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발광 소자의 수송층 두께 변화에 따른 수치적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OLED Luminescence Efficiency by Hole Transport Layer Change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17 no.12, 2004년, pp.1341 - 1346  

이정호 (홍익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LED research is gone for two directions. One is material development research, and another one is structural improvement part. All two are thing to heighten luminescence efficiency of OLED. n other to improve luminescence efficiency of OLED Electron - hole pairs must consist much more in the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조의 형태를 일반화시킨 이유는 모의실험에서 제작된 소자와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구조적으로 가장 최적화된 홀 수송층의 두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발광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제시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앞서 밝힌바와 같이 정공의 이동도를늦주어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 쌍을 효율적으로 재결합 시켜 발광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논문에서 는 유기전기 발광소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와 정공의 움직임들을 모의실험으로 미리 예측하고 적절한 박막의 두께를 예상하여 이에 맞는 소자를 직접 제작해 서로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두었다.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모두 재결합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 K. Crone, P. S. Davids, I. H. Cambell, and D. L. Smith, 'Device model investi-gation of single lay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J. Appl, Phys., Vol. 87, No.2, p. 833, 1998 

  2. C. D. J. Blades and Alison B Walker, 'Si-mul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Synthetic Metals 111-112, p. 335, 2002 

  3. Simon J. Martin, J. M. Lupton, I. D. W. Samuel, and Alison B Walker, 'Modelling temperature-dependent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an MEH-PPV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 Phys., Vol. 14, No. 42, p. 9925, 2002 

  4. G. G. Malliaras and J. G. Scott, 'Roles of injection and mobility 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ppl. Phys., Vol. 83, No. 10, p. 5399, 1998 

  5. C. W. Tang and S. A. Vanslyk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Appl. phys, Lett., Vol. 51, No. 12, p. 913, 1987 

  6. E. M. Conwell and M. W. Wu. 'Contact injection into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Vol. 70, No. 14, p. 1867, 1989 

  7. P. S. Davids, Sh. M. Kogan. I. D. Parker, and D. L. Smith, 'Charge injection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Tunneling into low mobility materials', Appl, phys. Lett., Vol. 69, No. 15, p. 2270, 1996 

  8. D. Braun and A. J. Heeger, 'Visible light emission from semiconducting polymer diodes', Appl, phys. Lett., Vol. 58, No. 18, p. 1982, 1991 

  9. I. D. Parker, 'Carrier tunneling and device characteristics in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J. Appl. phys., Vol. 75, No.3, p. 1656, 1994 

  10. 최종선, 박재훈, 'Organic Thin Film Tran-sistor의 기술현황',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17권, 7호, p. 5, 2004 

  11. 장웅상, 최준환, 윤호규, 이주원, 주병권, 김재경, '유기 박막트랜지스터Organic TFT)의 유기 활성층 기술동향',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17권, 8호, p.3, 2004 

  12. S. M. Sze, 'New Jersey. Physics of Semiconductor Devices 2th', 1984 

  13. J. H. Lee, N. G. Park, Y. S. Kim, C. H. Suh, J. H. Shim, and Y. K. Kim, 'Steady-state Analysis for Contact Barrier Effects in Metal/Organic/Metal Structure using Nu-merical Bipolar Transport Simulation', Current. Appl. Phys., C. Appl. phys, (in press),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