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타액 우식 관련 검사와 치아 우식 경험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CARIES-RELATED TESTS AND DENI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ENTAL COLLEGE STUDENTS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타액 분비량, 타액의 완충능력 그리고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를 측정하여 치아 우식경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81명의 평균연령 26.1세인 81명의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내 우식경험지수를 조사한 후 타액 분비량을 측정하였고, 시판 중인 Dentobuffer Strip 키트와 Dentocult SM-Strip mutans 키트(Orion Diagnostica, Finland)를 사용하여 타액의 완충능력과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를 평가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평균 DMFT와 DMFS는 6.57과 12.65를 나타냈다. 2. 일반적으로 우식경험지수가 높을수록 타액 분비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 중 자극성타액 분비량과 DMFT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3. 타액의 완충능력과 우식경험도 사이의 관계에서 타액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DMFT와 DMFS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DMFT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4.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의 수가 높을수록 DMFT와 DMFS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5. 자극성 타액 분비량이 낮을수록, 타액의 완충능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가 많을수록 더 높은 우식경험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액 분비량, 타액의 완충능력 그리고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를 측정하여 치아 우식경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81명의 평균연령 26.1세인 81명의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내 우식경험지수를 조사한 후 타액 분비량을 측정하였고, 시판 중인 Dentobuffer Strip 키트와 Dentocult SM-Strip mutans 키트(Orion Diagnostica, Finland)를 사용하여 타액의 완충능력과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를 평가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평균 DMFT와 DMFS는 6.57과 12.65를 나타냈다. 2. 일반적으로 우식경험지수가 높을수록 타액 분비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 중 자극성타액 분비량과 DMFT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3. 타액의 완충능력과 우식경험도 사이의 관계에서 타액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DMFT와 DMFS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DMFT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4.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의 수가 높을수록 DMFT와 DMFS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5. 자극성 타액 분비량이 낮을수록, 타액의 완충능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가 많을수록 더 높은 우식경험도를 나타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flow, salivary buffer capacity, level of mutans streptococci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ental college students. A total of 81 students of th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an age of 26.1 year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flow, salivary buffer capacity, level of mutans streptococci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ental college students. A total of 81 students of th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an age of 26.1 years, were subjected to oral examination to establish the DMFT and DMFS according to WHO guidelines. Saliva samples from the students were collected for quantitating stimulated and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Buffering capacity was estimated using a commercial colorimetric strip test, and number of mutans streptococci was determined from stimulated saliva using a strip mutans test. The means of DMFT and DMFS were 6.57 and 12.65, respectively. The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was correlated with DMFT(${\acute{o}}\;=\;-0.219$) and high levels of salivary mutans streptococc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gher DMFT and DMFS scores(P<0.05). Level of mutans streptococc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in both DMFT and DMFS score, and buffering capacity was inversely correlated to DMFT score. However,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was not correlated with caries experie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flow, salivary buffer capacity, level of mutans streptococci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ental college students. A total of 81 students of th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an age of 26.1 years, were subjected to oral examination to establish the DMFT and DMFS according to WHO guidelines. Saliva samples from the students were collected for quantitating stimulated and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Buffering capacity was estimated using a commercial colorimetric strip test, and number of mutans streptococci was determined from stimulated saliva using a strip mutans test. The means of DMFT and DMFS were 6.57 and 12.65, respectively. The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was correlated with DMFT(${\acute{o}}\;=\;-0.219$) and high levels of salivary mutans streptococc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gher DMFT and DMFS scores(P<0.05). Level of mutans streptococc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in both DMFT and DMFS score, and buffering capacity was inversely correlated to DMFT score. However,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was not correlated with caries experien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타액 분비량을 측정하고, 시판되는 Dentobuffer Strip 키트와 Dentocult SM-Strip mutans 키트(Orion Diagnostica, Finland)를 사용하여 타액의 완충능력과 타액내 mutans streptococci의 수를 측정하였으며 , 이를 조사된 우식경험지수와 비교함으로서 우식발생과 관련한 타액내 요소들과 우식발생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으며 , 향후 우식 위험군을 선별하는데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서의 활용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81명의 평균연령 26.1 세인 81명의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타액 분비량, 타액의 완충능력 그리고 타액 내 mutans streptococci 수를 측정하여 치아 우스目경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제안 방법
우식 경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치과용 진료의자와 조명 하에서 치경과 탐침을 사용하여 구강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세계보건기구의 진단 기 준에 따라 우식 영구치 (DT), 상실치 아 (MT), 그리고 우식경험 충전영구치 (FT)를 검사하여 DMFT를 조사하였으며, 우식 영구치면(DS), 상실치면(MS), 그리고 우식경험 충전영구치면(FS)를 검사하여 DMFS를 조사하였다.
비자극성 또는 자극성 타액 분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휴식상태에서 또는 파라핀 왁스를 5분 동안 씹게 한 후 5분 동안 구강 저 에 분비된 타액을 소독한 계 량컵에 뱉게 하여 분비 량을 측정하고, 1분당 분비된 타액량으로 환산하여 기록하였다.
타액분비와 관련하여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도록 음식섭취나잇솔질 후 1시간 이후에 측정하였다.
