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논지대의 관개회귀수량 실측조사 및 분석
Irrigation Return Flow Measurements and Analysis in a Small Size Paddy Area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7 no.7, 2004년, pp.517 - 526  

정상옥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토목공학과) ,  박기중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업용수는 국가의 수자원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개회귀수는 농지에 관개한 수량 중에서 다시 하천으로 회귀되는 양이며 관개회귀수량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수자원 개발 계획과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낙동강유역 내의 소규모 논지대에 조사지구를 선정하여 2003년도 영농기간 동안 농업용수 공급량과 배수량을 조사 분석하여 회귀율을 산출하고, 이를 향후 수자원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지구인 경북 청도 녹명지구의 관개기간 중 신속회귀율은 30.2%, 지연 회귀율은 23.5%로 전체 회귀율은 53.7%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ricultural wa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Irrigation return flow is the amount of irrigated water that returns to the river system. In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laning and management, an accurate estimation of the irrigation return flow is very important.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규모 유역단위의 회귀율조사는 많은 관측기기와 인력이 소요되므로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논 유역에 대한 회귀율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시험지구 선정기준은 유역의 농업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대표적인 지구, 경지정리가 되었으며 용수로와 배수로 조직이 단순하여 관개량과 배수량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외부 유역으로부터의 지표수 유입이나 지하수 용출이 없는 지구라야 한다.
  • 본 연구는 낙동강유역 내의 논지대에 조사지구를 선정하여 2003년도 영농기간 동안 농업용수 공급량과 배수량을 조사 분석하여 회귀율을 산출하고, 이를 향후 수자원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낙동강수계의 청도군 각남면 녹명지구의 논 지구를 선정하고 수문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물수지를 분석하고 회귀율을 산정하였다. 지연회귀율은 침투량의 100%로 가정하였다. 관측기간인 2003년도에는 강우회수와 강우량이 예년에 비해 매우 많았기 때문에 무강우시의 물관리가 안정된 기간이 비교적 짧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건설교통부, 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7). 수자원계획의 최적화연구(1): 용수수요 추정시스템 개발연구 

  2. 건설교통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1999). 금강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보고서 

  3. 건설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1997). 낙동강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보고서 

  4. 건설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1998). 한강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보고서 

  5. 건설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1999). 영산강.섬진강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보고서 

  6. 김태철, 김병천, 이성희 (2002). '논 관개용수 절수와 유역 생태계 보전의 양면성.' 2002년도 한국농촌환경 연구회 학술심포지움 논문집. 한국농촌환경연구회 

  7. 농림부 (1998).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설계기준 (관개편). 562pp 

  8. 농림부, 농어촌진흥공사 (1999). 농촌용수 수요량조사 종합보고서. 222pp 

  9. 농수산부 (1983). 농지개량사업계획설계기준 (관개편) 

  10. 임상준 (2000). 농업유역의 논 관개회귀수량 추정모형의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0pp 

  11. 정상옥 (2001). 물수지분석 기법에 의한 논에서의 회귀율 조사분석. 교육부 학술진흥재단 연구결과보고서, 31pp 

  12. 정상옥, 손성호 (2001), '물수지분석 기법에 의한 논에서의 회귀율 조사분석.'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43권, 제2호, pp. 59-68 

  13. 정운태, 이근후, 이인영 (1998), '양수장 용수공급 논 지대의 물수지.'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 1-7 

  1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2002). 북한강 및 팔당댐 하류 유역조사 학술용역 보고서. 강원대학교 부속 환경연구소, 123pp 

  15. 주식회사 유신코퍼레이션 (2004). 낙동강 유역조사중 농업용수 회귀수량 현장 표본조사 보고서.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09pp 

  16. 최중대, 최예환 (2002). '북한강 유역 춘천지역의 논 농업용수 회귀율 산정.' 한국관개배수. 한국관개배수위원회, 제9권, 제2호, pp. 68-77 

  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7). 낙동강유역 농업용수 회귀율조사(경상북도).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39pp 

  18. 한국수자원공사 (1990). 낙동강유역 조사보고서 

  19.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Via delle Terme di Caracalla, 00100 Rome, Italy 

  20. Boldt, A.L., Eisenhauer, D.E., Martin, D.L. and Wilmes, G.J. (1999). Water conservation practices for a river valley irrigated with groundwate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Elsevier. 38: 235-256 

  21. Council fo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88). Effective use of water in irrigated agriculture. Report No.113, USA 

  22. Doorenbos, J. and Pruitt, W.O. (1977). Guidelines for predic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2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Via delle Terme di Caracalla, 00100 Rome, Italy 

  23. Ito, Y., Shiraishi, H. and Oonishi, R. (1980). 'Numerical estimation of return flow in river basin.' JARQ, Vol. 14, No. 1, pp. 24-30 

  24. Oad, R., Lusk, K. and Podmore, T. (1997). 'Consumptive use and return flows in urban lawn water use.'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Vol. 123, No. 1, pp. 62-69 

  25. Solley, W.B., Pierce, R.P. and Perlman, H.A. (1998). Estimated use of water in the United States in 1995.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200 

  26. Utah State University (1991). REF-ET: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ion software. 40pp 

  27. Yashima, S. (1982). 'Water balance in low and flat paddy land-A case study in the Muda irrigation project area, Malaysia.' JARQ, Vol. 16, pp. 151-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