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릉과 원주지역의 야간 오존 변화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the Nocturnal Ozone Variations over Kangreung and Wonju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5 no.6, 2004년, pp.474 - 483  

김현숙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현진 (부산대학교 대기환경학과) ,  김재환 (부산대학교 대기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강릉과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는 대도시 지역에서 관측되어지는 오후에 최대치, 일출부근에 최소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강릉지방의 일변화에서는 오후에 최대치를 보여주나 새벽 3시경이 2차 극값이 관측되어졌다. 3차 극값의 경우 오후 최대 값보다 높은 값이 종종 관측되어졌다. 이와 같은 새벽에 발생하는 오존 상승은 일년 내내 관측되어졌으나 그 양과 범위에서 봄철이 가장 뚜렷하였다. 이와 같은 새벽 오존 상승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상인자와 오존의 상관관계와, HYSPLIT모델을 이용하여 공기의 기원을 조사하였다. 새벽 오존 농도 상승이 나타나는 날은 바람이 강하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날이었다. 새벽오존 농도 상승이 일어날 때 모델을 이용한 공기의 기원을 분석해본 결과 서풍이 불면서 하강운동이 동반한 경우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편서풍이 강하게 부는 봄철에 대도시가 밀접한 강릉의 서쪽 지역에서 이동되어온 오존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런 경우 밤에도 바람이 강하게 불어 강력한 혼합현상에 의해 오존이 풍부한 대기 상층의공기가 하부로 유입되면서 지표 부근 오존의 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ozone variations over Kangreung and Wonju. It was found that the diurnal cycle of ozone over Wonju has a primary ozone peak in the afternoon and a minimum around sunrise, which is a typical diurnal ozone cycle observable in the urban area. Howeve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1은 96년부터 98년까지 강릉에서 발생한 야간 오존농도 상승의 발생 빈도를 나타낸 것이다. 96년 가을부터 98년 봄까지 야간의 오존 농도 변화가 비교적 컸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야간의 오존 농도 변화가 크면서 계절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도록 1997년 일년 동안의 자료를 기상인자와 비교해보았다. 지표의 기상관측 자료는 결측이 거의 없었으나 온도와 상대습도는 3시간 간격, 풍속과 풍향은 매시간 마다 측정되었으므로 오존농도와 기상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매 시간 비교할 수는 없었다.
  • 또한 상층의 기상 인자가 야간의 고농도 오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후 사례 분석을 통해 야간의 오존 농도 상승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년 동안 강릉과 원주의 지표 오존 농도를 비교하여 야간 오존농도 상승의 경향을 분석하고 기상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야간 오존 농도상승의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인 야간의 오존 농도 상승을 알아보기 위한 야간 오존 농도 상승일은 지표에서 최저농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인 밤 9시부터 새벽 6시까지 9시간 동안의 최고 농도와 최저 농도의 차이가 월평균 차이보다 큰 날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10개의 관측값 중에서 60% 이상 결측이 있었던 날은 대표값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봄철을 대표하는 4월 중에 배경농도인 40ppb 이상의 2차 최고농도가 나타난 날의 시간별 온도변화에 따른 오존농도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온도 측정이 3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21시와 24시, 24시와 3 시, 3시와 6시의 오존농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그러므로 야간의 고농도 오존은 소멸반응의 지연이 주원인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야간 고농도 오존의 다른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오존과 기상인자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본문에서는 강릉과 원주의 계절별, 일별 오존 농도 변화를 살펴본 후 야간의 고농도 오존이 나타날 때 지표 기상인자를 분석해 보겠다. 또한 상층의 기상 인자가 야간의 고농도 오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후 사례 분석을 통해 야간의 오존 농도 상승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지표에서 야간의 고농도 오존과 대류권 상층부의 바람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오산 공군기지에서 관측한 상층 기상자료를 분석하였다. 강릉과 오산은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기상패턴이 다르지만 상층은 지표부근의 영향이 매우 적으므로 850hPa(약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민영, 최여진, 김기현, 2002, 오존의 환경기준 초과양상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3 (8), 683-696 