대상자에게 파라핀 왁스를 1분간 씹게 한 후, 얻어진 자극성 타액을 검사용지 (test pad)에 pipette을 이용해 떨어뜨린 다음 5분 동안의 반응시간을 기다려 검사용지의 색깔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검사시작 15분 이전에 배양배지에 bacitracin을 첨가하여 넣어 활성화 시킨 후, 피검자에게 파라핀 왁스를 1분간 씹게 하여 치아에 부착된 mutans streptococci가 타액으로 이동하게 한 후 Strip mutans test strip을 혀 위에 위치시켜 10회 회전시켜 타액에 오염시켰다.
즉, 0과 1은 1ml 타액 내에 10만 이내의 mutans streptococci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하였고, 2는 10만에서 100만, 그리고 3은 100만개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대상자의 구강내 우식경험지수를 조사한 후 타액 분비량을 측정하였고, 시판 중인 Dentobuffer Strip 키트와 Dentocult SM-Strip mutans 키트(Orion Diagnostica, Finland)를 사용하여 타액의 완충능력과 mutans streptococci 수를 평가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우식 발생과 관련한 타액 내 요소들과 우식 경험도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연령 26.1세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생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타액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 수를 즉정하기 위하여 Dentocult SM-Strip mutans 키트(Orion Diagnostica, Finland) 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모든 자료는 SPSS software를 이용하여 통계 처 리하였으며, 우식 경 험 도와 타액 검 사 결과를 일원분산분석 법 으로 검정하였으며 , 완충능력과 mutans streptococci 수 사이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였다.
2. 일반적으로 우西경험지수가 높을수록 타액 분비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 중 자극성타액 분비 량과 DMFT 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평균 DMFT는 6.57, DMFS는 12.65이였으며, DMFT와 DMFS가 0으로 우식경험이 전혀 없는 대상자는 8.6%였고, 우식경험이 있는 경우가 91.4%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DT, MT, FT의 평균수치는 각각 1.
4%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DT, MT, FT의 평균수치는 각각 1.21, 0.05, 5.31 로 우식경험 충전영구치 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96ml였고, 비자극성.타액분비량은 분당 0.46ml로 측정되었으며 , 자극성 분비량이 0.7ml 이하이거나 비자극성 분비량이 0.1ml 이하로서 매우 부족한 타액 분비량을 보이는 대상자는 각각 2.5%와 1.2%를 나타냄으로서 매우 적은 분포를 보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타액 완충지수는 1.47이었으며, pH 6.5 이상이 59.3%, pH 4.5와 6.5 사이가 34.6% 그리고 pH 4.5 이하가 6.2%로서 대부분이 중등도 이상의 완충능력을 나타냈다.
DMFT와 DMFS 그리고 자극성 타액 분비량과 비자극성타액 분비 량의 상관성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타액 분비 량과 DMFT 또는 DMFS 관계는 우식경험지수가 높을수록 타액 분비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 중 자극성타액과 DMFT 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Table 4는 타액의 완충능력과 우식경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결과로서, 전반적으로 타액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DMFT 와 DMFS는 증가하였으며 , 특히 DMFT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Duncan 분석결과 완충능력 1과 2, 2와 3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1과 3 사이 즉 pH 6.0 이상인 경우와 4.5 이하인 경우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test strip 평가결과 0과 1, 1과 2 그리고 2와 3 사이에는 차이는 없었으나, 0과 3 사이 즉, mutans streptococci 수가 10만 이하인 경우와 100만 이상인 경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able 7은 타액의 완충능력과 타액 분비량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로서 , 타액의 완충능력과 타액 분비 량 사이 에서는 pH가 증가되어 완충능력이 향상될수록 자극성 타액 분비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비자극성 타액의 경우에서는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의 자극성 타액 평균 분비량은 1.96ml, 비자극성 타액은 0.46ml로 측정되었고, 97.5% 이상이 정상적인 타액분비량을 나타냈으며, 구강 건조증을 나타내는 사람은 2.5%로서 극소수에 불과했다.
Dentocult-SM strip 검사법을 이용한 본 연구에서는 타액 내의 mutans streptococci 수가 10만 이하인 경우가 67.9%, 10만에서 100만 사이는 25.9%, 그리고 100만 이상 6.2%의 분포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의 평균 DMFT와 DMFS는 6.57과 12.65이였고, 우식경험도가 높을수록 타액 분비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타액의 완충능력과 우식경험도 사이의 관계에서 전반적으로 타액의 pH가 낮아질수록. DMFT와 DMFS는 증가하였다.
DMFT와 DMFS는 증가하였다. 또한 타액 내의 mutans streptococci 수와 우식경험도 사이의 관계 에 대한 분석결과, mutans streptococci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DMFT와 DMFS가 높게 나타났다.
타액의 자극성 타액 분비량이 낮을수록, 타액의 완충 능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타액■ 내 mutans streptococci 수가. 많을수록 더 높은 우식경험도를 나타냄으로서 타액과 관련한 이전의.
3. 타액의 완충능력과 우식경험도 사이의 관계에서 타액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DMFT와 DMFS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DMFT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4. 타액 내 mutans streptococci의 수가 높을수록 DMFT와 DMFS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5).
5. 자극성 타액 분비량이 낮을수록, 타액의 완충능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타액 내 mutans streptococci 수가 많을수록 더 높은 우勺경험도를 나타냈다.
Dentobuff 시스템을 사용한 본 연구의 타액 완충능력 검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93.6%에서 중등도 이상의 완충능력을 나타냈으나 6.2%는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후속연구
우식 활성검사법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Dentobuffer Strip을 이용한 완충능력 및 Dentocult SM-Strip mutans 검사법은 이전의 측정방법에 비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 향후 치아우식증 발생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우식 활성검사법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