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분말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친 영향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4 = no.182, 2005년, pp.636 - 641  

김애정 (혜전대학 식품영양과) ,  김선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명환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한명륜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건섭 (연세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뽕잎분말이 고콜레스테롤 섭취시 생체 내에서의(in vivo) 지질대사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흰쥐에 콜레스테롤 1%인 사료를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키면서 뽕잎분말(0, 5, 10%)을 해당사료에 첨가하여 4주간 섭취시켜 혈중 지질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시작체중은 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는데, 체중증가량과 사료효율은 10% 뽕잎첨가군(HC10M)에서 가장 낮았다. 고콜레스테롤 투여군(HC)의 혈청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농도는 정상대조군(C)을 포함한 다른 실험군들(HC5M, HC10M)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뽕잎분말이 급여된 실험군들(HC5M, HC10M)의 이들 지질 함량은 정상군보다 높았지만 HC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HDL-cholesterol 함량은 반대의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심혈관계인자는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모든 군(HC, HC5M, HC10M)은 정상대조군(C)과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높아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들(HC5M, HC10M)이 고콜레스테롤 급여 대조군(HC)보다 유의하게 낮았는데, 10% 첨가된 실험군 (HC10M)이 5% 실험군(HC5M)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혈청 AST 활성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실험군(HC)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뽕잎분말이 투여된 실험군들(HC5M, HC10M)의 경우 정상 대조군(C)에 비해 높았지만 10% 투여군(HC10M)은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혈청 ALT 활성은 정상대조군과 실험 군들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creatinine 수준은 대조군과 실험군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정상수준을 보였다. 고콜레스테롤을 투여한 실험군들(HC, HC5M, HC10M)의 간의 총 지질,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함량은 정상대조군(C)에 비해 각각 43, 27, 55%씩 증가하였다. 이러한 지방축적 현상은 뽕잎분말의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효과는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고콜레스테롤 투여군(HC)의 분변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농도는 정상대조군(C)에 비해 다소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뽕잎첨가군(HC5M과 HC10M)의 총 지질,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 투여군(HC)에 비해 분변으로 배설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뽕잎 분말은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하는 경우 혈청과 간장의 지질수준은 떨어뜨리고, 분변중 지질배설량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berry leaves, high in dietary fiber and some nutritional materials, are thought to have hypocholesterolemic effect. Therefore, effect of mulberry leaf powder on serum lipid profiles were studied using rats with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a.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IN-93 diet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진행되었던 고지혈증 관련 연구의 경우는 단기간 메탄올추출물의 형태를 경구투여 하여 그 효과를 본 경우(23)로 제한되어 있어서, 일상식생활에 적용하기 쉬운 분말형 태로의 접근은 매우 드믄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뽕잎 분말형태를 이용해보고자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게 뽕잎분 말을 여러 수준(0, 5, 10%)으로 첨가하여 4주간 섭취시켜 식이에 첨가한 뽕잎분말이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들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뽕잎분말이 고콜레스테롤 섭취시 생체 내에서의(in vivo) 지질대사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흰쥐에 콜레스테롤 1%인 사료를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키면서 뽕잎분말(0, 5, 10%)을 해당사료에 첨가하여 4주간 섭취시켜 혈중 지질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2) NS: not significant.
  • 3) 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SOK.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Natl. Stat. Office Korea, Seoul, Korea (2003) 

  2. NSOK. The Expectancy of Future Population. Nati.l Stat. Office Korea, Seoul, Korea (2002) 

  3. Poller L. Fiber and diabetes. Lancet 24: 434-435 (1970) 

  4. Shin DH. The research and prospect of natural antioxidants. Bull. Food Technol. 8: 28-33 (1996) 

  5. Kim YJ. The protect the living organ from free radicals and the failure of protection: age-related disease. Bull. Food Technol. 10: 4-26 (1997) 

  6. Buring JE, Henekens CH. Antioxidant vitamins and cardiovascular disease. Nutr. Rev. 55: S53-S60 (1997) 

  7. Jacques PF, Halpner AD, Blumberg JB. Influence of combined antioxidant nutrient intake on their plasma concentrations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62: 1228-1233 (1995) 

  8. St Leger AS, Cochrance AL, Moore F. Factors associated with cardiac mortality in developed countri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consumption of wine. Lancet 1: 1017-1020 (1979) 

  9. Hertog MGL, Kromhout D, Aravanis C, Blackburn H, Buzina R, Fidanza F, Giampaoli S, Jansen A, Menotti A, Nedeljkovic S. Flavonoid intake and long-term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cancer in the seven countries study. Arch. Int. Med. 155: 381-386 (1995) 

