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가사노동 기여도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Household Work Contributions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between Korea and Canada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3 = no.75, 2005년, pp.53 - 62  

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hallenge recent apocalyptic rhetoric about idle, burdensome, and dependent older people. Our primary objective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older adults in both Korea and Canada using a broader definition of productivity that included household work. An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의 가사노동시간은 개인의 사회인구통계적 특성 따라 다 르게 나타나는데, 한국과 캐나다노인의 가사노동시간사용이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어떻게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살펴본다.
  • 돌보기 시간에 대한 관련변수의 영향을 분석, 비교하기 위한 Tobit 분석의 결과가에 제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가사노동을 통한 생산기여도 수준과 관련변수를 분석하며, 특히 한국과 캐나다 사회의 비교, 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그 유사성과 차별성을 고찰함으로써 노 인의 생산성 기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은 부담스럽고 의존적인 존재라는 최근의 묵 시적인 사회인식의 부적절성을 밝히는데 긍극적인 목적이 있다. 비록 대부분의 노인이 성인생애의 두 가지 주요 활동인 유급노 동과 가사노동에 비노인 보다 덜 관여하지만 분명한 것은 여전 히 노인들이 다양한 노동활동에 참여하고, 이를 통해 사회의 기 능과 궁극적인 건강에 기여한다는 것이다(Herzog & House, 1991).
  • 본 연구는 노인은 부담스럽고 의존적인 존재라는 최근의 묵 시적인 사회인식의 부적절성을 증명하는데 긍극적인 목적이 있다. 비록 대부분의 노인이 성인생애의 두 가지 주요 활동인 유 급노동과 가사노동에 비노인보다 덜 관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분명한 것은 여전히 노인들이 다양한 무급노동에 종사하고 있고, 이를 통해 사회의 기능과 궁극적이 건강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통계청의 199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와 캐나다 통계청의 1998년 시간사용조사 자료가 비교문화적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다. 한국의「생활시간조사」는 통계청에서 주 관하여 1999년 9월 2일부터 9월 14일까지 조사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 자료에서 가구주 연령 55세 이상이고 84세 이하인 시간일지 17, 730 사례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국가의 '사회적 부담, 의 표준 지표인 부양비는 바로 이런 차 별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다. "유급노동자에 의해 부양되는 인구 의 상대적 크기”(Chawla, 1991, p.3)로 정의되는 부양비는 15세 에서 64세 인구는 취업 연령이고 노동시장에 있기 때문에 생산 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인구는 경제적으로 의존적이라고 가정하고 산정된다. 따라서 현재 산출되어 제시되고 있는 부양 비는 의존자로 간주되는 사람들의 상당한 비중이 공식 및 비공 식경제 내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면 실제부양부담을 크게 왜곡시키는 지표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애실(1985).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 여성연구, 3(4), 25-47 

  2. 김준영(2001). 한국주부의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와 GNP 비율 추정.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태흥(2001). 무급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와 정책화 방안. 여성의 무급노동 평가와 정책화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한국여성개발원. 여성부. UNDP 

  4. 문숙재(1993). 가정생산: 가정노동의 생산성과 평가를 위한 접근. 신광출판사 

  5. 문숙재 . 성지미 . 정영금 . 윤소용(2001). 무보수 가사노동 위성계정개발을 위한 연구. 여성부 정책자료, 2001-23 

  6. 문숙재 . 윤소영(1997). 가사노동의 정책적 반영을 위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41-52 

  7. 문숙재 . 윤소영 . 김은희 (2002). 무보수 가사노동의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도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40(10), 161-176 

  8. 문숙재 . 최혜경 . 정순희(2000). 한국 중산층의 생활문화.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68집. 집문당 

  9. 박재간 . 김태현(1986). 현대사회에서의 노년기 여가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6, 27-40 

  10. 송혜림(1988). 남편의 가사노동협력에 대한 부인의 기대 및 남편의 협력 실태. 서울대학교 대학권 석사학위논문 

  11. 윤진호(2003). 주5일 근무제의 도입과 생활시간의 변화. 서울사회경제연구소 

  12. 이기영 외(1993). 가사노동의 가치평가에 대한 페미니즘의 영향과 가정관리학의 연구방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1), 56-66 

  13. 이정수(1984). 가족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의 질 인식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22(2), 103-132 

  14. 조미환(1998). 도시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참여와 가정생활만족도, 한국여성교양학회지, 5, 5-20 

