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한국거문도 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 인접 어장에서의 어획량과 어획종 변동 Variations of Catch and Fish Species in the Adjacent Fishing Ground of Ceramic Artificial Reefs Constructed on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원문보기
한국 거문도 연안에서 시설된 세라믹 어초의 시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량과 어획종을 조사하였다. 어초 시설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621.9g으로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333.3%많았는데, 이를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적었던 반면 비시설구보다 97% 많았는데, ANOVA 분석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어초 시설구의 어획률은 11월에 최대, 5월에 최소치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연초구, 비시설구에서도 나타났다. 어초 시설구의 우점종은 참동,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저서성 및 회유성 어종이 혼재하였다.
한국 거문도 연안에서 시설된 세라믹 어초의 시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량과 어획종을 조사하였다. 어초 시설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621.9g으로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333.3%많았는데, 이를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적었던 반면 비시설구보다 97% 많았는데, ANOVA 분석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어초 시설구의 어획률은 11월에 최대, 5월에 최소치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연초구, 비시설구에서도 나타났다. 어초 시설구의 우점종은 참동,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저서성 및 회유성 어종이 혼재하였다.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ceramic artificial reefs on the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we have studied the variation of catch and species, which were caught by trammel net on the three fishing grounds of ceramic artificial reef, natural reef, and control(non-reef)in the coast of Geomun-...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ceramic artificial reefs on the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we have studied the variation of catch and species, which were caught by trammel net on the three fishing grounds of ceramic artificial reef, natural reef, and control(non-reef)in the coast of Geomun-do, Korea from 2001 to 2003. Catch per unit effort (CPUE ; g/panel) of fishing ground with the ceramic artificial reef area was 1,621.9g, it was about 67.9% higher than the natural reef area 333.3% higher than the control area. The catch of fish with the ceramic artificial and the natural reef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Tukey test,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ramic artificial reef and the control are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Monthly mean number of species caught by the artificial reef area, the natural reef area and the control area was no difference by ANOVA test. The catch of fish was highest in November and lowest in May, whish was associated with the natural reef and the control a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demersal fishes living around rock such as Pagrus majir, Thamnaconus modestus, Stephanolepis sirrhifer, Pleuronichthys curntus, and Ostracion cubicus in the artificial reef area, but demersal of migratory fishes in the natural reef and the control area.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ceramic artificial reefs on the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we have studied the variation of catch and species, which were caught by trammel net on the three fishing grounds of ceramic artificial reef, natural reef, and control(non-reef)in the coast of Geomun-do, Korea from 2001 to 2003. Catch per unit effort (CPUE ; g/panel) of fishing ground with the ceramic artificial reef area was 1,621.9g, it was about 67.9% higher than the natural reef area 333.3% higher than the control area. The catch of fish with the ceramic artificial and the natural reef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Tukey test,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ramic artificial reef and the control are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Monthly mean number of species caught by the artificial reef area, the natural reef area and the control area was no difference by ANOVA test. The catch of fish was highest in November and lowest in May, whish was associated with the natural reef and the control a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demersal fishes living around rock such as Pagrus majir, Thamnaconus modestus, Stephanolepis sirrhifer, Pleuronichthys curntus, and Ostracion cubicus in the artificial reef area, but demersal of migratory fishes in the natural reef and the control are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 연구에서는 한국 거문도 연안에 세라믹 어초를 시설한 후 3개월이 경과한 시점부터 3년간 어초시설구, 자연초구, 비시설구어장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량 및 종 조성을 조사하여 세라믹 어초 어장의 시설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조업은 오후 3시경에 각각의 어장에 어구를 투망한 후 이튿날 오전 9시경에 양망하였다. 삼중자망에 의한 어장별 어획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어획물중 두족류와 패류를 제외한 어류만을 대상으로 어종별로 분류하여 체중 (BW) 을 전수 측정하였다.
어획 시험은 삼중자망 5폭을 1조로 구성하여 200] 년부터 2003년까지 매년 5월, 8월, 11월에각각 1회씩 총 9회에 걸쳐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비시설구 어장에서 행하였다. 조업은 오후 3시경에 각각의 어장에 어구를 투망한 후 이튿날 오전 9시경에 양망하였다.
