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 및 젖소에서 과배란 처리를 이용한 체내수정란 생산과 신선 및 동결 수정란 이식 결과
Production of In-Vivo Embryos by Superovulation and Result of Transfer with Fresh or Frozen Embryos for Hanwoo and Holstein Cattle 원문보기

韓國受精卵移植學會誌 = Korean journal of embryo transfer, v.19 no.3, 2004년, pp.209 - 218  

김용준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송재웅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서세현 (전주동물원) ,  정구남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 종축시험소) ,  김용수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 종축시험소) ,  이해리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신동수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 종축시험소) ,  조성우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 종축시험소) ,  김수희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축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수정란이식술의 실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우 및 젖소 36두로부터 과배란 처리를 하여 신선수정란은 25두에, 동결수정란은 17두에, 쌍태 생산을 위한 수정란 두 개 이식은 13두 수란우에 이식되어 그 생산 결과를 조사하였다. 1 과배란을 위한 호르몬 처리후 반응을 나타낸 공란우는 75.0%이었다. 2. 황체수와 비교하여 채란된 수정란 율은 91.8% 이었다. 3. 비외과적으로 채란된 전체 난자 중 생존성이 있는 배반포는 66.4%이었고, 이식 가능한 배반포는 48.6%이었다. 4. 간이채란법으로 시도된 one-catheter method에 의한 양 자궁 관류성공률은 75.0%이었다. 5. 신선 수정란을 이식후 분만결과에 따른 수태율은 60.0%이었다. 6. 동결수정란을 융해하여 이식후 분만결과에 따른 수태율은 35.3%이었다. 7. 쌍태 생산을 위한 수정란 두 개 이식결과에서 신선수정란 사용시 28.6%, 동결수정란 사용시 16.7%의 쌍태분만을을 나타내었다. 8.수정란 이식 후 생산된 산자에서 수컷의 비율은 56.3%이었다. 9. 수정란 이식 계절에 따른 분만 결과에서 여름에 이식시 가장 낮은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embryo transfer technology to promote productivity of cattle, 36 cows(18 Holstein, 18 Hanwoo) were superovulated. Fresh embryos were transferred to 25 recipients(14 Holstein, 11 Hanwoo), whereas frozen embryos were transferred to 17 recipients(10 Holstein, 7 Hanw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정란 생산을 위하여 과배란 처리를 하여 체내수정란을 생산한 후 신선 수정 란, 동결 수정 란, 쌍태생산을 위한 수정 란들을이식하여 젖소 및 한우에서 수정란이식에 의한 생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다른 연구에서는 시도된바 없는 채란방법으로서 한 개의 카테타를 이용하여 양쪽 자궁각을 관류하는 간이 채란 방법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 1 %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와 직접 관련된 보고는 접하지 못해 비교하기 어려우며 이 연구의 결과를 하나의 자료로서만 제시하고자 한다. 한우와 젖소에서는 한우에서 전체 회수 수정란에 비해 이식 가능 수 정란율이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전체 배반 포수에 비하여는 비슷한 율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샘플 크기에 따른 다소의 차이로 추측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oadbent PJ, Stewart M and Dolman DE. 1991. Recipient management and embryo transfer. Theriogenology, 27:125-139 

  2. Donaldson LE. 1985. Matching of embryo stage and grades with recipient oestrus synchrony in bovine embryo transfer. Vet. Rec., 9:489-491 

  3. Dorn CG and Kraemer DC. 1987. Bovine embryo grading. Texas A&M University, 1-17 

  4. Ellington JE, Foote RH, Farrell PB, Hasler JF, Webb J, Henhderson WB and McGrath AB. 1991. Pregnancy rate after the use of a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 in bovine embryo transfer recipients. Theriogenology, 36: 1035-1042 

  5. Greve T et al. 1979. Morphological evaluation of bovine embryos recovered non-surgically from superovulated dairy cows 6 $\frac{1}{2}$ to 7 $\frac{1}{2}$ . A field study. Ann. Biol. Anim. Biochem. Biophys., 19:1599-1612 

  6. Hasler JF et al. 1983. Superovulatory responses of Holstein cows. Theriogenology, 19:83-99 

  7. Hasler JF. 2003.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commercial embryo transfer in cattle. Theriogenology, 79:245-264 

  8. Kanagawa H et al. 1981. Ovarian response after four continuos administration of gonadotrophin in beef cattle. Jpn. J. Vet. Res., 29:1-7 

  9. Kanagawa H. 1988. Bovine embryo transfer. JICA., 114-115 

  10. Nelson LD, Elsden RP and Seidel GE Jr. 1982. Effect of synchrony between estrus cycles of donors and recipients on pregnancy rates in cattle. Theriogenology, 17:101(abstr.) 

  11. Newcomb R et al. 1978. Comparison of the fetal survival rate in heifers after the transfer of an embryo surgically to one uterine horn and non-surgically to the other. J. Reprod. Fertil., 52:395-397 

  12. Newcomb R. 1979. Surgical and non-surgical transfer of bovine embryos. Vet. Rec., 105:432-434 

  13. Newcomb R et al. 1980. Fetal survival rate after the transfer of 2 bovine embryos. J. Reprod. Fertil., 59:31-36 

  14. Niemann H, Tenhumserg H, Sacher B and Kruff B. 1985. Pregnancy rates after nonsurgical transfer of cattle embryos frozen and thawed by a field method. Anim. Breed., 53:206-207 

  15. Mapletoft RJ, Lindsell CE and Pawlyshyn V. 1986. Effects of clenbuterol, body condition and non- surgical embryo transfer equipment on pregnancy rates in bovine recipients. Theriogenology, 25:172 

  16. Putney DJ, Thatcher WW and Drost M. 1988. Influence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bovine embryo donors and recipients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united states. Theriogenology, 30:905-922 

  17. Saumande J et al. 1978. Factors affecting the variability of ovulation rates after PMSG stimulation: Control of Reproduction in the Cow. ed. Sreenan JM. 195-224 

  18. Scanlon PF et al. 1974. Multiple ovulations, multiple pregnancies and multiple births in Irish cattle. J. Irish Dept. Agric. Fish., 70:2-18 

  19. Shimohira I. 1990. Twinning and in vitro fertilization technology for cattle. JICA., 25-28 

  20. Sreenan JM and Beehan D. 1976. Effect of site of transfer on pregnancy and twinning rates following bilateral egg transfer in the cow. J. Reprod. Fertil., 48:223-224 

  21. Willett FL, Black WG, Casida LE, Stone WH and Buckner PJ. 1951. Successful transplantation of a fertilized bovine ovum. Science, 113:247 

  22. Wright JM. 1985. Commercial freezing of bovine embryos in straw. Theriogenology, 23:17-29 

  23. 고광두, 정길생, 이기만. 1981. 한우의 수정란 이식에 관한 연구. 수정란의 비외과적 채취와 이식. 한국축산학회지, 23:331-337 

  24. 김용준, 이창민, 정구남, 등 2003. 성감별된 한우 수정란의 수정란이식.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8(2):97-108 

  25. 석호봉, 이광원, 신용식 등. 1983. 소의 동결수정란이 수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24(4): 369-374 

  26. 조충호, 강병규, 최상용, 황우석, 김용준. 1990. 증정 수의산과학, 123-124 

  27. 황환섭, 장현용. 김성곤, 등. 2004. 한우 체외성숙?체외수정란의 수정란이식에 관한연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9(1):1-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