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8 no.3, 2004년, pp.288 - 296  

임동옥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유윤미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황인천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에서 선택한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귀화식 물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식물상은 76과 211속 273종 35변종 1품종으로 총 309종류가 확인되었다. 그 중 귀화식물은 14과 36속 44종 2변종으로 총 46종류가 확인되었다. 광주천에서는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흰명아주, 토끼풀, 큰개불알풀, 돼지풀, 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살이 및 서양민들레로 총 9종이 우점하였고, 황룡강에서는 소리쟁이,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및 망초로 총 5종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영산강에 분포하는 우점종은 광주천과 황룡강 우점종 이외에도 물참새피, 좀명아주, 다닥냉이, 개망초 및 도꼬마리 등이 나타나 총 16종이었다. 광주시 도심 하천의 평균 도시화지수는 17.2%, 귀화율은 14.9%로 확인되었다. 원산지는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각각 16종으로 가장 많았다. 도시화지수나 귀화율 같은 환경지수가 높은 도시 하천이나 둔치가 귀화식물센터 중 중요한 하나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03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environmental index of naturalized plants at 14 sites at rivers penetrating the downtown area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flora consisted of 309 taxa, 76 families, 211 genera, 273 species, 35 varie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인 영산강 일대의 제방과 고수부지 주변의 귀화식물 종수와 입지 환경을 파악하였다. 또 하천변에 생육하는 잡초의 방제나 경관 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귀화식물의 환경지표성을 검토하였다.
  • 입지 환경을 파악하였다. 또 하천변에 생육하는 잡초의 방제나 경관 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귀화식물의 환경지표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건설교통부(2003) 경천 시범 하천 환경정비사업 이후 모니터링 보고서. 45-118쪽 

  2. 고강석 외 11인 (1996a)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I). 국립환경연구원. 118쪽 

  3. 고강석, 강인구,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1996b)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 (II). 국립환경연구원보고 18: 25-35 

  4.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이유미 (1997) 한국에서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자연보존 2:139-164 

  5. 광주광역시(1999) 광주 광역시 위생매립장 조성사업 환경 영향 평가서(초안), 91-114쪽 

  6. 김보현. 이경재(2000)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2): 127-138 

  7.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흥덕, 우복주, 백기열 (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18-41 

  8. 박수현(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85: 39-50 

  9. 박수현 (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10. 박수현(2000) 한국 귀화식물의 현황. 자생식물 제51호: 12-19 

  11. 박수현(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보유편). 일조각, 178쪽 

  12. 송준석, 안상홍(1999) 구 안동시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군락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3): 169-179 

  13. 양영환, 박수현, 김문홍(2001) 제주도의 귀화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4(3): 277-285 

  14.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2003)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 생태학회지 15(2): 210-223 

  15. 이덕봉, 김연창 (1961) 美大陸 原産植物의 渡來考. 한국식물학회지4: 25-30 

  16.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2002a)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104-123 

  17.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2002b) 서울 중량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18. 이창숙(1995) 서울 중량천변의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상현황(귀화식물과 토착식물의 비교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 연구보고서 제14: 17-39 

  19. 임동옥, 박양규, 유윤미(2004)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346-359 

  20.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 분류학회지 22: 69-83 

  21. 한국수자원 공사 (1999) 탐진댐 다목적댐 담수예정지역 식생조사-식생조사 및 환경녹화계획-. 216쪽 

  22. 沒田眞(1975) 歸化植物.環境科學 ライブラリ-13. 大日 本圖書, 東京, 160쪽 

  23. 長田式正(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保育社. 425쪽 

  24. Cox, G. W.(1993) Conservation Ecology. Wm. C. Brown Publishers, 268-277pp 

  25. Groves, R. H.(1986) Plant invasions of Australia: an Overview In: Groves, R. H., and Burdon, J.J. (Eds.), Ecology of Biological Invasions. Cambrid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7-49pp 

  26. Pallibin, J. W.(1898) 'Conspectus flarae( I )', Act. Hort. Petrop 17: 1-128 

  27. Song, J.S. and B. Prots(1998) Invas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L. (Compositae) in the Ukrainian Carpathians Mts. and the Transcarpathian Plain (Central Europe). Korean J. BioI. Sci 2: 209-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