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영제로 활용하기 위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코팅된 산화철 나노 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for Contrast Agent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3, 2005년, pp.266 - 270  

이하영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임낙현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서진아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강길선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김정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조선행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CO)$_5$(철-펜타카보닐)의 열분해법을 이용하여 산화철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표면 조절 시약으로서 생체적 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사용하여 산화철 나노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였다. 산화철 나노 입자의 형성 여부는 XRD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PVP 코팅된 산화철 나노 입자의 크기는 TEM, ELS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PVP 코팅 된 산화철 나노 입자의 입자 크기는 PVP/Fe(CO)$_5$의 몰비와 용매, PVP 분자량에 의해 조절되었다. PVP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용매로 하였을 때 $50\~100$ nm의 산화철 나노 클러스터가 형성되었고, Carbitol을 용매로 하였을 때 균일하게 분산된 10 nm 이하의 작은 PVP 코팅된 산화철 나노 입자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PVP코팅된 산화철 나노 입자는 물에 잘 분산될 뿐 아니라 생체적합적인 PVP로 코팅이 되었기 때문에 in vivo에 응용할 수 있으며, 입자의 크기가 $50\~100$nm및 10 nm로 조절됨으로써 MRI 조영제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ron oxid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iron pentacarbonyl (Fe(CO)$_5$) Poly(vinylpyrrolidone) (PVP) was used as surface-modifying agent to control the size of the iron oxide nanoparticles.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PVP 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화철 입자의 응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입자를 작게 만드는 동시에 안정화제로 PVP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는데 Fe(CO)5 를 PVP 존재 하에서 열분해하여 마그네타이트(FeQ)와 마그네마 이트促2。3)로 구성된 산화철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PVP 코팅 된 산화철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간 조영제와 림프계 조영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물에 잘 분산되도록 제조하여 생체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Z. Li, H. Chen, H. Bao, and M. Gao, J. Am. Chem. Soc., 16, 1391 (2004) 

  2. P. K. Gupta, C. T. Hung, F. C. Lam, and D. G. Perrier, J. Pharm., 43, 167 (1998) 

  3. A. Jordan, R. Scholz, K. Maier-Hauff, M. Johannsen, P. Wust, J. Nadobny, H. Schirra, H. Schmidt, S. Deger, S. Loening, W. Lanksch, and R. Felix, J. Magn. Magn. Mater., 225, 118 (2001) 

  4. J. W. Bulte, Y. Hoekstra, R. L. Kamman, R. L. Magin, A. G. Webb, R. W. Briggs, K. G. Go, C. E. Hulstaert, and S. Miltenyi, Magn. Reson, Med., 25, 148 (1992) 

  5. K. Lind, M. Kresse, N. Debus, and R. Muller, J. Drug Target, 10, 221 (2002) 

  6. M. Bellin, C. Beigelman, and S. Precetti, Eur. J. Radiol., 34, 257 (2000) 

  7. B. Bonnemain, J. Drug Target, 6, 167 (1998) 

  8. R. Muller, P. Vallet, F. Maton, A. Roch, J. Goudemant, L. Vander, P. Gillis, S. Peto, F. Moiny, and Y. H. Van, Invest. Radiol., 25, S34 (1990) 

  9. R. Weissleder, G. Elizondo, J. Wittenberg, C. Rabito, H. Bengele, and L. Josephson, Radiology, 175, 489 (1990) 

  10. K. Thode, M. Luck, W. Schroder, W. Semmler, T. Blunk, R. Muller, and M. Kresse, J. Drug Target, 5, 35 (1997) 

  11. P. Reimer, K. Kwong, R. Weisskoff, M. Cohen, T. Brady, and R. Weisslender, J. Magn. Reson. Imaging, 2, 177 (1992) 

  12. C. Chouly, D. Pouliquen, I. Lucet, J. Jeune, and P. Jallet, J. Microencapsul., 13, 245 (1996) 

  13. M. P. Morales, O. Bomati-Migucl, R. Perez de Alejo, J. Ruiz-Cabello, S. Veintemillas-Verdaguer, and K. O'Grady, J. Magn. Magn. Mater., 266, 102 (2003) 