  2. 김용상, 홍성길, 1996, 늦봄 또는 초여름에 영동지방에서 나타나는 '유사푄'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2 (4), 593-600 

  3. 김유근, 홍정혜, 1998, 야간 지표 고농도 오존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 (6), 545-554 

  4. 서명석, 박경윤, 이호근, 장광미, 강창희, 허철구, 김영준, 1995, 청정지역과 도시지역의 오존 농도 특성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 (3), 253-262 

  5. 설동일, 2001, 대류권-성층권 평균자오면순환의 장기변동. 한국지구과학회지, 22 (5), 415-422 

  6. 전병일, 김유근, 이화운, 1995, 부산지역의 오존농도 특성과 기상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 (1), 45-56 

  7. 정용승, 정재섭, 1991, 서울 수도권 지역의 광화학 오존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7 (3), 169-179 

  8. Fuentes, J.D. and Dann, T.F., 1994, Ground-level ozone in eastern Canada: seasonal variations, trends, and occurrences of high concentrations.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4, 1019-1026 

  9. Ghim, Y.S. and Chan, Y.S., 2000, Characteristics of ground-level ozone distributions in Korea for the period of 1990-1995.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5, 8877-8890 

  10. Heo, J.S. and Kim, D.S., 2002, The characterization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8, 129-142 

  11. Kajii, Y., Someno, K., Tanimoto, H., Hirokawa, J., Akinoto, H., Katsuno, T., and Kawara, J., 1998, Evidence for the seasonal variation of photochemical activity of tropospehric ozone: Continuous observation of ozone and CO at Happo, Japa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5, 3505-3508 

  12. Logan, J.A., 1985, Tropospheric ozone: Seasonal behavior, trends, and anthropogenic influenc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 10463-10482 

  13. Mauzerall, D.L., Daiju, N., Hajime, A., Larry, H., Stacy, W., Didier, A.H. and Guy, B., 2000,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ropospheric ozone production and mixing ratios over East Asia: A global three-dimensional chemical transport model analysi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5, 17,895-17,910, 2000 

  14. Oltmans, S.J. and Levy, H. II, 1994, Surface ozone measurements from a global network. Atmospheric Environment, 28, 9-24 

  15. Oltmans, S.J., Levy, H. II, Harris, J.M., Merill, J.T., Moody, J.L., Lathrop, J.A., Cuevas, E., Trainer, M., O'Neill, M.S., Prospero, J.M., Vomel, H., and Johnson, B.J., 1996, Summer and spring ozone profiles over the North Atlantic from ozonesonde measurem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1, 29,179-29,200 

  16. Pakpong, P., Hirokawa, J., Kajii, Y., Aikmoto, H. and Nakako, M., 1999, Influence of regional-scale anthropogenic activity in northeast Asia on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ozone and carbon monosice observed at Oki, Jap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4, 17895-17910 

  17. Pochanart, P., Hirokawa, J., Kajii, Y., Akimoto, H., and Nakao, M., 1999, Influence of regional- scale anthropogenic activity in northeast Asia on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ozone and its precursors observed at Oki, Jap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4, 3621-3631 

  18. Reitebuch, O., Strassburger, A., Emeis, S., and Kuttler, W., 2000, Nocturnal secondary ozone concentration maxima analysed by sodar observations and surface measure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34, 4316-4329 

  19. Schuepbach, E., Davies, T.D., and Massacand, A.C., 1999, An unusual springtime ozone episode at high elevation in the swiss Alps: contributions both from cross-tropopause exchange and from the boundary layer. Atmospheric Environment, 33, 1735-1744 

  20. Sunwoo, Y., Carmichael, G.R., and Ueda, H., 1994,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surface ozone in Japan. Atmospheric Environment, 28, 25-37 

  21. Tulet, P., Maalej, A., Crassier, V., and Rosset, R., 1999, An episode of photooxidant plume pollution over the Paris region. Atmospheric Environment, 33, 1651-1662 

  22. Weston, K.J., Kay, P.J.A., Fowler, D., Martin, A., and Bower, J.S., 1989, Mass budget studies of photochemical ozone production over the U.K. Atmospheric Environment, 23, 1349-13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