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구름문양의 유형과 특성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ouds-Shaped Pattern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6 no.2, 2004년, pp.169 - 176  

장현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ouds-shaped pattern is originated from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It stands for good-luck, longevity and productivity. It has been used on its own or with other patterns since the ancient times. It also has various forms. It particularly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patte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자수법은 조선시대 남자 관복의 흉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자수된 구름문양은 정확한 형태 파악에 어려운 점이 많아서 본 연구에서는 직조에 의해 나타난 구름문양 만을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구름문 양이 사용된 자료들 중에서 비교적 그 형태가 분명하게 남아 있는 자료를 선별하여 구름문양 패턴을 구성요소와 배치구도, 소재, 용도 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름 문양이 많이 사용된 조선시대 직물 유물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직물에 직조된 구름문양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 조상들이 활용한 구름문양의 외형미 뿐 만 아니라 그 내적인 상징성까지 함께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실증자료가 풍부한 조선시대로 시대를 한정하여 직물에 나타난 구름문양을 중심으로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조선시대에는 구름문양이 직조된 직물을 중국에서 수입한 기록이 연산군일기에 있으며, 공물로 받아들인 기록도 문종실록 둥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조사한 직물을 모두 국내 생산품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당시 사용한 직물은 당 시대인의 미적 감각이 반영된 것으로 특성을 분석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여 조선시대 국내 유통된 직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고자 한다.
  • 문양을 시문하는 방법은 직조, 자수, 채회, 염색 둥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조선시대 구름문양을 직물에 시문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방법은 직조와 자수법이다. 특히 자수법은 조선시대 남자 관복의 흉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자수된 구름문양은 정확한 형태 파악에 어려운 점이 많아서 본 연구에서는 직조에 의해 나타난 구름문양 만을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구름문 양이 사용된 자료들 중에서 비교적 그 형태가 분명하게 남아 있는 자료를 선별하여 구름문양 패턴을 구성요소와 배치구도, 소재, 용도 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경기도 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경기도, pp.175-177 

  2. 경기도 박물관 (2003) ' 동래정시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경기도, pp.102-103, pp.133-135, p.152 

  3. 고부자 (2002) '조선시대 피륙(직물)의 무늬'.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서울, pp.6-64, 199-202 

  4. 김영숙 (1997) '조선전기 불복장직물의 이해 흑석사 아미타불 복장 직물'. 미술문화, 서울, pp.88-89 

  5. 권영숙. 이주영 (1995) 조선 초 .중기 여자 장의 제도. 임란전 . 후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가정대학 연구보고, 21, 122 

  6. 심연옥 (2003) '한국 직물 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서울, p.138, 151 

  7. 안상수 (1988) '한국 전통 문양집4 구름'. 안그라픽스, 서울, pp.8-16 

  8. 임영주 (1991) '전통문양 자료집'. 미진사 , 서울, pp.23-25, 97-102 

  9. 장현주 (1999) 조선시대 견직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문종실록 즉위년 4월 29일(임인) 

  11. 문종실록 즉위년 7월 19일(신유) 

  12. 석주선기념 민속박물관 (1983-2002) 한국복식 1호-20호 

  13. 연산군일기 10년 4월 11일(임인) 

  14. 연산군일기 10년 7월 6일(갑오) 

  15. 연산군일기 12년 5월 10일(기축) 

  16. 早坂?子 (2003) ' 日本 .中國の文樣車典'. 視覺テザ?ン,束?, pp.134-135, 284-285 

  17. 周? . 高春明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상해사책출판사전, 상해, p.6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