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치과 영역에서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은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며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한데 유치열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유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표준치를 얻고 과거 연구에서의 계측치와 비교하고자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 중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안모 및 전신 발육 상태가 양호한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2. SNA는 $81.3^{\circ}$, SNB는 $76.6^{\circ}$, ANB difference는 $4.7^{\circ}$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남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는 $84.2^{\circ}$, UA to SN은 $90.8^{\circ}$를 나타냈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소아치과 영역에서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은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며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한데 유치열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유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표준치를 얻고 과거 연구에서의 계측치와 비교하고자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 중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안모 및 전신 발육 상태가 양호한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2. SNA는 $81.3^{\circ}$, SNB는 $76.6^{\circ}$, ANB difference는 $4.7^{\circ}$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남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는 $84.2^{\circ}$, UA to SN은 $90.8^{\circ}$를 나타냈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In the field of pediatric dentistry, comparison and analysis of cephalogram values of children are important fir evalu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are essential to evaluate the craniofacial form and growth pattern for early diagnosis of malocclusion. For this, cephalographic norm values are ...
In the field of pediatric dentistry, comparison and analysis of cephalogram values of children are important fir evalu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are essential to evaluate the craniofacial form and growth pattern for early diagnosis of malocclusion. For this, cephalographic norm values are important, but not many studies on the primary dentition exist. To compare the past norm values of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with current norms, preschool children, 4 to 5 years of age,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who visited our hospital were examined. Among these children, 46 children with normal facial form and developmental status were chosen for evaluation of cephalogram valu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skeletal values, the angular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the linear values were generally greater in males than females. 2. SNA was $81.3^{\circ}$, SNB was $76.6^{\circ}$ and ANB difference was $4.7^{\circ}$. 3. The ratio for Mandibular body length to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was 0.9 : 1 for both male and female and the ratio for posterior facial height to anterior facial height was 61.4 % for male, 62.0 % for female. 4. For dental values, IMPA was $84.2^{\circ}$ and UA to SN was $90.8^{\circ}$. 5. The upper lip to Ricketts esthetic line was positioned 2.6 mm anteriorly, and the lower lip to Ricketts esthetic line was positioned 2.5 mm anteriorly.
In the field of pediatric dentistry, comparison and analysis of cephalogram values of children are important fir evalu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are essential to evaluate the craniofacial form and growth pattern for early diagnosis of malocclusion. For this, cephalographic norm values are important, but not many studies on the primary dentition exist. To compare the past norm values of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with current norms, preschool children, 4 to 5 years of age,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who visited our hospital were examined. Among these children, 46 children with normal facial form and developmental status were chosen for evaluation of cephalogram valu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skeletal values, the angular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the linear values were generally greater in males than females. 2. SNA was $81.3^{\circ}$, SNB was $76.6^{\circ}$ and ANB difference was $4.7^{\circ}$. 3. The ratio for Mandibular body length to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was 0.9 : 1 for both male and female and the ratio for posterior facial height to anterior facial height was 61.4 % for male, 62.0 % for female. 4. For dental values, IMPA was $84.2^{\circ}$ and UA to SN was $90.8^{\circ}$. 5. The upper lip to Ricketts esthetic line was positioned 2.6 mm anteriorly, and the lower lip to Ricketts esthetic line was positioned 2.5 mm anterior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저자는 정상교합 아동의 악안면 형태의 특징과 성장 양상을 분석하고 기준치를 구히.여 임상교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인 4세에서 5세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지는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를 조사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이에 저자는 정상교합 아동의 악안면 형태의 특징과 성장 양상을 분석하고 기준치를 구히.여 임상교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인 4세에서 5세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지는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를 조사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제안 방법
연세 대 학교 치 과대 학병 원 치 과방사선과에 장치 된 PANEX-EC X-ray machine (J. Morita Co.) 을 이용하여 80KVp, 10mA로 2.5초간 노출하였고 이중증감지가 들어있는 Cassette와 8x10 Fuji X-ray film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촬영시 피검자에게 두부고정장치를 사용하였고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상, 하순을 자연스럽게 접촉시킨 후 중심방사선을 투사시켰다.
5초간 노출하였고 이중증감지가 들어있는 Cassette와 8x10 Fuji X-ray film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촬영시 피검자에게 두부고정장치를 사용하였고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상, 하순을 자연스럽게 접촉시킨 후 중심방사선을 투사시켰다.
유치열기 두개안면부의 형태는 혼합치열기와 영구치열기로 이행되어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데 Moyers*'에 의하면 인간의 두개골 및 안면부 골격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크기, 외형 , 위치가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미래의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에 있어서의 개개인의 성장의 양, 방향, 시간,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소아치과학의 영역 에서 아동의 성장 발육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이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고,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므로 개개인의 성장 발육 연구에 기초가 되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를 알아보았다.
