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커지면서 도시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대구시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국가이미지의 개념을 응용한 본 연구는 2 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 1에서 대구와 서울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구시 및 서울시의 도시이미지를 측정하여 도시이미지 차원을 도출하고 각 도시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구 경북과 서울 경기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대구시의 도시이미지 차원을 검정하고 거주지역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 경제수준, 시민성, 보수성, 발전가능성의 4 차원으로 추출된 도시이미지는 연구 2에서 검정되었다. 대구시의 이미지는 보수성이 가장 높고 경제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는데, 연구 1의 결과 보수성과 시민성에서 서울시보다 높고 경제수준에서 더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연구 2의 결과 거주지역에 상관없이 고소득, 고학력, 미혼, 젊은 층은 대구시의 이미지를 보수적이며, 시민성과 발전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여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 단계 모두에서 대구지역 응답자가 서울지역 응답자보다 대구시의 이미지에 대해 보다 부정적이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커지면서 도시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대구시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국가이미지의 개념을 응용한 본 연구는 2 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 1에서 대구와 서울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구시 및 서울시의 도시이미지를 측정하여 도시이미지 차원을 도출하고 각 도시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구 경북과 서울 경기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대구시의 도시이미지 차원을 검정하고 거주지역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 경제수준, 시민성, 보수성, 발전가능성의 4 차원으로 추출된 도시이미지는 연구 2에서 검정되었다. 대구시의 이미지는 보수성이 가장 높고 경제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는데, 연구 1의 결과 보수성과 시민성에서 서울시보다 높고 경제수준에서 더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연구 2의 결과 거주지역에 상관없이 고소득, 고학력, 미혼, 젊은 층은 대구시의 이미지를 보수적이며, 시민성과 발전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여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 단계 모두에서 대구지역 응답자가 서울지역 응답자보다 대구시의 이미지에 대해 보다 부정적이었다.
Applying the construct of country image this study examined city image for Daegu in Korea. Study 1 measured the city image for Daegu and Seoul, identified the city image dimensions, and compared the images of the two cities. Study 2 confirmed the city image dimensions and examined the Daegu image by...
Applying the construct of country image this study examined city image for Daegu in Korea. Study 1 measured the city image for Daegu and Seoul, identified the city image dimensions, and compared the images of the two cities. Study 2 confirmed the city image dimensions and examined the Daegu image by residenc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n Daegu and Seoul regions. The study extracted 4 dimensions of city image including economy, people, conservatism, and development capability. High conservatism and low economic prosper represented the image of Daegu while the opposite did of Seoul. Regardless of residency, single and Young respondents with high income and education had negative images for Daegu, and residents in Daegu rather than in Seoul had more negative images.
Applying the construct of country image this study examined city image for Daegu in Korea. Study 1 measured the city image for Daegu and Seoul, identified the city image dimensions, and compared the images of the two cities. Study 2 confirmed the city image dimensions and examined the Daegu image by residenc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n Daegu and Seoul regions. The study extracted 4 dimensions of city image including economy, people, conservatism, and development capability. High conservatism and low economic prosper represented the image of Daegu while the opposite did of Seoul. Regardless of residency, single and Young respondents with high income and education had negative images for Daegu, and residents in Daegu rather than in Seoul had more negative imag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