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여성과 미국이주 한국여성의 유방암에 대한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Korean-American Women in Their Health Beliefs related to Breast Cancer and the Perform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2, 2004년, pp.307 - 314  

이영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현 (아주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신공범 (Akron University, 교육대학) ,  송미숙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BSE (breast-self examination) performance and health beliefs between Korean and Korean-American women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influence the BSE based on the HBM variables.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recru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한국 여성 암 중 가장 흔한 암이 유방암인 것을 고려할 때 유방암 조기발견은 한국여성의 중요한 건강문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국의 어떠한 사회문화적 차이가 유방자가검진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겠다. 아울러 유방암 검진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홍보 및 보건교육의 강화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연구의 기틀로 국내여성과 미국이주 한국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 정도와 건강신념 변수의 차이를 비교하고 거주지를 통제하고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우선 유방자가검진 빈도에 대한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지난 해 유방자가검진을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미국이주 한국여성은 67.
  • 본 연구는 한국여성과 미국에 이주하여 사는 한인여성의 유방암 관련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을 비교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 (cross-sectional survey design)이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 이주한 한국인 여성과 국내에 있는 여성들의 유방자가검진 .빈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아울러 건강신념모델을 기초로 건강신념 변수에 대한 각각의 지각정도를 조사하여 어떠한 변수에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더 나아가 국내와 미국이주 한국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대한 공통 예측변수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여성과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빈도와 건강신념의 차이를 바탕으로 유방자가검진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건강신념모델의 일반적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추후 고려해야 될 사항을 살펴보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여성이 국내에 거주하는 경우와 미국에 거주하는 경우 유방자가검진 행위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건강신념 모델에 포함되어있는 변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 국내여성과 미국이주 한국여성의 유방암에 대한 건강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 . 국내여성과 미국이주 한국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Cancer Society(ACA). (2000) California Cancer Facts and Figures 2000. Atlanta: American Cancer Society California Division and Public Health Institute. Georgia Cancer Registry 

  2. Baek, M. (199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of breast self exam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3. Becker, M. H.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behavior (Ed.) Thotofore: Charles B. Slack 

  4. Champion, V. L (1992). Relationship of age factors influencing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 Health Care Women Intern, 13, 1-9 

  5. Champion, V. L. (1993). Instrument refinement for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s. Nurs Res, 42(3), 139-143 

  6. Champion, V. L. (1999). Revised susceptibility, benefits and barriers scale for mammography screening. Res Nurs Health, 22, 341-348 

  7. Choi, K. O. (1994). A study of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breast self-examination. J Korean Acad Soci Adult Nurs, 6, 81-100 

  8. Frank-Stromborg, M & Olsen, SJ (1993). Cancer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in ethnically diverse populations. Semin Oncol Nurs 9, 198-209 

  9. Fung, S. (1998). Factors associated with breast self-examination behavior among Chinease women in Hong-Kong. Patient Educ Counsel, 33, 233-243 

  10. Gray, M. E. (1990). Factors related to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rural women. Cancer Nursing, 13(2), 100-107 

  11. Hiatt, R. A., Pasick, R. J., Perez-Stable, E. J., McPhee, S. J., Engelstad, L., Lee, M., Sabogal, F., D'Onofrio, C. N, & Stewart, S. (1996). Pathways to early cancer detection in the multiethic population of the San Francisco Bay Area. Health Educ Q 23(suppl): SI0-S27 

  12. Jenkins, C. N. H., & Kagawa-Singer, M. (1994). Cancer. In Zane, NWS, Takeuchi DT, & Young, KNJ (eds.), Corifronting critical health issues of Asian and Pacific Islander Americans. Thousand Oaks: Sage, 105-147 

  13. Kim, J. S. (198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breast self-examination.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14.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Statistics of disease. Seoul: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5. Kwon, J. W., Keum, B. H., Kang, Y. J., Oh, M. K., Lee, H. R., & Youn, B. B. (1991). A study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Fam Physician, 12(11), 44-55 

  16. Lee, E. H. (2003). Breast self-examination performance among Korean nurses. JNSD, 19(2), 81-87 

  17. Lee, E. H, Kim, J. S., & Song, M. S. (2002).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Champion's Health Belief Scale in Korean women. Cancer Nurs, 25(5), 391-395 

  18. Lee, Y. W., & Lee, E. H. (2002). Predicting factors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13, 509-516 

  19. Lu, Z. J. (1995). Variables associated with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Chinese women. Cancer Nurs, 18, 29-34 

  20. Mikhail, B. I., & Peto-Nustas, W. (2001). Transcultural adaptation of Champion's health belief model scale. J Nurs Scholar, 22(2), 159-165 

  21. Miller, B. A., Kolonel, L. N., Bernstein, L., Young, J. L., Swanson, G. M., West, D., Key, C. R., Liff, J. M., Glover, C. S., & Alexander, G. A. (eds.) (1996). Racual/Ethnic patterns of cancer in the Unites States 1988-1992, NIH Publ. No. 964104, National Cancer Institute, Bethesda, MD 

  22. Park, C. S. (1995). A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late-middle ag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3. Redeker, N. S. (1989). Health belief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frequency of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women. JObst Gynecol and Neonat Nurs, 13, 45-51 

  24. Ronis, D. L., & Kaiser, M. K. (1989). Correlates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a sample of college women; Analysis of linear structural relations. J of Applied Soc Psych,. 19, 1068-1084 

  25. Rosenstock, I. M., Strecher, V. J., & Becker, M. H. (1988).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 Quart, 15(2), 175-183 

  26. Salazer, M. K. (1994). Breast self-examination beliefs: A descriptive study. Pub Health Nurs, 11, 49-56 

  27. Skinner, C. S., Champion, V. L., Gonin, R., & Hanna, M. (1997). Do perceived barriers and benefits vary by mammography stage? Psychol Health Med, 2, 65-75 

  28. Sortet, J. P. & Banks, S. R. (1997). Health beliefs of rural Appalachian women and the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Cancer Nurs, 20, 231-235 

  29. Suh, C. O., & Shin, H. S. (2000). The national survey of breast carcinoma treatment in Korea and the evaluation of cost-effectiveness of radiotherapy. Korean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 Ministry of Health and Wealfare, R.O.K 

  30. Wilcox, L. S., & Mosher, W. D. (1993). Factors associated with obtaining health screening among women of productive age. Pub Health Rep, 108, 76-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