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광경화형 에폭시 변성 아크렐레이트의 합성과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hotocurable Epoxy Modified Acrylates Using Half-Ester Acrylat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8 no.6, 2004년, pp.531 - 537  

김동국 (한양대학교 신소재화학과) ,  임진규 (한양대학교 신소재화학과) ,  김우근 (한양대학교 신소재화학과) ,  허정림 (건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산 무수물에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ydroxyethyl acrylate)를 반응시켰다. 합성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에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glycol diglycidylether)를 반응시켜 광경화형 에폭시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점도는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hexahydrophthalic anhydride)을 사용하여 반응시킨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NP-HA)이 가장 높았다. 또한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을 사용한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의 광경화물은 비교적 다른 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에폭시 변성 아크릴레이트의 광경화물보다 경도, 인장 강도가 우수하였으며, 5% 무게 감소 온도도 높은 것으로 보아 열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황변 지수값은 숙신산 무수물 (succinic anhydride)을 사용하여 반응시킨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숙신산 무수물 (NP-SA)이 가장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half-ester acrylates were prepared from anhydrides and 2-hydroxyethyl acrylate. Photocurable epoxy modified acrylates were prepared from synthesized half-ester acrylate and neopentylglycol diglycidylethe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yellowing,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단계 반응에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형성 반응 시 소멸되는 산 무수물의 피이크를 확인하고 2단계 반응에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반응시 에폭시의 소멸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IR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으며,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결과 피이크는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FT-IR은 Nicolet사의 Avatar360 모델이 었다.
  • (2-HEA)를 반응시켰다. 1단계에서 합성된 하프- 에스터 아크릴레이트에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P)를 반응시켜 3종류의 광경화형 에폭시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여 광경화된필름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산 무수물 중에서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을 사용한 NP-HA의 점도는 25 °C 에서 36000 cps로 다른 무수물을 사용한 것보다 점도가 가장 높았으며, 숙신산 무수물을 사용한 NP-SA의 점도는 25 °C 에서 3300 cps로 가장 낮았다.
  • Scheme 2와 Table 2에 나 타낸 바와 같이 합성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에 지 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P)와의 반응을 통하여 다양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4구 유리 플라스크에 1단계에서 합성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와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 테르, 촉매 인 벤질트리 에 틸암모늄 클로라이 드 (0.50 g), 리고 중합금지제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0.05 g)를 넣은 후 천천히 단계적으로 승온하여 60 °C에서 2시 간- 유지 후 천천히 승온하여 95 °C 로 유지하여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산가가 0.1 mgKOH/g 이하에서 종결한 후 투명한 액체 형태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얻었다. 합성에 필요한 반응물 양은 Table 2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Scheme 1과 Table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산 무수물과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EA)와의 반응을 통하여 카복실기를 가진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으며 자세한 합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교반기, 환류 냉각기와 온도계가 장착된 4구 유리 플라스크에 산 무수물과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촉매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 드 (0.
  •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Scheme 2와 Table 2에 나 타낸 바와 같이 합성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에 지 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P)와의 반응을 통하여 다양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4구 유리 플라스크에 1단계에서 합성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와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 테르, 촉매 인 벤질트리 에 틸암모늄 클로라이 드 (0.
  • 경화필름의 열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열무게 분석기 (TGA)를 사용흐]였다. TGA (Perkin elmer TGA7)를 이용하여 질소기류 (20 mL/min)하에 50 -700 °C 까지 승온 속도 10 °C/min로 하여 측정하였다.
  • 열 안정성 측정. 경화필름의 열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열무게 분석기 (TGA)를 사용흐]였다. TGA (Perkin elmer TGA7)를 이용하여 질소기류 (20 mL/min)하에 50 -700 °C 까지 승온 속도 10 °C/min로 하여 측정하였다.
  •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다양한 산 무수물과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EA)와의 반응을 통하여 카복실기를 가진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에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P)와의 반응을 통하여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1단계 반응에서 합성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는 산 무수물피이크인 1770과 1850 cm-1 이 사라졌을 때 반응 종결을 하였다.
  • 다양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기 위하여 1단계로 다양한 산 무수물에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EA)를 반응시켰다. 1단계에서 합성된 하프- 에스터 아크릴레이트에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P)를 반응시켜 3종류의 광경화형 에폭시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여 광경화된필름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 지방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상대적 가격은 황변이 되는 일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보다 비싸지만 특수한 용도로 외관이 중요시 되는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경도와 유연성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관능기를 도입할 수 있으며 점도가 기존 일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보다 아주 낮아서 취급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피부자극지수가 높은 희석 단량체를 적게 사용하여도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 무수물에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ydroxyethyl acrylate)를 반응시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half-ester aery late) 를 만들고, 이것에 남아있는 카복실기와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2223 네오펜틸글리 콜 디글리시 딜에테르 (neopentyl­ glycol diglycidylether)를 반응하여 기존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보다 사슬의 길이가 긴 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2427 얻고 산 무수물의 종류에 따른 열 안정성, 경도 황 변성, 인장 강도, 그리고 신장률 등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 이때 사용한 FT-IR은 Nicolet사의 Avatar360 모델이 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1H-NMR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으며, Figure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1H- NMR spectra는 CDC%를 용매로 하여 Varian Mercury 300 MHzNM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FT-IR 및 XH-NMR 측정. 1단계 반응에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형성 반응 시 소멸되는 산 무수물의 피이크를 확인하고 2단계 반응에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반응시 에폭시의 소멸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IR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으며,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결과 피이크는 Figure 1에 나타내었다.
  •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산가 측정. 합성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half-ester acrylate)에 에폭시 화합물이 도입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초기 상태에서 시료를 1 g 정도 채취한 후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고 혼합 용매 (톨루엔/메탄올) 30 mL에 용.
  • 광경화된 시편을 ASTM G53 방법에 따라 Q-Panel사의 weathe­ ring tester model QUV/BASIC을 사용하여 60 °C 에서 노출한 후 24시간 마다 꺼내어 그 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로 120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 된 시편을 꺼내어 BYK-Gardner사의 Colormeter model A6830으로 황변된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yellow index (ΔE 값)를 측정하였다.
  • Figure 4와 Table 3은 3종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경화 필름의 열분해 거동을 TGA 로 나타낸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는 초기 중량감소 온도에 따라 열 안정성을 파악하게 되는데 열분해에 따른 경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5% 중량 감소 온도를 지정하였다. 5% 중량 감소 온도는 NP-HA가" 279.
  • 합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광개시제 HMPP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광경화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액상의 배합물을 완전히 진공탈포시킨 후 투명한 유리판에 두께 250 um의 도막 코팅기 (applicator)로 코팅하여 중압 수은 램프 (Fusion systems Co.)로 주 파장이 250 -400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 경화 필름을 얻었다 UV 경화 시의 경화 조건은 300 W/cmX 1 lampX7 m/min (수은 램프 출력 X 램프 수X 분당 속도)이었다.
  • 점도 측정. 합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에서 다양한 산 무수물의 차이에 따른 점도 거동을 관찰하였다. Figure 3 에서 볼 수 있듯이 NP-H의 점도는 25 °C에서 36000 cps 로 가장 높았으며, NP-SA의 점도는 25 °C에서 3300 cps로 가장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합성된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half-ester acrylate)에 에폭시 화합물이 도입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초기 상태에서 시료를 1 g 정도 채취한 후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고 혼합 용매 (톨루엔/메탄올) 30 mL에 용.해시킨 다음 1%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2~3 방울 떨어뜨린 후 0.1 N K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용액의 소비량을 계산하여 산가를 측정하였다. 산가는 다음식과 같다.

