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지개 색의 특성과 복식으로 전달되는 이미지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ainbow Colors and Rainbow Fashion Imag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6, 2004년, pp.25 - 40  

김지언 (경민대학 멀티미디어과)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inbow has been considered as a perfect representative of color harmony in nature. In this study rainbow's colors include seven spectral colors and changeable colors according to observational angle. This study performed a bibliographical inquiry into rainbow colors and the survey research for ...

주제어

참고문헌 (19)

  1. 한국문화 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2). 한국 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사, p. 277 

  2. Marshall Editions Limited (1991). Color-nature. history and decoration. London, pp. 16-17 

  3. John Gage (1999). Colour and meaning: Art. science and symbol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p. 127 

  4. John Gage (1993). Color and culture: Practice and meaning from antiquity to abstraction. Thames and Hudson. pp. 93-94 

  5. John Gage (1993). Color and culture: Practice and meaning from antiquity to abstraction. Thames and Hudson. p. 34 

  6. 만프레드 루키 저 (1991). 성서속의 상징. 은성. p. 143 

  7. Marshall Editions Limited (1991). Color-nature. history and decoration. London, p. 18 

  8. Hope and Walch (1989). The colour compendium.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p. 260 

  9. Kenneth Heuer (1978). Rainbow, halos, and other wonders. New york Dodd, Mead & Company 

  10. Hope and Walch (1989). The colour compendium.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p. 259 

  11. 한국문화 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2). 한국 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사, p. 279 

  12. 한국문화 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2). 한국 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사, pp. 277-278 

  13. 권영걸 외 (2002). 이제는 색이다. 도서출판: 국제 

  14. John Gage (1999), Color and culture: Practice and meaning from antiquity to abstraction. Thames and Hudson. pp. 122-123 

  15. M.G.J. Minnaert (1993). Light and color in the outdoors. Springer-Verlag: New York. p. 197 

  16. Overheim. R. Daniel & Wagner, David L. (1982). Light and color. John Wiley and Sons. Inc 

  17. 장경애 (1998). 빛의 과학. 도서출판: 상학당 

  18. 박상현 (1994). 영국의 근대 풍경화에 관한 연구-죠셉말러드, 윌리암 터너, 존 콘스터블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John Gage (1993). Color and culture: Practice and meaning from antiquity to abstraction. Thames and Hudson. p.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