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 주변 지하수의 수질 및 오염특성: 오염원 및 유해성 평가
Groundwater Quality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at Seomjin River Basin: Pollution Source and Risk Assessmen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no.3, 2005년, pp.261 - 272  

나춘기 (목포대학교 환경공학과) ,  손창인 (목포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섬진강 유역 지하수는 주로 높은 EC의 Na-Cl형과 낮은 EC의 $Na-HCO_3^-$형으로 분리되며, $K^+,\;Mg^{2+},\; NO_3^-$$SO_4\;^{2-}$성분이 부화된 특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지하수의 EC가 증가할수록 TDS에서 차지하는 $Na^++Cl^-$의 당량분율은 증가한다. 용존이온들간 상관유형으로부터 $N^+$$Cl^-$은 주의 침투된 해수에서 유래되며, $K^+,\;Mg^{2+}$$SO_4\;^{2-}$은 화학비료와 같은 인위오염원에서 주로 유래됨을 알 수 있다. 농업용수 수질기준과 비교하여 그 기준을 초과하는 지하수는 해수침입을 반영하는 $Cl^-$ 경우 조사대상 관정$23\%$인 반면 인위적 오염원을 대표하는 $NO_3^-$ 경우 전체의 $50\%$에 달한다. EC-SAR관계를 바탕으로 한 지하수의 유해성 평가에서 조사대상 지하수의 $40\%$만이 농업용수로서 소다질화와 염류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없는 적정한 수질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섬진강 유역 지하수의 수질저하를 초래한 오염원은 화학비료의 사용과 해수침입이다. 또한 모든 견과들은 화학비료의 사용이 연구지역의 지하수 오염에 가장 폭넓게 영향을 미치며, 일부 특정지역에서는 강쪽으로의 해수역류 확대라는 일차적 요인과 지하수의 과다양수라는 이차적 요인에 의해 섬진강으로부터 해수가 대수층으로 침투되어 더욱 지하수질이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undwaters in the basin of Seomjin River are classified mainly into Na-Cl type with high EC and $NaHCO_3$ type with low EC, and are characterized by enriched $K^+,\;Mg^{2+},\; NO_3^-,\; and\;SO_4\;^{2-}$ contents. The epm fraction of $Na^+Cl^-$ in TDS increa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수역류의 영향권인 섬진 강 하류지역 주변의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지하수질 및 오염정도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수침투정도, 기타 오염원 및 그 기여율을 추적함과 동시에 농업용수로써 지하수질의 적정성을 평가하여 제시함으로서, 섬진강 유역지하수의 오염특성 및 경로를 이해하고 적정한 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권기영, 문창호, 강창근, 김영남 (2002)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입자성 유기물질의 분포. 한국수산학회, 35권, p. 86-96 

  2. 김도희, 김광수, 조현서 (1999) 광양만과 목포항의 해수 및 퇴적물중 중금속 농도 분포. 한국환경과학회, 8권, p. 151-154 

  3. 김옥배, 박희열 (1997) 해수침투에 의한 지하수 수질오염 판별을 위한 환경지구화학적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34권, p. 548-558 

  4. 박관석, 오윤근 (1996) 제주도 해안에서의 지하해수에 대한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8권, p. 301-316 

  5. 부성안, 정교철 (2000) 제주도 동부권역 담수지하수 대수층에서의 염수침입. 지질공학회, 10권, p. 115-130 

  6. 신인현, 박천영, 안건상, 정연중 (2002) 전남 고금도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한국지구화학회, 23권, p. 474-485 

  7. 유환수, 조석희, 고영구 (2000) 섬진강 유역의 하성 퇴적층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1권, p. 174-187 

  8. 장태우, 황상구 (1984) 가음도 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 자원연구소 

  9. 조태진 (1991) 광양만 조석 해수면 변동의 미고결 퇴적층에 대한 영향. 한국수산학회, 24권, p. 9-21 

  10. 최순학 (1988) 제주도의 형성과 지하수 특성. 제주도 연구, 5집, p. 59-78 

  11. 최윤영, 고병련, 심창석, 최정우, 고수현 (1998) 제주도 동부지역에서 해수침입에 의한 지하수 염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관리기술협의회, 6권, p. 15-26 

  12. 한정상 (1998) 지하수의 환경과 오염. 박영사, p. 1071 

  13. Appelo, C.A.J. and Geirnaert, W. (1991) Processes accompanying the intrusion of salt water. In: deBreuk, W.(ed.), Hydrogeology of Salt Water Intrusion. International Assoc. of Hydrogeologists International Contributions to Hydrology, v. 11, p. 291-304 

  14. Drever, J.I. (1988)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 Pretice Hall, New Jersey, 266p 

  15. Freeze. R. A. and Cherry. J. A., 1979, Groundwater, Prenilce Hall, New Jersey, 413p 

  16. Hamilton, P.A., Shedlock, R.J. and Phillips, P.J. (1991) Water quality assessment of the Delmarva peninsula, Delaware, Maryland and Virginia: Analysis of available ground-water-quality data through 1987. U.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2355, p. B-65 

  17. Heitmann, H.-G. (1990) Chemical problems and chemical water conditioning in sea water desalination. In: Heitmann, H.-G. (ed.), Saline water processing, VCH Verlagsgesellschaft nbH, Weinheim, 56p 

  18. Kim, Y., Lee, K.S., Koh, D.C., Lee, D.H., Lee, S.G., Park, W.B, Koh, G.W. and Woo, N.C. (2003) Hydrogeochemical and isotopic evidence of groundwater salinization in a coastal aquifer: a case study in Jeju volcanic island, Korea. J. of Hydrology, v. 270, p. 282-294 

  19. Rao, N.S. (1998) MHPT.BAS: A computer program for modified Hill-Piper diagram for classification of ground water. Computer & Geosiciences, v. 24, p. 991-1008 

  20. Todd, D.K. (1959) Groundwater hydr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 293-294 

  21. Walton, W.C. (1970) Groundwater resource evaluation.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p. 6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