  14. E. Allemann, R. Gurny, and E. Doelker, Eur. J. Pharmacol. Biopharm, 39, 173 (1993) 

  15. N. Kohler, G. E. Fryxell, and M. Zhang, J. Am. Chem. Soc., 23, 126 (2004) 

  16. J. Wonterghem, S. Morup, S. W. Charles, S. Wells, and J. Villadsen, Phys. Rev. Lett., 55, 410 (1985) 

  17. C. C. Berry, S. Wells, S. Charles, and A. S. G. Curtis, Biomaterials, 24, 4551 (2003) 

  18. L. A. Harris, J. D. Goff, A. Y. Carmichael, J. S. Riffle, J. J. Harbum, T. G. St. Pierre, and M. Saunders, Chem. Mater., 15, 1367 (2003) 

  19. R. He, X. Qian, J. Yin, H. Xi, L. Bian, and Z. Zhu, Colloid Surface A, 220, 151(2003) 

  20. H. Yao, Y. Takada, and N. Kitamura, Langmuir, 14,595 (1998) 

  21. D. L. Garrec, S. Gori, L. Luo, D. Lessard, D. C. Smith, M. Yessine, M. Ranger, and J. Leroux, J. Control. Release, 99, 83 (2004) 

  22. Y. Kaneda, Y. Tsutsumi, Y. Yoshioka, H. Kamada, Y. Yamamoto, H. Kodaira, S. Tsunoda, T. Okamoto, Y. Mukai, H. Shibata, S. Nakagawa, and T. Mayumi, Biomaterials, 25, 3259 (2004) 

  23. L. A. Harris, J. D. Goff, A. Y Carmichael, J. S. Riffle, J. J. Pierre, and T. G. Saunders, M. Chem. Mater., 15, 1367 (2003) 

  24. S. Mann, H. C. Sparks, and R. G. Board, Adv. Microb. Physiol., 31, 125 (1990) 

  25. S. V. Verdaguer, O. B. Miguel, and M. P. Morales, Scr. Mater., 47, 589 (2002) 

  26. J. Rockenberger, E. C. Scher, and P. A. Alivissatos, J. Am. Chem. Soc., 121, 11595 (1999) 

  27. S. H. Sun and H. Zeng, J. Am. Chem. Soc., 124, 8204 (2002) 

  28. T. Hyeon, S. S. Lee, J. Park, Y Chung, and H. B. Na, J. Am. Chem. Soc., 123, 12798 (2001) 

  29. S. King, K. Hyunh, and R. Tannenbaum, J. Phys. Chem. B, 107, 12097 (2003) 

  30. R. Tannenbaum, S. Reich, C. L. Flenniken, and E. P. Goldberg, Adv. Mater., 14, 1402 (2002) 

  31. R. Tannenbaum, C. L. Flenniken, and E. P. Goldberg, J. Polym. Sci., Polym. Phys. Ed., 25, 1341 (1987) 

  32. R. Tannenbaum, C. L. Flenniken, and E. P. Goldberg, J. Polym. Sci., Polym. Phys. Ed., 28, 2421 (1990) 

  33. R. Tannenbaum, Langmuir, 13, 5056 (1997) 

  34. W. Y. William, C. F. Joshua, T. Y Cafer, and L. C. Vicki, Chem. Commun., 2306 (2004) 

  35. J. Cheon, N. J. Kang, S. M. Lee, J. H. Lee, J. H. Yoon, and S. J. Oh, J. Am. Chem. Soc., 126, 1950 (2004) 

  36. J. Rockenberger, E. C. Scher, and A. P. Alivisators, J. Am. Chem. Soc., 121, 11595 (1999) 

  37. J. van Wonterghem, S. Morup, S. W. Charls, S. Wells, and J. Villadsen, Phys. Rev. Lett., 55, 410 (1985) 

  38. G. D. Mendenhall, Y. Geng, and J. Hwang, J. Colloid. Interf. Sci., 184, 519 (1996) 

  39. M. Yin, A. Willis, F. Redl, N. J. Turro, and S. P. O'Brien, J. Mater. Res., 19, 1208 (2004) 

  40. M. Chastellain, A. Petri, and H. Hofmann, J. Colloid. Interf. Sci., 278, 353 (2004) 

  41. E. Tadd, A. Zeno, M. Zubris, N. Dan, and R. Tannenbaum, Macromolecules, 36, 649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