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The Assessment of Trophic State and the Importance of Benthic Boundary Laye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9 no.4, 2004년, pp.179 - 195  

이재성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김기현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김성수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정래홍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박종수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최우정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김귀영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이필용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이영식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수행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운영 결과 중 생지화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1997∼2002, 6년간) 한국 남해 연안의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비행열 다차원 척도법 분석결과로 남해연안은 3개의 영양 상태로 구분되었다.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며 용존성 무기질소와 인농도가 매우 높은 마산만은 과영양 상태였으며, 강한 점원 오염원이 있는 울산만, 온산만, 부산 연안, 진해만은 부영양 상태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그 외 여수, 통영 , 목포 주변 연안과 제주도 연안은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실측 용존무기질소와 Redfield 비로 보정된 이론적 용존무기질소의 차이인 과잉 질소의 6년간 평균은 오염된 하천이 유입되는 울산, 온산, 부산 연안에서 큰 양의 값을 보였고 행암, 광양, 여수 연안이 음의 값을 나타내어 기초생산자의 성장 제한 물질이 서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과잉 용존무기질소는 시계열 분석 결과 과-부영양화된 해역에서 점차 감소하였으나 중영양 해역은 점차 증가하고 있어 해역의 영양상태에 따라 질소 대 인의 비가 변화하고 있었다. 과-부영양화의 진행에 따른 저층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은 질소와 인의 생지화학적 순환을 교란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더욱 정확한 연안 환경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저층 경계면의 연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ophic state of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 was assessed using biogeochemical data obtained from the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 conducted by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for six years. The trophic state of different areas, ...

주제어

참고문헌 (48)

  1. 강영실, 박주석, 이삼석, 김학균, 이필용, 1996. 진해만 수질 환경 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요각류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9: 415-430 

  2. 강영실, 박미선, 2003. 하계 한국 남해안 보름달물해파리(Scyphozoa: Ulmariidae: Aurelia aurita)의 출현 및 먹이섭취 습성. 한국해 양학회지 바다, 8: 199-202 

  3. 박영천, 양한섭, 이필용, 김평중, 1995. 겨울철 부산항 주변해역의 수질과 표층퇴적물의 환경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8: 577-588 

  4.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1. 울산만과 온산만 저서 동물군집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180-189 

  5. 양한섭,김성수,김규범, 1995. 진해만 퇴적물의 퇴적속도와 중금속 오염. 한국환경과학회지, 4: 489-500 

  6. 이영식, 이재성, 정래홍, 김성수, 고우진, 김귀영, 박종수, 2001. 광양만에서 식물 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201-210 

  7. 이재성, 김기현, 유준,정래홍, 고태승, 2003. 산소 미세전극을 이 용한 남해연안 퇴적물새수 계면에서 산소소모율 및 유기탄소 산화율 추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392-400 

  8. 이재성, 정래홍, 김기현, 권정노, 이원찬, 이필용, 구준호, 최우정, 2004.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환경영향평가: I. 퇴적물 산소소 모율 및 저서생물을 이용한 유기물 오염영향권 추정 및 유기 탄소 순환.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9: 30-39 

  9. 임현식,홍재상, 1994.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1. 저서환경.한국수산학회지, 27: 200-214 

  10. 정창수, 김석현, 강동진, 박웅철, 윤철호, 홍기훈, 1999. 해저퇴적 물의 광합성 색소 유도체 함량분포에 의한 마산만 부영양화 진행과정 추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101-106 

  11. 조경재, 최만영, 곽승국, 임성호, 김대윤, 박종규, 김영의, 1998.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 다, 3: 193-202 

  12. $B\acute{e}thoux$ , J.R, P. Morin, and D.P. Ruiz-Pino, 2002. Tempoml trands in nutrient ratios: chemical evidence of Meditenranean ecosystem changes driven by human acdvity. Deep-Sea Res. G, 49: 2007-2016 

  13. Choi, H.G., W.C. Lee, P.J. Kim and P.Y. Lee, 1998. Water and sed- iment characteristics in the shellfish farms of the westem part of Jinhae Bay. J. Fish. Sci. Tech, 1: 159-167 

