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 환경안보와 동북아 국가들의 한계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ecurity and limitation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39 no.6 = no.105, 2004년, pp.933 - 954  

최병두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국제환경안보의 개념적 발달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동북아 지역에서 환경거버넌스의 구축을 어렵게 하는 몇 가지 주요한 한계들을 지적하고자 한다. 국제 환경안보의 개념은 전통적 의미 또는 현실주의적 의미의 안보 개념에서 나아가 신자유주의적 환경안보와 정치경제적 환경안보의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안보의 개념과 관련하여 환경레짐과 환경거버넌스의 개념이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 진정한 환경거버넌스를 (이론 및 현실에서) 구축하기 위하여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정치경제적 배경에 관한 분석과 더불어 시민사회의 성숙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동북아 지역의 환경안보에 있어 한계점으로 경제적 분업구조. 정치군사적 대립관계 그리고 시민 의식의 미성숙과 상호배타성 등이 지적될 수 있다. 동북아 지역의 진정한 환경안보를 위하여, 호혜적 경제협력체계의 구축, 정치적 신뢰 및 국가간 연계기구의 설립, 비정부기구의 교류 증대 등이 요청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considers critically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ecurity, and to explore some limitations which seem to have made difficult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 recently emerging concept of environmental...

주제어

참고문헌 (55)

  1. 권경희, 2000, '에코페미니즘의 역할과 한계성 -동북아 국제환경이슈와 여성환경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16(1), 189-205 

  2. 김성수, 2001, '한국, 중국, 일본의 다자간 환경협력에 관한 연구,' 21세기 정치학회보, 11(2), 213-234 

  3. 김영호, 1997, '신현실주의의 비판적 고찰, 국제정치논총,' 37(2), 3-22 

  4. 김정인, 2001, '동북아 환경협력 구축을 위한 중장기 방안에 대한 연구,' 동북아연구(중앙대학교 동북아연구소 편), 15, 77-95 

  5. 김현진, 2003, '동북아 환경문제를 둘러싼 갈등과 협력 -NOWPAP 사례를 중심으로-,' 평화연구(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편), 11(3) 

  6. 이채문, 2004, '시베리아 송유관 건설의 정치경제학적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110-131 

  7. 전형근, 1999, '환경문제의 세계화와 정치적 성격,' 한국동북아논총, 13, 73-93 

  8. 정상률, 1998, '지구적 환경문제에 대한 환경안보적시각 -환경안보 담론(주권.공동체)을 중심으로-,' 1998년 한국정치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9. 정회성. 김용우. 안형기. 김성윤. 이기한, 2000, '동북아 3국 환경NGO의 실태분석 국제적 연대방안의 모색,' 한국정책학회보, 9(1), 343-367 

  10. 조경근, 1998, '지구환경쟁점의 정치적 구조와 한국의 과제,' 환경과 정치 (한국정치학회 환경문제특별학술회의 자료집), 1-8 

  11. 천정웅, 1995, 지구환경레짐의 정치경제학, 한울 

  12. 최병두, 1995, 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 한울 

  13. 최병두, 2002,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14. 최병두, 2003, '동아시아의 경제. 환경문제와 초국경적 대응,' 계간 사상 (겨울호), 156-180 

  15. 홍금우, 2002, '동북아지역의 환경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23(1), 23-39 

  16. Akaha, T., 2002,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in Northeast Asia and Prospect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paper presented at a seminar on Thinking Outside the Security Box: Nontraditional Security in Asia: Governance, Globalization and the Environment, United Nations University Seminar, New York, March 15, 2002 

  17. Barnett, H.J., 1958, The changing relation of natural resources to national security, Economic Geography, 34, 188-201 

  18. Cashore, B., 2002, Legitimacy and the privatiza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how non-state market-driven (NSMD) governance systems fain rule-making authority, Governance, 15(4), 503-530 

  19. Clapp, J., 1998, The privatization of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ISO 14000 and the developing world, Global Governance, 4(3), 295-316 

  20. Dalby, S., 1992, Ecopolitical discourse: 'environmental security' and political geograph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6(4), 503-522 

  21. Dalby, S., 1996, Environmental security: geopolitics, ecology and the new world order, in Braden, J., et al.(eds.), Environmental Policy with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Edward Elgar, Cheltenham 

  22. Deudney, D., 1990, The case against link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national security, Millennium, 19(3), 461-476 

