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류함수기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강우-유출 모형 개발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Storage Function Method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7 no.11, 2004년, pp.969 - 978  

신철균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조효섭 (일신하이텍 기술연구소) ,  정관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재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문학적 모델에 대한 연구보고에 의하면 유출량 모의 측면에서 집중형 모형은 분포형 모형보다 적용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분포형모형은 컴퓨터 계산환경 및 현장 실험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지형인자를 단순화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양적인 오차를 가진다. 하지만 공간적 지형인자를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분포형모형은 지표수 흐름을 분석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흐름의 특성을 결정짓는 최소한의 지형인자(흐름경사, 방향, 누적도)를 고려한 저류함수를 이용하여, 격자기반의 공간적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의 과정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이루어진다 모형의 원형은 비교적 작은 유역인 횡성다목적댐을 대상으로 개발하여, 유역면적이 비교적 넓은 합천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댐지짐에 대한 유역유출 모의결과 Nash J.E. 와 Sutcliffe J.V.가 제안한 효율계수는 약 0.9를 상회하였으나, 유역내 상류 수위관측소에 대한 효율계수는 양호하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는 대상댐 유역에 대하여 산정된 수위-유량 곡선식의 고수위부분이 과추정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유역의 공간적으로 분포된 유역특성을 고려한 강우-유출모형은 GIS를 이용하여 손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향후 강우레이더와 같이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량의 실시간 취득이 범용화되면, 본 연구의 분포형 모형을 직접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report of hydrologic modeling study, from a quantitative point of view, a lumped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a distributed model. A distributed model has to simplify geospatial characteristics for the shake of restricted application on computer calculation and field observatio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홍수예 . 경보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저류 함수모형을 적용함으로서 실무자에 친숙한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저류함수기법을 이용한 분포형 모형을 개발하여 종전의 집중형모형이 유역출구 및 사용자가 정의한 위치에서만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보완하여 최근 격자별 공간 강우관측이 가능하고, 발달된 컴퓨터 및 GIS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유역의 공간적 유황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유역면적이 비교적 작은 횡성다목적댐을 대상으로 모형의 원형(Prototype)을 구축하여, 대유역인 합천다목적댐을 대상으로 호우 기간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서 매개변수에 대한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집중형 및 분포형 모형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당유역의 공간적 강우-유출을 모의하되, 그간에 보고되어오던 분포형 모형의 실무적용시 문제가 되는 분석시스템의 기술적 제약 등을 현실적인 측면에서 극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하도구간은 아래로 경사져 있으며 유역 전체에 강우량Rmm, 이 발생하고 소유역 Ai 에서의 초과강우량에 유출계수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유출량은 하천에 유입 Ii 후, 하도 형상에 따른 저류과정을 거쳐 출구로 배출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김성준 (2001). '분포형 수문.수질 모델링의 최근 동향과 활용방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4권, 제6 호, pp. 33-45 

  2. 범진온 (1985). 산업기지개발공사, 다목적댐 홍수유출 해석연구, pp. 96-100 

  3. 선우중호, 건설교통부 (1985). 충주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홍수예경보 프로그램 개선 보고서 

  4. 신사철 (1996).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유출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29권, 제6호, pp. 131-139 

  5. 조홍제, 조인률 (1998). '분포형 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 유출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1권, 제2호, pp. 199-208 

  6. 최우회, Brian E. Skahill, 김민환 (2003). '기상레이더와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유역모 형의 개발과 검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6권, 제2호,pp. 285-300 

  7. 한국수자원공사 (2003). KOWACO 홍수분석모형 개발 (Final Report) 

  8. Burrough P. A. (1986).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Land Resources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50 

  9. 木村俊晃 (1958). '洪水流出の推定法に關する硏究(I) - 貯留關數に關する一 考察 -.' 土木硏究所報告, 102號, pp. 9-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