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중앙부해역의 표층퇴적물중 유기물과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A Study of Organic Matter and Dinoflagellate Cyst on Surface Sediments in the Central Parts of South Sea,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3 no.2 = no.58, 2005년, pp.163 - 172  

박종식 (여수대학교 대학원 수산과학과) ,  윤양호 (여수대학교 대학원 수산과학과) ,  노일현 (여수대학교 대학원 수산과학과) ,  서호영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해 중앙부해역의 해양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층 퇴적물중의 와편모. 조류 시스트와 유기물 분포에 대한 조사를 2002년 4월부터 2003년 1월가지 총 6회 실시하였다. 분석 항목 중 함수율, 강열감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입자성 유기탄소, 입자성 유기질소, 식물색소량은 각각 $38.7\~68.9\%\;3.9\~\;12.5\%,\;9.60\~44.05\;m9O_2\;gdry^{-1},\;3.12\~13.14mgC\; gdry^{-1},\;0.49\~2.01mgN\;gdry^{-1}$$1.61\~29.51{\mu}g\;gdry^{-1}$ 범위로 나타났다. 시스트는 18속, 31종 2미동정으로 총 33종이 동정되었으며, 우점종은 주로 독립영양종인 Spiniferites bulloideus와 Scrippsiella trocho-idea가 나타났으며 현존량은 $42\~2,880\;cysts\;gdry{-1}$ 범위로 출현하였다. 유기물 농도와 시스트 현존량은 연안해역보다 육상에서 멀리 떨어진 외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기원은 육상기원보다는 해역자체 생산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결과 4월과 7월 모두 제1주성분은 "외해 유기물 집적"을, 제2주성분은 "시스트 출현량"에 의해 집약되는 특성으로 판단 할 수 있었으며, 득점분포도에 의해 남해 중앙부 해역은 3개의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eld survey on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and organic matter carried out bimonthly at 14 stations in the central parts of South Sea, Korea from April 2002 to January 2003. The r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surface sediments such as water...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국립수산진흥원. 2000. 2000년도 수온자료 

  2. 김소영, 문창호, 조현진. 2003. 한국 남해 연안 광양만 표층 퇴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비교. 한국해양학회지. 8:111-120 

  3. 나정열, 한상규, 조규대. 1990.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특성-남해연안수 확장과 수온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3:267-279 

  4. 노일현. 2003. 가막만 양식장 주변해역 퇴적물중 유기물량 분포 및 기원.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6pp 

  5. 박용안, 김경렬, 박수철, 박상윤. 1987. 한국 대한해협 대륙봉표층 퇴적물의 특성과 세립퇴적물의 특성과 세립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2:43-56 

  6. 박종식, 윤양호. 2003. 와편모조류 cyst 분포에 의한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1. 가막만 와편모조류 cyst의 시 공간적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6:151-156 

  7. 박종식, 윤양호, 노일현. 2004.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에 의한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2. 가막만 주상퇴적물중 유기물 및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분포특성에 의한 해양환경변화 추정.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7:164-173 

  8.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208-214 

  9. 승영호. 1992.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한국해양학회지. 27:324-331 

  10. 양문호, 한상희, 김형섭, 최상덕. 1999. 해창만 벗굴, Osrea denselamellosa 서식지의 환경특성. 한국패류학회지. 15:105-113 

  11. 양영진, 김상현, 노홍길. 1998. 한국 남.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출현하는 수온전선. 한국수산학회지. 31:695-706 

  12. 윤양호. 2000. 거금수도 표층퇴적물중의 유기물 분포 및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9:137-144 

  13. 윤양호. 2003. 득량만 표층퇴적물 중 유기물 시.공간적 분포 및 기원. 한국환경과학회지. 12:735-744 

  14. 윤양호, 김성아. 1996. 남해연안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과 기초 생산 1. 가뭄시 여수해만의 수질환경과 식물색소량 분포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5:347-359 

  15. 이무형, 이준백, 이진애, 박종규. 1999. 가막만 일대 편모조류 군집구조의 휴면시스트의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14:255-266 

  16. 이은하. 2000. 한국연안 휴면포자의 분포와 분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8pp 

  17. 조영길, 이창복, 최만식. 1994. 남해 대륙붕 표층퇴적물 중 중금속 원소의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9:338-356 

  18. 조현서, 유영석, 이규형. 1994. 가막만 수질 및 저질 환경의 계절별 변동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3:21-33 

  19. 조현서, 장성원, 김용욱, 서재훈. 2001. 진주만 수질 및 저질 환경.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85-190 