대상 데이터
조사해역은 어류용 세라믹 어초가 시설된 한국 남해 중부의 거문도 연안이며, 어초 시설구, 자연 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의 수심은 모두 20m 전 . 후였다(Fig.
1 a). 이 해역에 시설된 어초는 Fig.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당 공용적이 8.032공m3 (L2.3 X W2.4 XH1.5m) 인 어류용 세라믹 어초이다.
어초는 2001년 2월 22일과 동년 9월 25일 각각 20개씩 총 40개가 3개 그룹으로 나뉘어서 시설되었다(Fig. lc).
어획효과 시험에 사용된 어구는 삼중자망으로, 그 규격은 Table 1과 같다 삼중자망의 내망과 외 망의 망목 크기는 각각 84.8 mm, 360 mm였고, 어구 1폭의 뜸줄 길이와 전개된 폭은 각각 70 m, 2.5 m였다. 내망과 외망의 성형률은 각각 46 %, 55 % 였으며, 외망에 대한 내망의 폭비는 1 : 1.
어초는 해양환경에 의해 전도 또는 매몰의 우려가 없으며, 해저의 저질이 펄로 구성되지 않은 해역에 시설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세라믹 어초의 개당 공용적 및 중량은 각각 8.032공m3 1, 940kg (L2.3 X W2.4 X H 1.5 m)으로 시멘트로 제작된사각어초(공용적 8공 m3) 보다 42.7% 가볍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연안역 저질이 주로 사니질 또는니사질로 형성되어 있는 한국 남 .
한국 거문도 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의 시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에서 삼중 자망에 의한 어획량과 어획종을 조사하였다. 어초 시설 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 621.
성능/효과
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 적었던 반면 비 시설 구보다 97 % 많았는데, ANOVA 분석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어초 종류별로는 10여종의 어초가 시설되었으며, 시설률은 사각형이 79.4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점보형, 반구형 순이었다. 근래에 들어 정부에서는 인공어초 시설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초의 재질을 다양화하거나 크기를 대형화하기 시작하였다.
3 g 이었다. 어초 시설 구의 폭당 평균 어획량은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 333.3 % 많았으며, 월 평균 어획 종수는 자연초구에 비해 7.1 % 적었던 반면 비시설구 보다 97.0 % 많았다. 특히, 어초 시설구의월 폭당 어획량은 2003년 5월과 8월을 제외한 모든 월에서 자연초구 보다 많았으며, 비설구에 비해서는 모든 월에서 많았다.
어획 종수는 2002년 11 워 2003년 5워 8워 11월 등 4회를 제외한 모든월에서 자연초구보다 많았으며, 비시설구에 비해서는 2003년 11월을 제외한 모든 월에서 많았다. 어장별 폭당 어획량을 분산분석 (analysis of variance : AN0VA)으로 검정한 결과, 5 % 유의수준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이를 다시 어장별로 세분하여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않았으나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유의차가인정되어 어초의 시설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그러나 어장별 어획 종수는 분산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5 % 유의수준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아 어장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장별 폭당 어획량을 분산분석 (analysis of variance : AN0VA)으로 검정한 결과, 5 % 유의수준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이를 다시 어장별로 세분하여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않았으나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유의차가인정되어 어초의 시설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그러나 어장별 어획 종수는 분산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5 % 유의수준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아 어장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각각의 어장에서 어획된 연간 폭당 어획량 및 어획 종수의 합계를 각각 100이라 간주하고, 연도별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비시설구의 상대 어획률 및 어획 종수 비율을 Fig.
Table 4에서 어초 시설구의 월별 어종과 어획량은 5월과 8월에 말쥐치가 각각 56.8%, 23.3%, 11월에 참돔 51.7 %로 최고를 나타내었고, 자연초구에서는 5월에 말쥐치 21.0%, 8월에 불볼락 14.6%, 11월 참돔 25.9%, 비시설구에서는 5월에 말쥐치 53.7%, 8월에 홍어 21.1%, 11월에 성대 21.2 %로 각각 최고의 어획을 보였다. 어장별 어획 종수는 어초 시설구 36종, 자연초구 34종, 비시설구 19종이었다.
