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떡버들 잎의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from Salix hallaisanensis Leave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6 no.4 = no.143, 2005년, pp.282 - 290  

오미현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함인혜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정성희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황완균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OH extract of the the leaves of Salix hallaisanensis (Salicaceae) was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CHCl_3$, 20% MeOH, 40% MeOH and 60% MeOH solution. From the fractions obtained, 9 compounds were isolated, $diosmetin-7-O-{\beta}-d-glucoside$ (I), $diosmetin-7-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Salix속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럽 및 일본에서 단일 페놀성 배당체로서 성분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없고, 특히 떡버들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면서도 건조한 곳에 자라는 식물로, 산중턱 이상의 추운 곳에 자생하므로 다른 Salix속과는 다른 성분이 함유되어있을 가능성이 있어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떡버들 잎을 채집, 천연물 약품 화학적 방법으로 그 성분 분리를 시도하여 10 종의 flavonoid를 분리하고 화학구조를 밝혀 의약품 자원으로서 개발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이창복 (1993) 대한 식물도감. 향문사. P.258 

  2. 정태현 (1972) 한국식물도감 식물편 (목본류), p,367 

  3. 이영노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주) 교학사, p50 

  4. S. J. Lee (1966) Korean Folk Medicine, S.N.U. Press, p.36-37 

  5.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1997) 완역중약대사전, 도서출판정담, p.2535, p.3162, p.4328, p.4335, p.5984, p.5985 

  6. Gilman A. G, Theodore W. R., Alan S. N. and Taylor P. (1980) The pann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acmillan Pubishing Co., INC, p. 682 

  7. Naokata M. Mino S., Munehisa A. and Susumu K. (1974) Studies on medicinal resources. XXV. The components of Salix plants(Salicaceae) in Japan(2). The components of the leaves of Salix matsudana OIDZ. f. tortuosa REHD. andd S. gilgiana Semen, Yakugaku Zasshi, 94(7): 875-877 

  8. 채영복, 김완주, 지옥표, 안미자, 노영주 (1990) 한국유용식물자원연구총람. 한국화학연구소, p. 824-826 

  9. Balbaa S. I., Khafagy S. M., Haggag M. Y and Sahsah N. A. (1979) Phytochemical study of certain Salix species cultivated in Egypt. Egypt. J. Pharm. Sci., 20: 153-164 

  10. Balbaa S. I. , Khafagy S. M., Haggag M. Y and Sahsah N. A. (1979) Isolation of salicin from Salix safSaf F. and a new TLC-colorimetric method for its estimation, Egypt. J. Pharm. Sci., 20: 165-173 

  11. Mizuno M., Kato M., Iinunma M., Tanaka T, Kimura A., Ohashi and H. Sasaki (1987) Acylated luteolin glucosides from Salix gilgiana, Phytochemisty, 26: 2418 

  12. Whang W. K. , Young S. C. and Kim I. H. (1995) Phenolic compounds from the bark of Salix gilgiana, Yakhak Hoiji, 39(2): 193-199 

  13. Whang W. K., Ko S. K.and Ham I. H. (1998) Flavone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Salix gilgiana, Chung-Ang J. Pharm. Sci., 12: 1-35 

  14. Ciolino. P., Wang T. T. Y. and Yeh G. C. (1998) Diosmin and diosmetin are agonists of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that differentially affect cytochrome p450 IAI activity, Cancer Research, 58: 2754-2760 

  15. Konishi T., Wada S. and Kiyosawa S. (1993) Constituents of leaves of Daphne pseudo-mesereum, Yakugalat Zasshi, 113: 670-675 

  16. Shigematsu N., Kouno I. and Kawano N. (1982), Quercetin 3-(6'-caffeoylgalactoside) from Hydrocotyle sibthoropioides, Phytochemistry, 21: 2156-2158 

  17. Williams C. A. and Garnock-Jones P. J. (1986) Lea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glycosides and the taxonomy and phylogeny of fuchsia sect. skinnera(onagraceae), Phytochemistry, 25: 2547-2549 

  18. Markham K. R. (1976) $^{13}C$ -NMR of flavonoids-II. flavonoids other then flavone and flavonol aglycones, Phytochemistry, 32: 2607-2612 

  19. Eman A. M., Elias R., Mousssa A. M., Faure R., Debrauwer L. and Balansard G (1998) Two flavonoid triglycosides from Buddleja madagascariensis, Phytochemistry, 48: 739-742 

  20. Greger H. (1978) Comparative phytochemistry and systematics of Anacyclus,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6:11-17 

  21. Irwin A., Pearl A. I. and Darling S. F. (1970) Phenolic extractives of Salix purpurea bark, Phytochemistry, 9: 1277-1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