturae 67: 199-202 

  10. 신용억, 김휘천, 강상조, 문종열, 김정호. 1989. 사과 추석기출하용 우량품종 '홍로' 육성. 농시논문집(원예편). 31(3): 53-61 

  11. Smith, P. R. and Challen, D. I. 1972. Aetiology of the rosette and decline diseases of peach and interactions between Prunus necrotic ringspot, Prune dwarf, and dark green sunken mottle viruses. Austr. J. Agric. Res. 23: 1027-1034 

  12. Thomas, B. J. 1983. The particle length of an isolate of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from Prunus domestica. Phytopath. Z. 106: 233-238 

  13. Welsh, M. F. and May, J. 1970. Fruit wrinkle, a graft transmissible abnormality of Newtown apple. Plant Dis. Reptr. 54: 490-493 

  14. Welsh, M. F. and May, J. 1973. Suppression of the symptoms of apple leaf pucker disease in an occurrence pattern that indicates virus interaction. Can. J. Plant Sci. 53(1): 137-145 

  15. Wood, G. A. 1979. Virus and virus like diseases of pome fruits and stone fruits in New Zealand. DSIR Bull. Wellington 226: 87 

  16. Yanase, R., Sawamura, K., Yamaguchi, A. and Mink, G. J. 1975. Viruses causing applr topworking disease (Taka tsugi byo) in Japan. Acta Horticulturae 44: 221-230 

  17. Yanase, R., Yamaguchi, A., Mink, G. J. and Sawamura, K. 1979. Back transmission of apple chlorotic leafspot virus (type strain) to apple, and production of apple topworking diseases symptoms in Mamba kaido (Malus prunifolia Borkh. var. ringo Asami). Ann. Phytopath. Soc. Japan 45(3): 369-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