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양복식에 나타난 양적과장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I) -고대부터 근대복식을 중심으로-
The Aesthtic Consciousness of Voluminous Enlargement in the Western Costume - From Ancient to the Modern Time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6, 2004년, pp.101 - 117  

성광숙 (동명정보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이순홍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posed to following the contours of the human body, the voluminous enlargement in costume, which characterizes the distinguished enlargement in space rather than the contour of human body, mean the enlargement aspect involving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expansion of shape and volume as well as...

주제어

참고문헌 (49)

  1. 이은영 (1989). 현대복식에 있어서의 예술성의 개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34 

  2. 김청 (1979). 패션과 예술. 서울: 금호출판사, p. 237 

  3. Alison Lurie,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서울: 경춘사. p. 64 

  4. 原田二郞 (昭和51年). 西洋服飾史. 東京: 原流社, p. 90 

  5. 조규화 (1997).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p. 122 

  6. 김영자 (1998). 복식미학의 이해. 서울: 경춘사, pp. 155-157 

  7. 류기주 외 (1992). 인체에 대한 미의식에 따른 복식형태. 복식, 16(4), p. 360 

  8. Marilyn Revell Delong, 금기숙 역 (1997).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서울: 이즘, pp. 49-50 

  9. Marilyn Revell Delong, 금기숙 역 (1997).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서울: 이즘, pp. 151-161 

  10. Mary Lynn Damhorst. et. al. (1999). The meaning of dress. Fairchild Publication Inc., p. 128 

  11. 오현정. 이은영 (1990). 의복에서의 조형미와 유행평가연구. 복식, 14(4), pp. 246-247 

  12. 김윤희 (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나타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8-59 

  13. J. Flugel (1930). The psycholoy of clothes. London: Hogarth Press. p. 145, p. 201 

  14. Susan B. Kaiser, 김순심 외 역 (1995). 복식사회심리학. 서울: 경춘사. pp. 42-44 

  15. Claudia Brush Kidwell - Valerie Steele (1989). Men and woman. Washington: Smith Institution Press. p. 42 

  16. Claudia Brush Kidwell - Valerie Steele (1989). Men and woman. Washington: Smith Institution Press. p. 44 

  17. 정흥숙 (1999).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157 

  18. 최수현, 김민자 (2000). 복식의 미적범주. 복식, 23. pp. 200-202 

  19. 이인자 외 (2001). 의상심리. 서울: 교문사, p. 29 

  20. 자료출처: http://education.sangji.ac.kr/-jbsong/galgi/daehagweon/ga.../002.ht 

  21. Elizabeth B. Hurlock. 박길순 외 역 (1990). 복식의심리학. 서울: 경춘사, p. 111 

  22. Elizabeth B. Hurlock. 임숙자 외 역 (1990). 의복의 심리학. 서울: 교문사, p. 194 

  23. Susan B. Kaiser, 김순심 외 역 (1995). 복식사회심리학. 서울: 경춘사. p. 41 

  24. 마릴린 혼, 루이스 구렐, 이화연 역 (1995). 의복. 제2의 피부. 서울: 까치, pp. 156-162 

  25. M. E. Roach, 이유경 역 (1990). 가시적자아. 서울: 경춘사, p. 54 

  26. 김혜경 (1998). 미술과 패션의 불편한 결합. 월간미술, 8월호, p. 119 

  27. 최병상 (1990). 조형. 서울: 미술공론사, p. 30 

  28. Elizabeth B. Hurlock. 박길순 외 역. (1990). 복식의심리학. 서울: 경춘사, pp. 48-63 

  29. 자료출처: http://education.sangji.ac.kr/-jbsong/galgi/daehagweon/ga.../002.ht 

  30. 박일록 역 (1999). 복장학의 길잡이. 서울: 경춘사. p. 47 

  31. Elizabeth B. Hurlock, 박길순 외 역. (1990). 복식의심리학. 서울: 경춘사, p. 37 

  32. 한경숙, 이민경 역 (1988). 복식표현의 위상. 서울: 경춘사. p. 79 

  33. 이순홍 외 (1998). 복식문화와 유행정보. 서울: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pp. 33-34 

  34. Alison Lurie.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서울: 경춘사. p. 61 

  35. Alison Lurie.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서울: 경춘사. p. 124 

  36. 橫川公子 외 (1998). 복식표현의 위상. 서울: 경춘사, pp. 78-79 

  37.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168 

  38. 이선재 (1988). 의상학의 이해. 서울: 학문사, p. 22 

  39. 板倉壽郞, 이현숙 역 (1993). 복식미학. 서울: 경춘사, p. 38 

  40. 박옥련 (1994). 복식과 인간. 부산: 경성대학교 출판부, p. 237 

  41. J. Jarow & K. Dickerson (1996). Inside the fashion business, N.J.: Merrill Prentice Hall, p. 53 

  42.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여성인체의 해석에 관한 고찰. 복식, 37. p. 163 

  43. Ann L. Hollander (1975). Seeing through clothes. N. Y.: Avon Books. pp. 85-86 

  44. Anna M. Creekmore & Elain Pedersen (1979). Body proporation of fashion illustration: 1840-1940. compared with the greek ideal of female beauty. N.Y.: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July. pp. 379-388 

  45. P. Glynn (1982). Skin to skin-erotism in dress. London: George Aline & Unwin. pp. 28-58 

  46. Mary E. Roach- Higgins &Joanne B. Eicher (1992). Dress and identity. Clothing and Textile Reserch Journal, 10. pp. 1-8 

  47. Mary E. Roach- Higgins &Joanne B. Eicher (1992). Dress and identity. Clothing and Textile Reserch Journal, 10. pp. 87-105 

  48. 이현주 (1978). 현대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인체표현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6 

  49. Riley R (1963). The posture of fashion. American Fabrics, Fall-Winter. pp. 80-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