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크릴 코팅의 성분 분석 연구
Analytical Study for an Acrylic Coating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17 no.2, 2004년, pp.98 - 107  

김석준 (군산대학교 공과대학 재료.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H$ NMR 분광분석법 및 HPLC를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에 사용된 아크릴 코팅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1H$ NMR 분석 결과 아크릴 코팅은 88.40 wt%의 PMMA, 7.05 wt%의 MMA 및 2.36 wt%의 allyl methacrylate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고분자 첨가제로 벤조트리아졸 (Hisorb 328) 및 oxanilide 광안정제, BHT 및 DMP가 $^1H$ NMR 스펙트럼에서 확인되었고 정량적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Bondapak C18 칼럼, 메탄올 이동상, PDA 검출기를 사용한 역상 HPLC 분석을 통해서는 두개의 광안정제만이 확인되었다. 두 광안정제의 함량은 UV-Vis 흡광광도계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을 통해 측정되고 NMR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은 분석 정보들이 HPLC에서 얻는 것들 보다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1H$ NMR spectroscopy and HPLC were used to identify the type and quantity of each component in an acrylic coating materials applied for an automotive part. By the $^1H$ NM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is acrylic coating contained about 88.40 wt% of poly met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사용된 아크릴 코팅은 PMMA가 주성분으로 자동차 엠블럼 (emblem)의 투명 코팅에 사용된 것을 입수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산화방지제와 광안정제가 기본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며 잔류 단량체 함량 및 기타 첨가제 등을 NMR과 HPLC (PDA 검출기)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옥외에서 사용되는 투명 코팅은 특히 자외선에 의한 황변과 열화를 막기 위한 광안정제 (Light stabilizer)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고 본 분석연구에서도 광안정제의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 4에는 순수한 PMMA, MMA, OX-3, Hisorb 328, BHT 및 dimethyl phthalate (DMP)의 NMR 스펙트럼을 도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크릴 코팅을 구성하는 모든 성분들의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미량 성분 및 휘발성이 강한 성분들의 확인은 시료에서 첨가제만을 분리 정제하거나 시료에서 증발된 기체 성분을 응축시킨 것을 분석하여 참고물질들 및 참고자료33와의 대조작업을 거쳐 확인하였다. 미량 성분들로는 고분자 코팅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단량체, 가소제 및 평탄화제 (leveling agent) 등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고 NMR 분석이 가능한 농도 범위에서만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F. Gugumus, 'Plastics Additives', 3rd Ed., Oxford Univ. Press, New York, U.S.A., 1990. 

  2. R. Gachter and H. Muller, 'Plastics Additives Handbook',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1990. 

  3. T. R. Crompton, 'Practical Polymer Analysis', Plenum Press, New York, U.S.A., 1993. 

  4. H. L. Spell and R. D. Eddy, Anal. Chem., 32(13), 1811-1814(1960). 

  5. M. Vitali, Polymer Testing, 20, 741-748(2001). 

  6. F. C. Schilling and V. J. Kuck,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31(2), 141-152(1991). 

  7. J. C. J. Bart, Polymer Testing, 20, 729-740(2001). 

  8. H. El Mansouri, N. Yagoubi, and D. Ferrier, Chromatographia, 48, 491-496(1998). 

  9. G. Dorner and R. W. Lang,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62, 431-440(1998). 

  10. M. Ashraf-Khorassani, N. Nazem, and L. T. Taylor, J. Chromatography A, 995, 227-232(2003). 

  11. L. Y. Zhou, M. Ashraf-Khorassani, and L. T. Taylor, J. Chromatography A, 858, 209-218(1999). 

  12. D. Stapel and A. Benninghoven, Applied Surface Science, 174, 261-270(2001). 

  13. S. J. Wright, M. J. Dale, P. R. R. Langridge-Smith, Q. Zhan, and R. Zenobi, Anal. Chem., 68, 3585-3594(1996). 

  14. Q. Zhan, R. Zenobi, S. J. Wright, and P. R. R. Langridge-Smith, Macromolecules, 29, 7865-7871(1996). 

  15. F. Leis, H. E. Bauer, L. Prodan, and K. Niemax, Spectrochimica Acta Part B, 56, 27-35(2001). 

  16. H. V. Drushel and A. L. Sommers, Anal. Chem., 36(4), 836-840(1964). 

  17. W. He, R. Shanks, and G. Amarasinghe, Vibrational Spectroscopy, 30, 147-156(2002). 

  18. C. A. Wilkie,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66, 301-306(1999). 

  19. F. C.-Y. Wang, J. Chromatography A, 883, 199-210(2000). 

  20. F. C.-Y. Wang, J. Chromatography A, 886, 225-235(2000). 

  21. F. C.-Y. Wang and W. C. Buzanowski, J. Chromatography A, 891, 313-324(2000). 

  22. F. C.-Y. Wang, J. Chromatography A, 891, 325-336(2000). 

  23. O.-W. Lau and S.-K. Wong, J. Chromatography A, 882, 255-270(2000). 

  24. M. Wolf, M. Riess, D. Heitmann, M. Schreiner, H. Thoma, O. Vierle, and R. van Eldik, Chemosphere, 41, 693-699(2000). 

  25. S. Nakamura, M. Takino, and S. Daishima, J. Chromatography A, 912, 329-334(2001). 

  26. M. Herrera, G. Matuscheck and A. Kettrup, J. Anal. Appl. Pyrolysis, 70, 35-42(2003). 

  27. J. D. Vargo and K. L. Olson, Anal. Chem., 57, 672-675(1985). 

  28. J. C. J. Bart,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82(2), 197-205(2003). 

  29. S. J. Kim,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13(3), 282-290(2000). 

  30. USP (미합중국 특허) 3906033 to Ciba-Geigy A.G.(1975). 

  31. USP 5698732 to GE Co.(1997). 

  32. K. J. Saunders, 'Organic Polymer Chemistry', 2nd Ed., Chapman and Hall, New York, U.S.A., 1988. 

  33. E. G. Crispim, I. T. A. Schuquel, A. F. Rubira, and E. C. Muniz, Polymer, 41, 933-945(2000). 

  34. C. J. Pouchert and J. Behnke, 'The Aldrich Library of 13C and 1H FT NMR Spectra', Edition I, Vol. 1, 997, Aldrich Chemical Company, Inc., U.S.A., 1993. 

  35. A. S. Wingrove and R. L. Caret, 'Organic Chemistry', 648, Harper & Row, New York, U.S.A., 1981. 

  36. J. F. Rabek, 'Experimental Methods in Polymer Chemistry',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1980. 

  37. R. Iyengar and B. Schellenberg, Polym. Degrad. Stab., 61, 151-159(1998). 

  38. J. Keck, G. J. Stuber, and H. F. A. Kramer, Angewanndte Makromolekulare Chemie, 252, 119-138(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