대상 데이터

  • 중합 금지제로 사용된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 약칭 HQMME)는 Eastman^,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half-ester acrylate)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된 촉매인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benzyltriethylammonium chloride, 약칭 BTEAC) 는 Aldrich사의 일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광 개시 제로는 2-하이드록시-2-메틸 1-페닐-1-프로파논 (2-hydroxy- 2-methyl-1 -phenyl-1 -propanone, 약칭 HMPP)을 미원상사(주) 로부터 구입하여 정제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hexahydro­ phthalic anhydride, 약칭 HA), 숙신산 무수물 (succinic anhy­ dride, 약칭 SA), 말레산 무수물 (maleic anhydride, 약칭 MA)은 Aldrich사,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y­ droxyethyl acrylate, 약칭 2-HEA)는 일본촉매사,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glycol diglycidyl ether, 약칭 NP)는 미원상사(주) 제품을 사용하였다. 중합 금지제로 사용된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 약칭 HQMME)는 Eastman^,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half-ester acrylate)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된 촉매인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benzyltriethylammonium chloride, 약칭 BTEAC) 는 Aldrich사의 일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광 개시 제로는 2-하이드록시-2-메틸 1-페닐-1-프로파논 (2-hydroxy- 2-methyl-1 -phenyl-1 -propanone, 약칭 HMPP)을 미원상사(주) 로부터 구입하여 정제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 광경화 필름 제작. 합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광개시제 HMPP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광경화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액상의 배합물을 완전히 진공탈포시킨 후 투명한 유리판에 두께 250 um의 도막 코팅기 (applicator)로 코팅하여 중압 수은 램프 (Fusion systems Co.
  • 시약 및 재료.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hexahydro­ phthalic anhydride, 약칭 HA), 숙신산 무수물 (succinic anhy­ dride, 약칭 SA), 말레산 무수물 (maleic anhydride, 약칭 MA)은 Aldrich사,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y­ droxyethyl acrylate, 약칭 2-HEA)는 일본촉매사,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glycol diglycidyl ether, 약칭 NP)는 미원상사(주) 제품을 사용하였다. 중합 금지제로 사용된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 약칭 HQMME)는 Eastman^, 하프-에스터 아크릴레이트 (half-ester acrylate)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된 촉매인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benzyltriethylammonium chloride, 약칭 BTEAC) 는 Aldrich사의 일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광경화된 시편의 인장 강도와 신장률은 Ins- tron사의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4443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0 um의 두께로 경화된 시편을 준비하여 crosshead 속도는 50 mm/min, 7회 반복 즉정하여 제일 작은 값과 제일 큰 값을 제외한 나머지 측정치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론/모형

