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Surfactants의 가래떡 노화 억제 기능
Supression Functions of Retrogradation in Korean Rice Cake(Garaeduk) by Various Surfact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7, 2004년, pp.1218 - 1223  

신완철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  송재철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각종 surfactant를 첨가하여 만든 떡의 노화억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떡은 압출기로 만들어져 폴리에틸렌랩으로 포장한 후 2$0^{\circ}C$에서 4일동안 저장하였다. 노화억제에 관한 열적 특성 연구에서 각종 surfactant를 사용한 떡의 호화개시온도는 대조구에 비해서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중 GLF를 첨가한 떡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호화온도의 경우에는 호화개시온도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또 surfactant를 첨가한 떡전분의 용융엔 탈피는 대조구에 비해서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떡의 용융퍼짐성은 대조구보다 GLF, SUF, SOF, PST 등을 첨가한 떡이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다. GLF 첨가 떡의 Avrami지수 n은 0.90이며 다른 경우보다 떡의 노화는 천천히 진행되었다. GLF를 첨가한 떡의 재결정도는 대조구보다 낮았고 노화속도상수(rate constant)도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 surfactant를 첨가한 떡이 대조구보다 좋게 나타났는데 그 중 GLF 첨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떡의 노화를 억제하는데 surfactant는 효과가 있고 특히 GLF의 첨가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upression functions of retrogradation in Korean rice cake by various surfactants. Samples were manufactured by multifunctional extruder and wrapped with polyethylene wrap at 2$0^{\circ}C$ for four days of storage. I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surfactants에 의한 떡의 노화억제 연구는 친수성콜로이드 기능을 가진 일부만을 제 외 하고는 아직도 잘 이루어져 있지 않고 있다(1). 본 연구에서는 점성, 조직감, 입안에서의 촉감, 결정억제기능, 분산기 능, 윤활기능 등의 역할을 가진 식품첨가물용 surfac- tant를 선정, 이들이 떡의 저장 중 조직과 표면의 변화, 관능적 변화, 열특성의 변화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규명하여 궁극적으로 가래떡의 노화방지를 이루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ong JC, Park HJ. 2003. Function of various hydrocolloids as anticaking agents in Korean rice cake. J Kor Soc Food 

  2. Hoover R. 1995. Starch retrogradation. Food Reviewes 

  3. Gudmundsson M. 1994. Retrogradation of starch and the 

  4. Baker LA, Rayas-Duarte P. 1998. Retrogradation of Amaranth 

  5. Wang YJ, Jane J. 1994. Correlation between glass transition 

  6. Shin IY, Kim HI, Kim CS. 1999. Effect of sugar alcohol on wheat starch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J Kor 

  7. Kwon HJ, Kim YA. 1999. Effects of adding sugars and lipids 

  8. Kang KC, Baek BB, Rhee KS. 1990. Effect of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on salting of cakes. Kor J Food Sci Technol 

  9. Mun SH, Kim JO, Lee SK, Shin MS. 1996. Retrogradation 

  10. Jang JK, Lee YH, Lee SH, Pyun YR. 2000. Effect of sodium 

  11. Son HS, Park SO, Hwang HJ, Lim ST. 1997. Effect of 

  12. Sohn CB, Lee SM. 1994. Effect of retrograde restraint of rice 

  13. Hibi Y, Kitamura S, Kuge T. 1990. Effect of lipids on the 

  14. Lee SY, Lee SG, Kim KJ, Kwon IB. 1993. Effect of alum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 

  15. Kohyama K, Nishinari K. 1992. Cellulose derivatives effects 

  16. 서중일. 1997. 보존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떡의 제조방법. 한국 

  17. 안기영. 1996. 떡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1996-0006566. 

  18. 황기운. 1996. 떡의 노화방지용 아밀라제 함유 유연성 조성물. 

  19. 마스이붓산가부시기가이샤. 1989. 식품의 노화방지방법. 한국공개특허 1989-0002198. 

  20. 대상(주). 2000. 조직감과 노화안정성이 우수한 떡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2000-0074809. 

  21. 김일환. 1986. 전분질 식품의 노화방지방법. 한국공개특허 1986-0000236. 

  22. Donovan JW, Lorenz K. Kulp K. 1983. Differential scanning 

  23. Wada K, Takahashi K, Shirai K, Kawamura A. 1979. Differential 

  24. Biliaderis CG, Maurice TJ, Vose JR. 1980. Starch gelatinization 

  25. Hyun CK, Park KH, Kim YB, Yoon IH. 1988. Differential 

  26. Krueger BR, Knutson CA, Inglett GE, Water CE. 1987. A 

  27. Song JC, Park HJ. 1986. Microstructural and melting 

  28. Kim SK, Lee AR, Lee SK, Kim KJ, Cheon KC. 1996. Firming 

  29. Kum JS, Lee SH, Lee HY, Lee C. 1996. Retrogradation behavior 

  30. Choi CR, Shin MS. 1996. Effects of sugars on the retrogradation 

  31. Leloup VM, Colonna P, Ring SG. 1992. Physicochemical 

  32. Song JC, Park HJ. 2000. Physical, functional, textur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University of Ulsan Press, Ulsan. p 413-483, p 637-639. 

  33. Lim KS, Hwang IK. 1999. Effects of hydrocolloids on wheat 

  34. Choi IJ, Kim YA. 1992. Effect of addition of dietary fibres on quality of Backsulgies. Kor J Soc Food Sci 8: 281-289. 

  35. Park JW, Park HJ, Song JC. 2003. Suppression effect o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