  14. Cognetti G., 2001. Marine eutrophication: The need for a new indi- cation system. Mar. Pott. BuIt., 42: 163-164 

  15. Dubravko, J., N.N. Rabalais, and R.E. Tumer, 1995. Stoichiomethc nutrient balance and origin of coastal eutrophication. Mar. Poll.Bull., 30: 41-46 

  16. Dell'Anno, A., M.L. Mei, A. Pusceddu and R. Danovaro, 2002. Assessing the trophic state and eutrophication of coastal marine systems: a new approach based on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sediment organic matter. Mar. Pott. Butt., 44: 611-622 

  17. Fisher, T.R., E.R. Peele, J.W. Ammerman and L.W. Harding, 1992.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Chesapeake Bay. Mar. Ecot. Prog. Ser., 82: 51-63 

  18. Froelich, P.N., G.P. Klinkhammer, M.L. Bender, N.A. Bender, G.R. Luedtke, G.R. Heath, D. Cullen, P. Dauphin, D Hammond, B. Hartman and V. Maynard. 1979. Early oxidation oforganic mat- ter in pelagic sediments of the eastem equatorial Atlantic: sub- oxic diagenesis. Geochem. Cosmochim. Acta, 43: 1075-1090 

  19. Hanmnen, J., I. Vuoiinen, H. Helminen, T. Ktrkkala and K. Lehtila, 2000. Trend and gradients in nutrient concentrations and loading in the Archipelago Sea, Northem Baltic, in 1970-1997. Est. Coast. SheIfSd., 50: 152-171 

  20. Harrison, P.J., M.H. Hu, Y.P. Yang and X. Lu, 1990. Phosphate lim- itation in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of China. J. Exp. Mar. Biol.Ecol, 140: 79-87 

  21. Herbert, R.A., 1999. Nitrogen cycling in coastal mahne ecosystems. FEMS Microbial Reviews, 23: 563-590 

  22. Hong, J.S., 1987. Surn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Korean Soc. Oceamgr., 22: 246-256 

  23. Hong, G.H., K.T. Kim, S.J. Pae, S.H. Kim and S.H. Lee, 1991. Annual cycles of nutrients and dissolved oxygen in nurient-rich temperate coastal bay, Chinhae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er., 26: 204-222 

  24. Howarth, R.W., 1988. Nutrient limitation of net primary production in marine ecosystems. Ann. Rev. Eco., 19: 89-110 

  25. Jusdc, D., N.N. Rabalais and R. E. Tumer, 1995. Stoichiometric nutrient balance and ohgin of coastal eutrophication. Mar. Poll. Bull, 30: 41-46 

  26. Kang, C.K., P.Y. Lee, J.S. Park and P.J. Kim, 1993. On the distri- 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 557-566 

  27. Kang, C., P. Kim, W. Lee and P. Lee, 1999. Nutrients and Phy- toplankton Blooms in the Southem Coastal Waters of Korea: I.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C, N, and P in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Bay Systems. J. Korean Soc. Oceamgr., 34: 86-94 

  28. Knstiansen, K.D., E. Knstensen and M.H. Jensen, 2002. The influence of water column hypoxia on the behaviour of manganese and iron in sandy coastal marine sediment. Est. Coast. Shelf Sci., 55: 645-654 

  29. Laursen, A.E. and S.P. Seitzinger, 2002. The role of denitrification in nitrogen removal and carbon mineralization in Mid-Atlantic Bight sediments. Con. Shetf Res., 22: 1397-1416 

  30. Lee, S.H. and K.W. Lee, 1983.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Jin- hae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18: 49-54 

  31. Lohse L, H.T Kloosterhuis, W. van Raaphorst, W. Helder, 1996.Denitrification rates as measured by the isotope pairing method and by the acetylene inhibition technique in continental shelf sed- iments of the North Sea. Mar. EcoI Prog. Ser., 132: 169-179 

