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강릉시 일대 산불지역 분류를 위한 Landsat ETM 영상 분류지수의 활용
Application of Landsat ETM Image Indices to Classify the Wildfire Area of Gangneung, Gangweon Province,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5 no.8, 2004년, pp.754 - 763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전공수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지역 산불지역의 피해분석을 위한 피해지 지표분류를 목적으로 Landsat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ETM+) 영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류지수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연구지역 산불지역을 대상으로 Landsat TM 영상을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식생지수(NDVI)와 토양을 고려한 식생지수(SAVI), Tasseled Cap 변환으로 억을 수 있는 밝기지수(brightness), 습윤지수(wetness), 녹색지수(greenness)를 야외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식생지수와 토양을 고려한 식생지수는 산불발생지역과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구분이 뚜렷하였으나, 산불발생지역내에서 피해지역 구분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불방생지역내에서는 Tasseled Cap 변화에서 나타나는 토양평면을 활용할 때 침식피해와 관련한 야외조사 결과와 가장 근접한 분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asseled Cap 변환에서 건조지수와 녹색지수를 더하여 선형함수로 활용하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산불지역을 분류가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Landsat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ETM+) index, which matches well with the field survey data in the wildfire area of Gangneung, Gangweon Province, Korea. In the wildfire area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SAVI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생지수(NDVI)는 영상에서 식생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Eastman and Fulk, 1993). 본연구의 목적은 Landsat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ETM+) 영상에서 산불발생지역을 탐지하는데 활용되는 Tasseled Cap변환, NDVI, SAVI를 야외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야외조사 결과에 적합한 분류지수가 어떤 것인가를 파악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산불지역을 분류하기 위해 Type n, Type m, Type IV 유형은 식생지수와 건조지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선형적 관계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산불발생지역은 식생지수와 건조지수가 정비례 관계를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동해안 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2000, 동해안 산불지역 정밀조사보고서 I, 533 p 

  2. 원강영, 임정호, 2001, 단일 시기의 Landsat & ETM+ 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지도 작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7 (1), 85-97 

  3. Cloutis, E.A., 1996. Hyperspectral geological remote sensing: Evaluation of analytical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rnoteSensing, 17, 2215-2242 

  4. Crist, E.P. and Cicone, RC., 1984, Comparisons of the dimensionality and features of simulated Landsat-4 MSS and TM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 (1-3), 235-246 

  5. Eastman, J.R. and Fulk, M., 1993, Long sequence time series evaluation using standardized principal component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59 (4), 991-996 

  6. Fox, D.M., Bryan, R.B., 2000, The relationship of soil loss by interrill erosion to slope gradient. CATENA, 38, 211-222 

  7. Gao, X., Huete, A.R., Ni, W. and Miura, T., 2000, Optical-Biophysical Relationships of Vegetation Spectra without Background Contamin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4 (3), 609-620 

  8. Gitelson, A.A., Kaufman, Y.J., Stark, R and Rundquist D., 2002, Novel algorithms for remote estimation of vegetation frac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0 (1), 76-87 

  9. Huete, A.R. and Escadafal, R., 1991. Assessment of biophysical soil properties through spectral decomposition techniqu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5, 149-159 

  10. Koutsias, N., Karteris, M., 2000, Burned area mapping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of a single post-fire Landsat-5 Thematic Mapper imag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 673-687 

  11. Kutiel, P., Lavee, H., Segev, M. and Beyarnini, Y., 1995, The effect of fire-induced surface heterogeneity on rainfall-runoff-erosion relationships in an eastern Mediterranean ecosystem. Israel, CATENA, 25. 77-87 

  12. Nagler P.L., Daughtry C. S. T., Goward S.N., 2000, Plant litter and soil reflectanc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1, 207-215 

  13. Nyakatawa, E. Z., Reddy, K.C., Lemunyon, J.L., 2001, Predicting soil erosion in conservation tillage cotton production systems us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Soil and Tillage Research, 57, 213-224 

  14. Rondeaux, G., Steven, M., and Baret, F, 1996, Optimization of soil-adjusted vegetation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5, 95-107 

  15. Ternan, J.L. and Neller, R., 1999, The erodibility of soils beneath wildfire prone grasslands in the humid tropics. Hong Kong, CATENA, 36, 49-64 

  16. Wikars, L-O. and Schimmel, J., 2001, Immediate effects of fire-severity on soil invertebrates in cut and uncut pine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1 (3), 189-2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