2 %로 각각 최고의 어획을 보였다. 어장별 어획 종수는 어초 시설구 36종, 자연초구 34종, 비시설구 19종이었다. 이 중 어장별로 총 어획량의 70% 를 점유하는 우점종은 어초 시설구에서 참돔 31.
6 %)이었다. 어초 시설구에서 5월, 8월, 11월에 모두 어획된 어종은 말쥐치, 볼락, 쥐치, 참돔 등 4종으로 모두 암초에 서식하는저서성 어종이었다. 자연초구에서는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말쥐치, 볼락, 참돔 외 쏨벵이, 홍어 둥 5 종이 어획된 반면 비시설구에서는 홍어 1종만 어획되었다.
2 %)이었다. 어초구와 비시설구에서 5월, 8월, 11월에 어획된 종수는 각각 17종, 25종, 22종이었으며, 이 중 두 어장에서 어획된 종수는 각각 4종 (23.5 %), 6종 (24.0%), 4종 (18.2 %)이었다.
이 연구에서 세라믹 어초 시설구의 폭당 평균 어획량은 1, 621.9 g으로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 333, 3 % 많았다. 이를 Tukey test 로 분석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던 반면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현저한 유의차를 보여 어초의 시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9 %, 333, 3 % 많았다. 이를 Tukey test 로 분석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던 반면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현저한 유의차를 보여 어초의 시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5). 이는 박과 김 (2000) 및 Park 등(2003)이 동해안과 서해안에서 어초 시설구의 어획량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3.
05), 자연초구에 비하]서는 적거나 유사하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라믹 어초 시설구에서의 월별 어획 종수는 4-12종 (평균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 적었던 반면, 비시설지 보다 97.0% 많았으며, 또한 3년간 어초구에 어획된 종수는 36종으로 자연초구와 유사한 반면 비시설구 보다 89.5 % 많았는데, 이를 AN0VA로 분석한 결과, 어장별 어종 수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박 등 (1992)이 삼중자망에 의한 어초 시설구와 자연 초구와의 어획 종수는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와 Lee and Kang(1994)이 비시설구보다 어초구 어장에서 종 다양성이 나타났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이 연구에서 세라믹 어초구에 어획된 종수는 Lee and Kang (1994)이 남해안에 시설된 사각형어초에 위집된 어종수 10-17종보다 2배정도많았다. 이는 시험에 사용된 삼중자망 내망의 망목크기 및 조사 기간의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판단된다.
보인다. 어장별 우점종은 어초 시설구에서 참돔,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참돔, 말쥐치 등 저서어종과 농어, 홍어, 두툽상어, 성대, 가다랑어 등 저서성 및 회유성이 있는 어종이 혼재하였다. 계절에따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에서는 동일한 어종이 22.
어초 시설 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 621.9 g으로 자연 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 333.3% 많았는데, 이를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 구와 자연초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어초 시설 구와 비시설구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 <0.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
어초 시설구의 우점종은 참돔,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 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저서성 및 회유성 어종이 혼재하였다.
참고문헌 (8)
Kim, J. O., Kim, I. O., Cho, H. D., Cho, S. H., and Jung, C. S.(1999) : Studies on the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Efficiency of Tetragon Artificial Reef in the Western Sea of Kor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6, 27-34
Koike, A. and Takeuchi, S.(1985) : Effect of Trammel Net with Different Sizies of Mesh of Inside Net on Catching Efficiency, Nippon Suisan Gakkaishi 51(6), 895-901
Lee, J. W. and Kang, Y. S.(1994) : Variations of Fish and Density on Artificial Reefs Bull. Korean Fish. Soc. 27(5), 535-548
Park, H. H., Shin, J. K., Kim, J. O., Park, S. Y., Kim, H. S., Lim, D. H., Park, Y. C., Cho, S. H., Hong, S. H., Lee, J. W., and Ahn, B. G.(2003) : An Effect on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of Hollow Jumbo Structure and a Search for Artificial Reefs by Side Scan Sonar in the Western Sea of Korea, Bull. Korean Soc. Fish. Tech. 39(3), 230-238
Park S. W. and Kim, D. K.(2004) : Catching Efficiency of Gill Net and Trammel Net for Ceramic Artificial Reefs Fishing Ground in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Bull. Korean Soc. Fish. Tech. 40(3), 182-18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