저자들은 한국인 유치열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의 유도에 도움이 되고 조기치료의 분야에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를 얻기 위하여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유아원 아동 가운데 본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아동으로 전신질환이 없고 안모가 단정하며 결손치나 심한 치아우식증이 없고 교정 및 보철 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까지의 아동 46명 (남자 25명 , 여자 21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를 하고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4세에서 5세 (평균연령 : 4세 8개월 ± 6개월)의 유치열기 아동 가운데 전신 건강과 발육 상태가 양호하며 안모가 단정하고 정상교합을 가진 아동 46명 (남자 25명 , 여자 21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촬영하여 계측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아동의 선택 기준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처리
촬영된 filme Fuji X-ray Processor RE-3 자동현상기를사용하여 1분 40초간 현상 정 착하였고 완성된 두부방사선 사진은 간접법에 의한 방사선사진 분석법을 이용하여 반투명 방사선 film illuminator 상에서 tracing paper에 두부방사선 계측점과 기준평면을 표시한 후 거리 및 각도를 계측하고 각 계측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를 통하여 성별에 따른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한국인 유치열기 정상교합을 가진 아동 46명의 두부 방사선 계측 사진의 각 계측점간의 거리 및 각도를 계측하여 평균 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를 이용하여 남녀간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능/효과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1. 정상교합을 가진 한국인 아동 46명 (남자 25명 , 여자 21명)의 각 계측치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했고 각 항목의 계측치를 살펴보면 saddle angle 123.0°, articular angle 145.7°, gonial angle 129.4° 로 세 각의 합은 3982였고 SNA, SNB는 각각 81.3°, 766 였으며 ANB difference는 4.7° 였으며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0.9: 1 이었고, anterior facial het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61.7%이었다. Facial depth는 98.
2. 각 항목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항목별로 살펴보면 saddle anglee 남자 123.0°, 여자 123.0°, articular anglee 남자 146.0°, 여자 145.5°, gonial anglee 남자 129.8°, 여자 129.0° 로 세 각의 합은 남자 398.7°, 여자 397.6°였고 SNA는 남자 81.0°, 여자 81.6°, SNB는 남자 76.2°, 여자 77.0° 였으며 ANB difference는 남자 4.7°, 여자 4.6°였다.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 율은 남녀 모두 0.
1°씩 증가한다고 하였고 Lande飨는 7세 이후 하악골이 전방으로 성장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자 83.9°, 여자 83.8°를 나타내어 김30의 남자 84.9°, 여자 84.0°와 비슷했고 함과 손ae 10세에서 87.1°, 백과 유的는 10세에서 87.5°라고 보고하였고 최 등勒은 7세, 9세, 11세에서 각각 85.0°, 85.5°, 86.3° 로 나이에 따라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인종간의 비교를 통해 한국인은 백인보다 작고 중국인 보다 크다고 하였다.
삼았다. 본 연구에서 anterior cranial base length는 남자 64.1mm, 여자 62.1mm로 남자에서 크게 나타났고(P<0.01), mandibular body length는 전체표본에서 58.0mm, 남자 58.7mm, 여자 57.2mm로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0.9: 1로 남녀모두 동일하였고 이는 김 (1978)의 0.91 :1과도 같다. 손心 주纣 백과 유" 의 17세의 계측치 1.
91 :1과도 같다. 손心 주纣 백과 유" 의 17세의 계측치 1.1:1과 비교해 볼 때 유치열기 이후에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의 성장보다 mandibular body length의 전하방 성장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Anterior facial height는 남자 103.9mm, 여자 100.0mm 로 남자에서 크게 나타났고(P<0.01), posterior facial height 는 ramus의 수직적 성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자 63.7mm, 여자 62.0mm로 유의차는 없으나 남자가 더 큰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이 등理의 남자 65.3mm, 여자 62.9mm에서와 유사한 결과이고 Ricketts"'의 표준치 54.8mm보다는 컸다.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전체 표본에서 61.
8mm보다는 컸다.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전체 표본에서 61.7%로 Jarabak 에 의한 성 인의 값인 62-65%보다 작은 값을 가졌다.
1mm를 갖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 6.4mm, 하악 4.3mm이고 백과 유血의 17세의 계측치는 상악 10mm, 하악 5.5mm, 백 등的의 성인의 계측치는 상악 8.9mm, 하악 5.6mm로 한국인에서 전치가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유치열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유도하고 부정교합의 조기치료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를 얻었고 이 표준치는 연령 , 성별, 인종, 민족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계속적인 성장양상을 누년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골격형태의 유형을 고려하고 개체의 안면크기에 따른 다양성을 고려하며 조사대상 아동의 수를 늘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SNA는 81.3°, SNB는 76.6°, ANB difference는 4.7°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님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e 842, UA to SNe 90.8° 를 나타냈다.
후속연구
두부계측 분석연구를 통하여 안면부의 성장 발육에 대한 기준치를 얻게 되면 좀더 만족스러운 환자의 진단과 개별화된 치료의 접근이 가능하고 부정 교합의 증례 분석과 치료의 예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민족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계속적인 성장양상을 누년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골격형태의 유형을 고려하고 개체의 안면크기에 따른 다양성을 고려하며 조사대상 아동의 수를 늘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