  15. 조영희 . 김대련 . 심영(1997). 노인복지 측면에서 본 충정북도지역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환경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141-155 

  16. 차성란(1998). 서울시와 대전시 거주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시간. 대한가정학회지, 36(5), 137-150 

  17. 채로 .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18. 통계청(2000). 생활시간조사 

  19. 한국방송공사(2000). 국민생활시간조사 

  20. Altergott, K.(1988). Daily life in later life: Comparative perspectives. Newbury Park, CA: Sage 

  21. Anielski, M., Taylor, A., Griffiths, M., Campbell, B., Pollock, D., Wilson, S., & Wilson, J.(2000). The alberta genuine progress indicator(GPI) accounts: A blueprint for the way we really live. Drayton Valley, AB: Pembina Institute 

  22. Blundell, R. & Meghir, C.(1987). Bivariate alternatives to the tobit model. Journal cf Econometrics, 34, 179-200 

  23. Chawla, R.(1991). Dependent ratios. Canadian Social Trends, 20, 3-5 

  24. Dosman, D. & Fast, J. (2002). Assessing the empirical challenges of time use data' A comparison of three estimation techniques.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ime Use Researchers Conference, Lisbon, Postugal 

  25. Dosman, D., Fast, J. Chapman, S. A. & Keating, N.(2004). Retirement and productive activity in later life. Unpublished paper 

  26. Fast, J. & Frederick, J.(2004). Time is all there is. In days of our lives: Time use and transitions over the life course, Statistics Canada, Catalogue No.89-584 

  27. Gauthier, A. H. & Smeeding, T. M.(2003). Time use at older ages: Cross-national differences. Research on Aging, 25(3), 247-274 

  28. Goldschmidt-Clermont, L. & Pagnossin-Aligisakis, E.(1995). Measures of unrecorded economic activities in fourteen countries. New York: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29. Herzog. A. R., Franks, M. M., Markus, H. R. & Holmberg, D.(1995). Productive activities and agency in older age. In M. M. Baltes & L. Montada(Eds.), Produktives leben im alter, 323-343. Frankfurt, Germany: Campus 

  30. Herzog, A. R., & House, J. S.(1991). Productive activities and aging well. Generations, 15, 49-54 

  31. Herzon, A. R., Kahn, R. L., Morgan, J. N., Jackson, J. S. & Antonucci, T.C.(1989). Age differences in productive activitie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4, S129-S138 

  32. Hicks, P.(2002). Preparing for tomorrow's social policy agenda: New priorities for policy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emerge from an examination of the economic well- being of the working age population Ottawa: Social Research and Demonstration Corporation 

  33. Keating, N., Fast, J., Frederick, J., Cranswick, K. & Perrier, C.(1999). Elderoare in Canada: Context, content & consequences. Ottawa: Statistics Canada 

  34. Lingsom, S.(1995). Women's time use over the life cycle, In I. Niemi(Ed), Time use of women in Europe and North America, 55-71, Geneva, Switzerland: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35. Little, V. C.(1984). An overview of research using the time-budget methodology to study age-related behavior. Ageing and Society, 4(1), 3-20 

  36. Michael, R. T.Q996). Money illu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time use in social policy making.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17(3/4), 245-260 

  37. Nordhaus, W. D.(2000). New directions in national economic accounting. American Economics Association Papers and Proceedings, 90(2), 259-263 

  38. Robb, R., Denton, M., Gafni, A., Joshi, A., Lian, J., Rosenthal, C. & Willison, D.(1999). Valuation of unpaid help by seniors in Canada: An empirical analysis. Canadian Journal of Aging, 18(4), 430-446 

  39. Robinson, J. P. & Godbey, G.(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 time.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40. Sanik, M. M. & Stafford, K.(1996). Children's time in household work: Estimation issue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17(3/4), 313-325 

  41. Verbrugge, L. M., Gruber-Baldini, A. L. & Fozard, J. L.(1996). Age differences and age changes in activities: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1B(1), S30-S41 

  42. Waring, M.(1988). Counting for nothing: What men value and what women are worth Wellington, NZ: Allen & Unwin 

  43. Wolfson, M. & Rowe, G.(1999). Good Life Time(GLT): Health, income, and the time to enjoy them Indicators based on a new integrated microanalytic framework for socio-economic statistics. Ottawa: Statistics Canada 

  44. Wooldridge, J. M.(2002). Econom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Cambridge, MA: MI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