  20. Anderson DM. and BA Keafer. 1985. Dinoflagellate cyst dynamics in coastal and esturine water, In Toxic Dinoflagellate, Anderson, D. M., White, A. W. and Baden, D. G., eds. Elsevier, pp. 219-214 

  21. Chung CS and DB Yang. 1991. On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Oceanogr. Soc. Korea 26:242-254 

  22. Dale B. 1976. Cyst formation, sedimentation, and preservation: factors affecting dinoflagellate assemblage in recent sediments from Trondheimsfjord. Norway. Rev. Palaeobot. Palynol. 22:39-60 

  23. Dale B. 1983.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benthic plankton'. In : Survival strategies of the Algae, edited by G. A. Fryxell. Cambridge Univ. Press. pp. 69-136 

  24. Dale B, TA Thorsen and A Fjellsa. 1999. Dinoflagellate cysts as indicators of cultural eutrophication in the Oslofjord Norway Estuarine. Coast. Shelf Sci. 48:371-382 

  25.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Carver. R.E. (ed.). Process in sedimentary peterology. Willey-Inter Science. pp. 4967 

  26. Japan Fisheries Resource Conservative Association (JFRCA). 1980. A manual for the contaminative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Kouseisha-Kouseikaku, Tokyo. 552pp 

  27. Kang CK, PY Lee, JS Park and PJ Kim.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557 -566 

  28. Kim HS and K Matsuoka. 1998. Process of eutrophication estimated by dinoflagellated cyst assemblage in Omura Bay, Kyushu, West Japan. Bull. Plankton Soc. Japan 45:133-147 (in Japanese) 

  29. Kondo M. 1985. Oceanographic investigations of fishing grounds in the East China Sea and Yellow Sea. I. Characteristics of the mean temperature and salinity distributions measured at 50 m and near bottom. Bull. Seikai Regional Fish. Res. Lab. 62:19-66 

  30. Lee JB and K Matsuoka. 1994.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from surface sediments in Southern Korean Waters. Exploitation of Marine Resources, Proc. 2nd Int'I Symp. on Mar. Sci. pp. 1-20 

  31. Lewis J, Harris A, Jones K and R Edmonds. 1999. Long-termsurvival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and dinoflagellates in stored sediment samples. J. Plankton Res. 21:343-354 

  32. Matsuoka K. 1985. Organic-walled dinoflagellate cysts from surface sediments of Nsgasaki Bay and Senzaki Bay, West Japan. Bull. Fac. Liberal Arts Nagasaki Univ. Nat. Sci. 25:21-115 

  33. Matsuoka K. 1999. Eutrophication process recorded in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s-a case of Yokohama Port, Tokyo Bay, Japan. Sci. Total Environ. 231:17-35 

  34. Matsuoka K and Y Fukuyo. 2000. Technical guide for modern dinoflagellate cyst study. WESPAC-HAB, Asian Natural Environmental Science Center, Tokyo. 29pp 

  35. Nehring S. 1994. Spati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in sediment of KieBight, Germany (Baltic Sea). Ophelia. 39:137-158 

  36. Parsons TR. 1975.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sea. in chemical ocenaography (ed. Riley, J. P. and Skirrow, G.), 2nd ed.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647pp 

  37.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pp 

  38. Pocklington RJ and D Leonard. 1979. Terrigenous organin matter in sediment of the St. Lawrence Estuary and the Saguenay Fyord. J. Fish. Res. Bd Can. 36: 1250-1255 

  39. Reid PC and R Harland. 1977. Studies of quarternary dinoflagellate cysts from the North Atlantic. Amer. Ass. Strat. Palynol. 5:147-169 

  40. Saetre MML, B Dale, MI Abdullah and GP Saetre. 1997. Dinoflagellate cysts as potential indicators of industrial pollution in a Norwegian Fjord. Mar. Environ. Res. 44:167-189 

  41. SCOR-Unesco. 1966.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Unesco (ed.),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a water, Paris. pp. 10-18 

  42. Wall D, B Dale, GP Lohmann and WK Smith. 1977. The environmental and climate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 in modem marine sediments from regions in the North and South Atlantic Oceans and adjacent seas. Mar. Micropaleontol. 2:121-200 

  43. Yamaguchi M, S Itakura, I lmai and Y Ishida. 1995. A rapid and precise technique for enumeration of resting cysts of Alexandrium spp. (Dinophyceae) in natural sediments. Phycologia 34:207-214 

  44. Yang HS and SS Kim. 1990.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1. Physical processes influencing the surface distributions of chlorophyll and nutrient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Bull. Korean Fish. Soc. 23:417-42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