  32. Nielsen, L.P. and R.N. Glud, 1996. Denitrification in a coastal sed-iment measured in situ by the nitrogen isotope paihng technique applied to a benthic flux chamber. Mar. Ecol. Prog. Ser., 137: 181-186 

  33. Nishio, T, I. Koike and A. Hatton, 1983. Esdmates of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in coastal and estuaiine sediments. Appl. Envi- ron. Microbiol, 45: 444-450 

  34. Nixon, S.W., 1995. Coastal marine eutrophication: A definition, social causes, and future concems. Ophetia, 41: 199-219 

  35. Nixon, S.W., J.W. Ammerman, L.P. Atkinson, V.M, Berounsky, G. Billen, W.C. Biocourt, W.R. Boynton, T.M. Church, D.M. Di Toro, R. Elmgren, J.H. Garber, A.E. Giblin, R.A. Jahnke, N.J.P. Owens, M.E.Q. Pilson and S.P. Seitzinger, 1996. The fate of nitrogen and phosphorus at land-sea margin of the North Atlantic Ocean. Biogeochemistry. 35: 141-180 

  36. Nowicki, B.L., 1994. The effect of temperatue, oxygen, salinity and nutrient enhchment on estuarine denitnfication rates measured with a modified nitrogen gas flux technique. Est. Coast. SheIf Sci., 38: 137-156 

  37. Nowicki, B.L., E. Requintina, D. van Keuren and J.R. Kelly, 1997 Nitrogen losses through sediment denitrification in Boston Har-bour and Massachusetts Bay. Estuaries, 20: 626-639 

  38. Seitzinger, C.T., P. Nixon, S.W. Pilson, M.E.Q., 1984. Denitrification and nitrous oxide production in coastal marine ecosystem. Lim- not. Oceanogr., 29: 73-83 

  39. Sekine, M., I.C. Lee, T. Narazaki, M. Ukita, T. Imai, and H. Nakan- ishi, 1995. Handling of dissolved oxygen in the Seto Inland sea fisheries ecological model: Proceedings of Environmentat Engi- neering Research, 32: 301-310 

  40. Smith V.H., G.D. Tilman and J.C. Nekola, 1999. Eutrophication: impacts of excess nutrient inputs on freshwater, marine, and ter- restrial ecosystems. Environmental Pollution, 100: 179-196 

  41. Tyrell, T. and M.I. Lucas, 2002. Chemical evidance of denitrification in the Benguela upwelling system. Est. Coast. Shelf Sci., 22: 2497-2511 

  42. Vidal, M., C.M. Duarte and C. Sanchez, 1999. Coastal eutrophication research in Europe: progress and imbalances. Mar. Poll. Bull., 38: 851-854 

  43. Wasmund, N., A. Andrushaitis, E. Lysiak-Pastuszak, B. Miiller-Kamlis, G. Nausch, T. Neumann, H. Ojaveer, I. Olenina, L. Postel and Z. Witek, 2001. Tmphic status ofthe Soufh-Eastem Baltic Sea: A com- parison ofcoastal and open areas. Est. Coast. ShetfSci., 53: 849-864 

  44. Wang, G.T.R, Gong, G-C., Liu, K-K., and Pai, S-C. 1998. 'Excess Nitrate' in the East China Sea. Est. Coast. SheIfSci., 46: 411-418 

  45. Yamamoto, T, 2003. The Seto Island Sea-eutrophic or oligotrophic? Mar. Pott. Butl, 47: 37-42 

  46. Yanagi, T., 1989. A summary of symposium of oxygen-deficient water mass. Coastat Oceanography, 26: 14-145 

  47. Yang, D.B. and G.H. Hong, 1982. Nutrients and Chlorophyll a vah- ations at a fixed station during the red tides in the Jinhae Bay.J. Korean Soc. Oceanoer., 17: 19-26 

  48. Yang, D.B., Kim, S.H., and Lee, K.W. 1984. Venical distributions of chemical oceanographic parameters in Jinhae Bay in July, 1983. J. Korean Soc. Oceanogr., 19: 8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