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잎들깨 멀칭재배 및 파종기에 따른 생육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olyethlene Film Mulching and Sowing Date in Vegetable Perill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49 no.3, 2004년, pp.184 - 187  

김동관 (전남농업기술원) ,  정찬식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 ,  천상욱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 ,  국용인 (전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 ,  김명석 (전남농업기술) ,  방극필 (전남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ase of a semi-forcing culture for vegetable perilla,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 of black polyethylene mulching, the optimum sowing season, and the seedling stand improvement method were drawn. Soil temperature was higher and the emergence was faster in a black polyethylene mul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잎들깨 무가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과 무멀칭에 따른 생육과 엽 수량 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2001년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잎들깨1호를 이용하였고 종자는 benomyl(베노람 수화제)로 분의소독하여 파종하였다.
  • 그리고 재배작형은 크게 8~9월에 파종하여 11월부터 5월까지 수확하는 시설 가온작형과 4~5월에 파종하여 6월부터 10월까지 수확하는 노지작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무가온(반촉성) 작형으로 1~2월에 파종하여 4월부터 수확하는 작형이 개발 중에 있으나 무가온에따른 안정적인 파종적기와 입모향상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ui, R. X. and B. W. Lee. 2001. Soil surface energy balance and soil temperature in potato field mulched with recycled-paper and black plastic film. Korea J.Crop Sci. 46(3):229-235 

  2. Gwag, J. G., S. I. Han, J. T. Kim, S. B. Pae, H. S. Suh, Y. H. Kwack, and Y. J. Oh. 1996. A new vegetable perilla variety 'Ipdlkkae 1' characterized by short stem and large leaf with good quality. RDA. J. Agri. Sci. 38: 190-195 

  3. Han, S. I., J. G. Gwag, K. W. Oh, S. B. Pae, J. T. Kim, and Y. H.Kwack. 1997. Flowering and maturing response to seeding date and short-day treatment in vegetable perilla. Korean J. Crop Sci. 42(4) : 466-472 

  4. Han, W. Y., C. S. Jung, Y. C. Kwon, B. I. Kim, E. S. Yun, and Y. H. Kwack. 1999. Effect of plastic film mulching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vegetable perilla during winter season. Korean J. Crop Sci. 45(5): 198-199 (Abstr.) 

  5. Kim, S. T., Y. K. Kang, M. R. Ko, and J. S. Moon. 2001. Effect of planting date on growth and grain yield of vegetable perilla. Korean J.Crop Sci. 46 : 434-438 

  6. Kim, T. H. 1971. Studies on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Identification of free amino acids. J. of Korea Pharmacognost 2 : 173-175 

  7. Lim, C. I., K. W. Park, and S. K. Park. 1989a. Studies on the yearround cultivation of perilla for leaf production 2. The effect of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perilla. Res. Rept. RAD(H) 31 : 31-38 

  8. Lim, C. I., K. W. Park, and S. K. Park. 1989b. Studies on the yearround cultivation of perilla for leaf production 1. Studies on photoperiodic reaction. Res. Rept. RAD(H) 31 : 23-30 

  9. Lim, C. I., K. W. Park, and S. K. Park. 1989c. Studies on the yearround cultivation of perilla for leaf production 3. Studies on planting density, leaf-picking methods and time and germination. Res. Rept. RAD(H) 31 : 1-8 

  10. 농촌진흥청. 1986. 식품성분표(제3개정판) P. 31 

  11. 농촌진흥청. 2003. 들깨 . P 103 

  12. Park, K. Y., S. D. Kim, S. H. Lee, H. S. Kim, and E. H. Hong. 1996. Changes of dry matter accumulation and leaf area in summer type of soybean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 mulching. RDA. J. Argi. Sci. 38(1):173-179 

  13. 박재주. 1972. 최신약용식물재배론. pp .202-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