  • 광경화된 시편을 ASTM G53 방법에 따라 Q-Panel사의 weathe­ ring tester model QUV/BASIC을 사용하여 60 °C 에서 노출한 후 24시간 마다 꺼내어 그 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로 120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 된 시편을 꺼내어 BYK-Gardner사의 Colormeter model A6830으로 황변된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yellow index (ΔE 값)를 측정하였다.
  • 시험. 광경화된 시편의 인장 강도와 신장률은 Ins- tron사의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4443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0 um의 두께로 경화된 시편을 준비하여 crosshead 속도는 50 mm/min, 7회 반복 즉정하여 제일 작은 값과 제일 큰 값을 제외한 나머지 측정치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 점도 측정. 합성된 3종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항온조에서 25 °C로 유지를 시킨 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가 담겨있는 병에 회전하는 축을 담근 후 회전시켜 점성 저항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Brookfield Engineering사의 Brookfield viscometer DVU +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 Braithwaite, S. Davidson, R. Holman, C. Lowe, P. K. T. Oldring, M. S. Salim, and C. Wall, 'Chemistry & Technology of UV & EB Formulation for Coatings, Inks & Paints', P. K. T. Oldring, Editor, SITA Technology, London, 1991 

  2. S. P. Pappas, 'Radiation Curing', Plenum, New York, 1992 

  3. S. P. Pappas, 'UV Curing: Science and Technology', Technology Marketing Corporation, Connecticut, 1983 

  4. J. C. Jung, Polymer(Korea), 10, 570 (1986) 

  5. C. E. Hoyle and J. F. Kinstle, 'Radiation Curing of Polymeric Material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gton DC, 1990 

  6. G. Orcel, S. Vanpoulle, J. Y. Barraud, J. Y. Boniort, and B. Overton, Wire, 46, 206 (1996) 

  7. A. H. Rodas, R. E. S. Bretas, and A. Reggianni, J. Mater. Sci., 21, 3025 (1986) 

  8. S. B. Lin, S. Y. Tsay, T. A. Spechhard, K. K. S. Hwang, J. J. Jezerc, and S. L. Cooper, Chem. Eng. Commun., 30, 251 (1984) 

  9. T. A. Speckhard, K. K. S. Hwang, S. B. Lin, S. Y. Tsay, M. Koshiba, Y. S. Ding, and S. L. Cooper, J. Appl. Polym. Sci., 30, 647 (1985) 

  10. M. A. Ali, M. A. Khan, and K. M. I. Ali, J. Appl. Polym. Sci., 60, 879 (1996) 

  11. J. W. Yoo and D. S. Kim, Polymer(Korea), 23, 376 (1999) 

  12. H. D. Kim, D. J. Lee, J. H. Choi, and C. C. Park, Polymer(Korea), 18, 38 (1994) 

  13. K. H. Lee and B. K. Kim, Korea Polym. J., 4,1 (1996) 

  14. H. D. Kim, S. G. Kang, and C. S. Ha, J. Appl. Polym. Sci., 46, 1339 (1992) 

  15. Y. Otsubo, T. Amari, and K. Watanabe, J. Appl. Polym. Sci., 29, 4071 (1984) 

  16. T. Matynia, R. Kutyla, K. Bukat, and B. Pienkowska, J. Appl. Polym. Sci., 55, 1583 (1995) 

  17. M. Bajpai, V. Shukla, and A. Kumar,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44, 271 (2002) 

  18. T. Maruno, S. Ishibashi, and K. Nakamura,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2, 3211 (1994) 

  19. W. Shi and B. Ranby, J. Appl. Polym. Sci., 51, 1129 (1994) 

  20. T. R. Williams, J. Appl. Polym. Sci., 31, 1293 (1986) 

  21. R. Bongiovanni, G. Malucelli, M. Sangermano, and A. Priola,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36, 70 (1999) 

  22. J. K. Lim, D. K. Kim, and J. Y. Hwang, J. Korean Ind. Eng. Chem., 14, 6 (2003) 

  23. J. K. Lim, D. K. Kim, and W. G. Kim, J. Korean Ind. Eng. Chem., 15, 225 (2004) 

  24. Y. C. Kim and B. J. Lee, J. Korean Ind. Eng. Chem., 13, 538 (2002) 

  25. J. W. Hong, M. Y. Park, H. K. Kim, Y. B. Kim, and H. K. Choi, J. Korean Ind. Eng. Chem., 11, 693 (2000) 

  26. J. W. Hong and H. W. Lee, J. Korean Ind. Eng. Chem., 5, 857 (1994) 

  27. D. K. Kim, J. K. Lim, and W. G. Kim, J. Korean Ind. Eng. Chem., 15, 74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