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와 조선초기 오복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ive-Class Mourning Costume-System in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6 no.2, 2004년, pp.144 - 152  

전혜숙 (동아대학교 의상섬유학부) ,  권이순 (동아대학교 가정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ettlement of this etiquette book and the five-class mourning-costume system throughout two dynasties is examin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hosun dynasty's efforts to practice Chu-Ja-Ga-Rye(朱子家禮, Chu Hsi's Book of Family Rituals) through legal intensification and enlighte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려와 조선의 상복제도를 통하여 첫째, 유교의 정착화를 위한 정치권의 노력을 상복제도 정착화 중심으로 알아보고, 둘째, 중국으로부터 유교를 도입하여 고려성 종대에 제도로 확립시켜 놓았던 5려사>에 수록된 오복제도와 조선조 유교적 통치 이념의 정착기라 볼 수 있는 성종대에 편찬된 의 오복제도를 중심으로 고려와 조선의 상복제도를 비교 고찰하되 친소관계로 인한 상복제도의 변화를 가족제도, 혼인형태의 변화를 통해 규명해보며, 셋째, 상복제도의 변화에 내포된 사회적 변화의 의미를 규명해보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자 한다.
  • 이 장에서는 V고려사>에 수록된 성종 4년에 제정한 오복제도와 조선 성종조의 에 명시된 오복제도를 Table 1 로 정리하여 상기의 변화와 친소관계에 따른 오복제도 적용의 비교 고찰을 통해 고려와 조선의 사회제도의 변화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 오복제도의 변화에 나타난 남녀차별 :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복 변화를 통해 나타난 남성위주, 적장자위주의 종법제도 확립은 남녀차별의식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여성에게 적용되었던 오복제도의 친소관계와 변화과정을 聽, 妻, 母, 外家로 나누어 따로 분석해보며, 가부장제의 확립에 따라 상대적으로 축소된 여성의 위치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 상례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상복제도는 親疎에 따라서 그 제도가 각기 다르게 적용되니, 사회제도의 기초가 되는 가족제도의 친소관계를 구체적으로 표출해주고 있으므로, 상복제도의 변화는 국가 차원으로 볼 때 사회제도와 통치의 전체적인 방향과 목적의 변화라 볼 수 있다. 즉 조선의 유교적 사회질서 체제로의 전환은 기초 사회질서체제인 가족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사회질서의 변화는 고려대와는 다르게 조선조 여성의 지위변화에도 많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바, 조선조 여성의 지위변화와 상복제도의 변화는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영자(1981) 상례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혜영. 조우현(1994) 불교 상복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논문집, 1, pp. 104-120 

  3. 문철영(1982) '고려 신흥사대부의 신유학수용과 그 특질'. 서울대, 서울, pp. 116-117 

  4. 변태섭(1999) '한국사통론'. 삼영사, 서울, p.50, 163 

  5. 오미숙(1990) 상복비고 한구과 중국의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성애(1998) 의례예기상례여한국상례지비교. 국립대만대학 중국문학연구소 박사학위논문 

  7. 이순구(1994) 조선초기 종법의 수용과 여성지위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필상(1974) 고려시대 복제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현재(1993) '유교젹 전통사회의 구조와 특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p.6 

  10. 정긍식(1988) 조선초기 주자가례의 수용에 관한 고찰, 상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종수(1994) 조선초기 상장의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 

  12. 조우현(1989)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8 

  13. 최재석(1986) '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서울, p.209, pp.222-235, pp.261-262 

  14. 최해율(1997) 조선시대 상장례·상례행렬복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經國大典 

  16. 高麗史志 18禮 6國恤, 后妃 

  17. 論語 爲政 

  18. 唐開元禮 . 凶禮 

  19. 釋名 

  20. 讀禮通考 卷三十七 

  21. 禮記 喪服小記 大傳 閒傳 

  22. 儀禮 喪服 

  23. 儀禮注疏 卷30 喪服 

  24. 禮疑類輯 卷六 

  25. 朱子家禮 

  26. 朝鮮王朝實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太祖 元年 7月 (丁未), p.100, 太宗 8年 5月 19日 (丁卯), p.247, 太宗 3年 6月 9日(乙卯), p.337, 世宗 8年 正月 (壬戊), p.147, 太宗 10年 正月 28日(乙未), p.123, 太宗 3年 4月 4日(庚戌), p.306, 世宗 4年 2月 28日 (乙卯), p.28, 世宗 13年 10月 13日(甲辰), p.254, 世宗 14年 9月 13日 (戊辰), pp.71-74, 世宗 14年 11月 28日 (癸未), p.126, 定宗 元年 1月 9日(庚辰), p.17, 太宗 3年 4月 4日 (庚戌), pp.306-309, 世宗 2年 10月16日(辛亥), pp.196-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