  10. Tijburg LB, Mattern T, Folts JD, Weisgerber UM, Katan MB. Tea flavono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37: 771-785 (1997) 

  11. Glowinska B, Urban M, Koput A.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children with obesity, hypertension an diabetes: lipoprotein(a) levels and body mass index correlate with family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Eur. J. Pediatr. 161: 511-518 (2002) 

  12. Hertog MGL, Feskens EJM, Hollman PCH, Katan MB, Kromhout D.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1993) 

  13. Kono S, Shinchi K, Wakabayashi K, Miura S, Umegaki K, Hara Y, Imanishi K, Nishikawa H, Ogawa S, Katsurada M. Relation of green tea consumption to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Japanese men. J. Epidemiol. 6: 128-133 (1996) 

  14. Green MS, Harari G. Association of serum lipoproteins and health-related habits with coffee and tea consumption in free-living subjects examined in the Israeli CRDIS study. Prev. Med. 21: 532-545 (1992) 

  15. Kono S, Shinchi K, Ikeda N, Yanai F, Imanishi K. Green tea consumption and serum lipid profiles: a cross-sectional study in northern Kyushu, Japan. Prev. Med. 21: 526-531 (1992) 

  16. Yang TT, Koo MW.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Chinese tea. Phamacol. Rev. 35: 505-512 (1997) 

  17. Yamaguchi Y, Hayashi M, Yamazoe H, Kunitomo M. Preventive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lipid abnormalities in serum, liver and aorta of mice fed a atherogenic diet. Nippon Yakurigaku Zasshi. 7: 329-337 (1991) 

  18. Yang TT, Koo MW. Chinese green tea lowers cholesterol level through an increase in fecal lipid extraction. Life Sci. 66: 411-423 (2000) 

  19. Yang M, Wang C, Chen H.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modulate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a rats fed high-sucrose diet. J. Nutr. Biochem. 12: 14-20 (2001) 

  20. Sayama K, Lin S, Zheng G, Oguni I. Effects of green tea on growth, food utiliz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mice. In Vivo. 14: 481-484 (2000) 

  21. Kao YH, Hiipakka RA, Liao. Modulation of endocrine systems and food intake by green tea epigallocatechin gallate. Endocrinology 141: 980-987 (2000) 

  22. Y SK, Kim MJ, Kim JW, Lee SJ.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disaccharidase activities of small intestine and blood glucose-lower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7-1099 (2002) 

  23. Lee WC, Kim AJ, Kim SY.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 Ind. 36: 2-14 (2003) 

  24. Rudel L, Morris MD.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using 0phthalaldehyde. J. Lipid Res. 14: 364-366 (1973) 

  25. Noma A, Nakayama KN, Kita M, Okabe H.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rum cholesterol in high and low density lipoprotein with use of heparin, $Ca^{2+}$ and an anion exchange resin. Clin. Chem. 24: 1504-1510 (1978) 

  26. Kim YE, Oh SW, Kwon EK, Han DS, Kim IH, Lee CH. Effects of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activity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79-985 (2004) 

  27. Kang IJ, Kim HK, Chung CK, Kim SJ, Oh DH. Effects of protaetia oriental is larva on the lipid metabolism in ethanol 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9-484 (2000) 

  28. Barltrop D, Khoo HE. The influence of nutritional factors on lead absorption. Postgrad. Med. J. 51: 795-800 (1975) 

  29. Kim MJ, Cho SY, Jang JY, Park JY, Park EM, Lee MK, Kim DJ.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persimmon leaf and safflower seed on heme synthesis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ead-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07: 1779-1785 (2003) 

  30. Tall AR.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s metabolism and relationship to atherogenesis. J. Clin. Invest. 86: 379-384 (1990) 

  31. Russell DW, Setchell KDR. Bile acid biosynthesis. Biochem. 31: 4737-4749 (1992) 

  32. Rosenfeld L.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1989) 

  33. Yun YP, Kang WS, Lee MY. The antithrombotic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J. Food Hyg. Safety 11: 77-82 (1996) 

  34. Takeda Y, Ichihara A, Taioka H, Inove H. The biochemistry of animal cells, the effect of corticosteroids on leakage of enzyme from dispersed rat liver cell. J. BioI. Chem. 239: 3590-3596 (1964) 

  35. Kwon JY, Ann IS, Park KY, Cheigh HS, Song YO. The beneficial effects of pectin on obesity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20 (2005) 

  36. Cassidy MM, Calvert RJ. Effects of dietary fiber on intestinal absorption of lipids. pp. 153-162. In: CRC handbook of dietary fiber in human nutrition 2nd ed. Spiller GA (ed). CRC Press, New York, NY, USA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