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식품가공공장 현장에서의 살균소독제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used in Domestic Food Processing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6 = no.184, 2005년, pp.1042 - 1047  

박희경 (CJ(주)) ,  박병규 (CJ(주)) ,  신혜원 (CJ(주)) ,  박대우 (CJ(주)) ,  김용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조양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이광호 (식품의약품안전청) ,  강길진 (식품의약품안전청) ,  전대훈 (식품의약품안전청) ,  박기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살균소독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사용되는 제품의 저장기간별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식품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식품가공 시 살균소독제 사용전후 미생물 오염정도를 파악하고 네 가지 대표 살균소독제의 보관기간 별 살균력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개월 간 저장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8개 식품가공공장에서 실제 사용 중인 살균소독제를 테스트한 결과, 살균소독제 사용 전 일반세균수는 $10^1-10^5CFU/cm^2$, 대장균군수는 $10^1-10^2CFU/cm^2$, 대장균은 $10CFU/cm^2$ 미만이었으며 살균소독제 사용 후 일반세균수는 $10^1-10^3$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모두 사멸시키지는 못하였다. 살균소독력 지속여부를 S. aureus 와 E. coli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권장사용농도에서 alcohol계, hydrogen peroxide계, QAC계 제품은 2개월간 그 효과가 유지되었으나 chlorine계 제품은 개봉 2주 이내에 8 log에서 4 log로 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법적으로 인정을 받은 살균소득제는 in vitro에서 S. aureus와 E. coli를 5 log 감소시켜 그 살균력을 인정받았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그 정도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개봉 후 즉시 사용하지 않고 보관될 경우 그 효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on microorganisms in food-processing plants were investigated. Chlorine and hydrogen peroxide were most effective, showing approximately 2-3 log reductions, among products tested, whereas alcohol showed less than 1 log reduction. Before using sanitizer and d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살균소독제의 저장기간 동안 유효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2개월간 보관하면서 살균소독제 부합 기준인 99.999%, 즉 5 log 이상의 미생물이 감소하는지 확인하여 현재사용하고 있는 살균소독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식품가공공장 현장에서의 미생물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실제 식품가공공장에서 직접 사용하는 있는 살균소독제의 살균효과를 알아 보고자 식품을 제조한 후 살균 소독제를 적용하여 작업현장에서의 살균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살균소독제의 저장기간 동안 유효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2개월간 보관하면서 살균소독제 부합 기준인 9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vailable from: http://www.kfda.co.kr Accessed May 22, 2005 

  2. Luppes SBI, Reij MW, Van der Heijden RWL, Rombouts FM, Abee T. Development of a standard test to assess the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 cells to disinfectants. Appl. Environ. Microbiol. 68: 4194-4200 (2002) 

  3. Wilfido JB, Artur X. RS, M Manuela HH, Tomas LP, Buenaventura G. Bactericidal efficacy of peracetic acid in combination with hydrogen peroxide against pathogenic and non pathogenic strains of Staphylococcus spp., Listeria spp. and Escherichia coli. Food Control. Accepted Feb, 22, 2005 

  4. Liao CH, Sapers GM. Attachment and growth of Salmonella chester on apple fruits and in vivo response of attached bacteria to sanitizer treatments. J. Food Prot. 63: 876-883 (2000) 

  5. Youm HJ, Ko JK, Kim MR, Song KB.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ure cell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14-517 (2004) 

  6. Romanova N, Favrin S, Griffith MW. Sensitivity of Listeria monocytogenes to sanitizers used in the meat processing industry. Appl. Environ. Microbiol. 68: 6405-6409 (2002) 

  7. Khadre MA, Yousef AE. Sporicidal action of ozone and hydrogen peroxide: a comparative study. Int. J. Food Microbiol. 71: 131-138 (2001) 

  8. Samelis J, Sofos JN, Kain ML, Scanga JA, Belk KE, Smith GC. Organic acids and their salts as dipping solutions to control Listeria monocytogenes inoculated following processing of sliced pork bologna stored at $4^{circ}C$ in vacuum packages. J. Food Prot. 64: 1722-1729 (2001) 

  9. Thomas L, Russel AD, Maillard JY. Antimicrobial activity of chlorhexidine diacetate and banzalkonium chloride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and its response to biocide residues. J. Appl. Microbiol. 98: 533-543 (2005) 

  10. Jang JH, Jang JS, Lee SY, Kim HS, Kang SM, Park JH.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ethanol and sodium chloride on Bacillus cer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98-1002 (2003) 

  11. Ra JC, Lee JE, Song DS, Kwon NH, Park BK, Park YH. A study of antimicrobial & antiviral effect of natural product. J. Fd. Hyg. Safety 18: 183-188 (2003) 

  12. KFDA. Korean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3) 

  13. Pertti P, Pentti K, Anna-Lisa P. The effectiveness of some disinfectants and detergents against microbial activity. Bldg. Environ. 32: 281-287 (1997) 

  14. Jessen B, Lammert L. Biofilm and disinfection in meat processing plants. Int. Biodeter. Biodegrad. 51: 265-269 (2003) 

  15. Wirtanan G, Salo S, Helander IM, Mattila-sandholm T. Microbiological methods for testing disinfectant efficiency on Pseudomonas biofilm.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20: 37-50 (2001) 

  16. Weilssinger WR, Chantarapanont W, Beuchat LR. Survival and growth of Salmonella baildon in shredded lettuce and diced tomatoes, and effectiveness of chlorinated water as a sanitizer. Int. J. Food Microbiol. 62: 123-131 (2000) 

  17. Peng JS, Tsai WC, Chou CC. Inactivation and removal of Bacillus cereus by sanitizer and detergent. Int. J. Food Microbiol. 77: 11-18 (2002) 

  18. Vianna ME, Gomes BPFA, Berber VB, Zaia AA, Ferraz CCR, Souza-Filho FJ.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lorhexidine and sodium hypochlorit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97: 79-84 (2004) 

  19. Kampf G, Rudolf M, Labadie JC, Barrett SP.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user acceptability of the hand disinfectant agent Sterillium gel. J. Hasp. Infect. 52: 141-147 (2002) 

  20. Koivunen J, Heinonen-Tanski H. Inactivation of enteric microorganisms with chemical disinfectants, UV irradiation and combined chemical/UV treatments. Water Res. 39: 1519-1526 (2005) 

  21. KFDA. Evaluation of safety and efficacy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II).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p. 1-408 (2003) 

  22. Carpentier B, Cerf O. Biofilms and their consequenc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hygiene in the food industry. J. Appl. Bacteriol. 75: 499-511 (1993) 

  23. Jacquet C, Reynaud A. Differences in the sensitivity to eight disinfectants of Listeria monocytogenes strain as related to their origin. Int. J. Food Microbiol. 22: 79-83 (1994) 

  24. Rossoni EMM, Gaylarde CC. Comparison of sodium hypochlorite and peracetic acid as sanitizing agents for stainless steel food processing surfaces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y. Int. J. Food Microbiol. 61: 81-85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