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식에 표현된 미적 개념으로서의 엘레강스
Elegance Expressed on Dress as an Aesthetic Concept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5, 2004년, pp.95 - 107  

고현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김민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gance in dress has existed as one of the important archetypes of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times. Nevertheless, there has generally been Ignored the Idea of analyz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eauty of dress by constructin...

주제어

참고문헌 (71)

  1.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2nd Ed.). (1989). Oxford: Clarendon Press, p. 733 

  2. Nuzzi , C. Fashion in Paris: from the 'Journal des Dames et des Modes' 1912-1913 (1980). Thames and Hudson 의 Introduction 참조 

  3. Eicher의 Elegance in Dress: A Cross-Cultural View (서울대 특별강연, 2000) 

  4. 최수현 (1994). 복식의 미적 범주: 르네상스, 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장문호 (1975). 복식미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85-186 

  6. 조규화 (1989).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7. 오현정 (1991). 복식미 범주의 개념구조에 관한 연구: 쉬크와 댄디즘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7(2) 

  8. Webster's 3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1961). Springfield G & C Merriam Company 

  9.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2nd Ed.). (1989). Oxford: Clarendon Press 

  10. Kivey. P. (1973).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History of Ideas Series Minor 7. The Hague. p.47 

  11. Cottom. D. (1981) Taste and the civilized imagination.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39(4). p. 368 

  12. Dariaux. G. A. (1964). Elegance: A complete guide for every woman who wants to be well and properly dressed on all occasion. NY : Doubleday & Company, p. xii 

  13. Lincourt. M. (1999 ). In search of elegance: Towards an architecture of satisfaction. Quebe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p. 5 

  14. Lincourt. M. (1999). In search of elegance: Towards an architecture of satisfaction. Quebe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pp. 118-119 

  15. Townsend, D. (1998). Taste: Early history. Encyclopedia of Aesthetics. Vol. 4. NY: Oxford University Press, p. 355 

  16. Townsend, D. (1998). Taste: Early history. Encyclopedia of Aesthetics. Vol. 4. NY: Oxford University Press. p. 357 

  17. Grean , S. (1965). Shaftesbury's philosophy of religious ethics. s.1. Ohio University Press 

  18. Gronow. J. (1997). The sociology of taste. London. NY: Routeledge, p. 12 

  19. Williams, R. (1976), Keyword. London, Gontana/Croom Helm. pp. 264-266 

  20. Walker, J. A. (1995). 디자인의 역사. 정진국(역). 서울: 도서출판 까치. p. 255 

  21.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 291. p. 26 

  22.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 318 

  23.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 319 

  24. Cicero. De oficiis I. p. 36. p. 130 

  25. Tatarkiewicz. W.(1992), 미학의 기본 개념사. 손효주(역) 서울: 미진사, pp..200-201 

  26. Andre. E. M. (1715). Eaai sur le Beau in Dictionnaire d'Esth $\'{e}$ tique Chr $\'{e}$ tienne. Ed. J.R. Migne (1856 ) 

  27. Schiller (1793). der Anmut und W $\"{u}$ rde 

  28. 하재창(1986). 미학의 제문제. 원광대 출판부. p. 160 

  29. Volkelt. J. (1910). System der Aesthetik. Bd. 2. S.2ff. Munchen 

  30. 미학사전 (1988), 서울 : 논장. p.392 

  31. Henkmann. Lotter( 공편 ) (1988). 미학사전. 김진수(역). 예경. p. 258 

  32. Hartmann. N.(1995). 미학. 전원배(역). 서울: 을유문화사. pp. 447-448 

  33. Sieback. H. (1875). Das Wesen der Aesthetischen Anschaung 

  34. 미학사전 . (1988), 서울 : 논장. p. 393 

  35. Bayer. R. (1934). L'Esthetique de la Grace. Paris. F. Alcan 

  36. 하재창(1986). 미학의 제문제. 원광대 출판부. 163 

  37. Lipps. Th. (1903). Aesthetik. I 

  38. 하재창(1986). 미학의 제문제. 원광대 출판부p, 393 

  39. Bayer. R. (1933). L’ $\'{e}$ sthetique de Ie grq $\^{c}$ e. vol.2 

  40. Earl of Listowel (1967), Modern Aesthetics. London. pp.190-191 

  41. 하재창(1986). 미학의 제문제. 원광대 출판부. pp. 163-164 

  42. 하재창(1986). 미학의 제문제. 원광대 출판부. p. 161 

  43.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 20 

  44. Fuchs. E 풍속의 역사 II: 색의 시대. 이기웅, 박종만(역) 서울: 까치. pp. 52-64 

  45. Sombart. W. (1997) 사치와 자본주의. 이상률(역). 서울: 문예 출판사. p. 32 

  46. Steele. V. (1988), Paris fashion: A culture, history, NY: Oxford University Press. P. 64 

  47.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 471 

  48. Feldon. L. (1982), Dressing rich: A guide to classic chic for women with more taste than money. Universe.com. Inc.. p.10,) 

  49. Boyer. G. B. (1985), Elegance: A guide to quality in menswear. NY. London: W.W. Nortion & Company. p. 10 

  50. Veblen. T. (1995). 한가한 무리들- 이완재, 최세완(공역), 서울. 동인. pp. 179-181 

  51. McDowell. C. (1992), Dressed to kill. Sex Power and Clothes. Hutchinson. p. 43 

  52.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 315 

  53. 김유로 (1999), 1990 년대 패션이 나타난 쾌락주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44 

  54.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 332 

  55. Roetzel. B. (1999). Gentleman,' A timeless fashion. K $\"{o}$ nemann. p. 8 

  56. Bourdieu, P. (1997).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역), 서울: 새물결. pp. 332- 333 

  57. Leddy. T. (1995). Everyday surface aesthetic qualities: Neat' . 'Messy'.'Clean'. .Dirty.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53(3). pp. 262-266 

  58.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75 

  59. de Marly. D. (1980). The history of haute couture 1850-1950. London: The Anchor Press Ltd.. p, 120 

  60. Elias. N. (1995) 문명화 과정 매너의 역사. 유희수(역). 서울: 신서원. p. 35 

  61. Elias. N. (1995). 문명화 과정 매너의 역사. 유희수(역). 서울: 신서원. p. 15 

  62. Baudelaire (1863), Le Peintre et la vie moderne. Rayndole. E.(편) (1931). Baudelaire-L'Art Moderne. p.79 

  63. Hauser. A. (1974).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현대편. 백낙청, 염원웅(공역). 서울 창작과 비평사. p 184에서 재인용 

  64. Empas 사전. 자료출처 http://dic.empas.com 

  65. Cardano. G. (1550). De Subtilitate. Coll. ed. Lyon. 1663. 10 vols 

  66. Craik. J. (2002) 패션의 얼굴 정인희 외(역) 서울: 푸른솔. p, 42 

  67. Dolce. L. (1542). Dialogo della Pittura, Venezia. Trattati d'arte del Cinquecento. a cura di P. Barocchi. Col.l. Cari. 1960. pp. 195-196 

  68. 岡田溫司 (1999) 르네상스의 미인들. 오근영(역). 서울, 가람기획. p, 156에서 재인용 

  69. 落合正勝(2001). 옷 잘 입는 남자에게 숨겨진 5가지 키워드. 이유정(역), 서울. 나무와 숲. p. 87 

  70. Prudhomme. S. (1960). Journal Intime 1862-1869. Paris: Les Editions Du Compagnonnage-Editions Rombaldi. p. 158 

  71. Rader. M. & Jessup. B. (1992) 예술과 인간가치 서울 이론과 실천. p, 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