  23. Deudney, D., 1997, The limits of environmental security, in Sheldon Kamieniecki et al. (eds.), Flashpoints in Environmental Policymaking, SUNY Press, Albany, NY 

  24. Dryzek, J., 2001, Resistance is fertil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1(1), 11-17 

  25. Dupont, A., 1998, The Environment and Security in Pacific Asia, Adelphi 319,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6. Dyer, H. C., 1996, Environmental security as a universal value: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theory, in Vogler, J., and Imber, M. F. (eds.), The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Routledge, London 

  27. Ford, L. H., 2003, Challenging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social movement agency and global civil society,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3(2), 120-134 

  28. Gulbrandsen, L.H., 2004, Overlapping public and private governance: can forest certification fill the gaps in the global forest regim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2004(2), 75-99 

  29. Haas, P. M., 1999, Social constructivism and the evolution of multilateral environmental governance, in Aseem Prakash and Jeffrey Hart (eds.), Globalization and Governance, Routledge, London, 103-133 

  30. Haas, P. M., 2002, Constructing environmental conflicts from resource scarcity,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2(1), 1-11 

  31. Haque, M. S., 2001, Environmental security in East Asia: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24(4), 203-234 

  32. Harvey, D., 2003, The New Imperialism, Oxford Univ. Press, Oxford 

  33. Homer-Dixon, T., 1994, Environmental scarcities and violent conflict: evidence from the cases, Internationnl Security, 19(1), 5-40 

  34. Homer-Dixon, T., 1999, Environment, Scarcity and Violen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Humphreys, D., 2003, Life protective or carcinogenic challenge? Global forests governance under advanced capitalism,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3(2), 40-56 

  36. Humphreys, D., 2004, Redefining the issues: NGO influence on international forest negotiations,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4(2), 51-75 

  37. Imber, M. F., 1994, Environment, Security and UN Reform, St. Martin's Press, NewYork 

  38. Kutting, G., 2000, Environment,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Routledge, London 

  39. Lee, G., 2002, Regional environmental security complex approach to environmental security in East Asia, UNU Seminar on Thinking Outside the Security Box: Non-traditional Security in Asia: Governance, Globalization and the Environment (15, March, 2002) 

  40. Lipschutz, R. D., 1999, From local knowledge and practice to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in M. Hewson and T. J. Sinclair, (eds.), Approaches to Global Governance Theory, State Univ. of NewYork, Albany, 259-283 

  41. Litfin, K. T., 1999, Constructing environmental security and ecological interdependence, Global Govemance, 5(3), 359-377 

  42. Maddock, R. T. 1995, Environmental security in East Asia, Contemporary Southeast Asia, 17(1), 20-37 

  43. Mische, P. M., 1989, Ecological security and the need to reconceptualise sovereignty, Alternatives, 14, 389-427 

  44. Myers, N., 1993, Populati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Environmental Conservation, 20(3), 205-216 

  45. Newell, P., 2001, New environmental architectures and the search for effectiveness,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1(1),35-44 

  46. Newell, P., 2003, Globalization and the governance of biotechnology,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3(2), 56-71 

  47. Ney, S., 1999, Environmental security: a critical overview, Innovation, 12(1), 7-24 

  48. Paehlke, R., 2001, Environment, equity and globalization: beyond resistanc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1(1), 1-10 

  49. Paterson, M., 1996, IR theory: neorealism, neoinstitutionalism and climate change convention, Vogler, J. and Imber, M.F. (eds.), The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NewYork, Routledge 

  50. Paterson, M., Humphreys, D., and Pettiford, L., 2003, Conceptualizing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from interstate regimes to counterhegemonic struggles,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3(2), 1-10 

  51. Pirages, D., 1997, Demographic change and ecological security, Environmental Change and Security Centre Report, Issue 3, 5-14 (Ney, S., 1999에서 재인용) 

  52. Thomson, J. E., 1995, State sovereignty in international relations: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39(2), 213-233 

  53. Vogler, J., 2000, The Global Commons: A Regime Analysis, (2nd ed.), Wiley, London 

  54. Young, O. R. (ed.), 1997, Global Governance: Drawing Insights from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Cornell U.P. Ithaca 

  55. Zarsky, L. and Tay, S. C., 2001, Civil society and the future of environmental governance in Asia, in Angel D. and Rock M. (eds.), Asia's Clean Revolution: Industry Growth and the Environment, Greenleaf Publishing, Sheffiel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