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질환자의 자기주장훈련이 대인관계, 사회행동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ssertive Train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 Social Behavior,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a Mental Disorder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5, 2005년, pp.896 - 903  

한금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임희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신과) ,  양보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정혜경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신과) ,  서용진 (용인정신병원 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 me the effects of an assertive training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a mental disorder. Method: The study employed a quasi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included 44 patients with a mental disorder, 20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정신질환자에게 주장훈련은 정서적 문제의 근원이 될 수 있는 감정의 억제를 예방하고 억제된 감정을 해소하며, 부정적인 사고와 자기 비하적 사고를 저하시킴으로서 대인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자기주장 훈련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대화 기술을 학습함으로서 대인관계가 증진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정신간호 실무에서 정신질환자의 대인관계를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주장 훈련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 본 연구는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대인관계 및 정신증적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대인관계, 사회행동 및 정신증적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 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20명, 대조군 22명으로 서울시 소재 K대학병원 신경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에는 4주간, 총 8회로 구성된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는 일상적인 병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한 정신질환자를 위한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인관계와, 사회행동 및 정신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입원한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자기 주장훈련을 실시한 후 대인관계와 사회행동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서 정신질환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간호 중재 방법으로서 자기주장 훈련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대인관계 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사회행동 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정신증상 점수는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저11가설인, 자기주장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1.
  • 저]3가설인 '자기주장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신증적 증상 점수가 낮을 것이다';. 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2.
  • 제2가설인 '자기주장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사회행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1.54, p=.O6)를 보이지 않아 지지되지않았다. 사회행동을 언어적, 비언어적, 대화의 내용 측면으로 구분하여 본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med, M., & Boisvert, C. M. (2003). Multimodal Integrative Cognitive Stimulating Group Therapy: Moving Beyond the Reduction of Psychopathology in Schizophrenia. Prof Psychol Res & Prac, 34(6), 644-651 

  2. Arkin, R. M. (1981). Self-presentational styles. In J.T. Tedeschi (Ed.),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nd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311-333.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 Chun, S. K. (1994). Effect of social skill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a.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l University, Seoul 

  4. Derlega, V. J., & Berg, J. H. (1987). Self disclosure: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Pleum 

  5. Glynn, S., & Mueser, K. T. (1986). Social learning for chronic mental inpatients, Schizophr Bull. January, 21, 175-182 

  6. Jung, Y. J. (1997).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social behavior and learning achievement of the learning disorder. Master Thesis, WooSuk University 

  7. Kincaid, M. B. (1978). Assertiveness training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s. Prof Psychol, 2, 153-160 

  8. Kwon, S. M., Lee, C. G. & Lee, H. R. (2003).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assertive training on level of anxiety in anxiety neuroses. Korean J Counseling and Psych, 15(1), 17-23 

  9. Kim, C. K., & Byun, W. T. (1995).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Shinhan Pub Co., Seoul 

  10. Kim, H. S. (1999). Effect of social skill training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sertive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11. Kim, H. Y. (2000). Effect of social skill training on aggression and self esteem of schizophrenia. Master thesis, KwangJu University, KwangJu 

  12. Kim, J. S. (1997). Effect of assertive training on the assertive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Master Thesis, Kyung Hee University 

  13. Kim, J. H., & Song, Y. S. (2003). The effect of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on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self 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J Korean Acad Psychiatir Ment Health Nurs, 12(1), 47-55 

  14. Kim, Y. H. (1994). The effectiveness of assertive training program on the level of anxiety, assertive behavior and sociality in the person with mental illnes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3(1), 53-64 

  15. Lar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 Co 

  16. Lee, Y. A. (1994).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on social behavior of the anxiety. Master Thesis, DanGuk Univsersity 

  17. Lee, E. J., Choy, C. H. (1991).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ceeding book in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Seminar 

  18. Liberman, R. P., Massel, H. K., & Mosk, M. D. (1985),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ronic mental patients, Hosp & Comm Psychiatr 36, 396-403 

  19. Lisa, D., Richard, G., Anthony, L., & Scot, M. (2001). The impact of health status on work, symptoms, and functional outcomes in severe mental illness, J Nerv & Mental Dis, 189(1), 17-23 

  20. McCullough, J. P. (2003). Treatment for Chronic Depression: Cognitive Behavioral Analysis System of Psychotherapy (CBASP). J Psychotherapy Int. 13(3-4), 241-263 

  21. Meleshko, K. G., & Alden, L. E. (1993). Anxiety and self-disclosure: toward a motivational model. J Personality & Soc Psychol, 64(6), 1000-1009 

  22. Parahoo, K., Adv D., & McDonnell, R. (1995). Using research to implement change: the introduction of group activities on a psychiatric unit. J Clinical Nurs, 4(3), 195-202 

  23. Rhyne, L. D. (1975). Social skill training: Behavior rehearsal in groups and dating skill, J Counsel Pshchol, 22(3), 278-297 

  24. Schlenker, B. R., & Lear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and model. Psychol Bulletin, 92, 641-669 

  25. Shannon, J., & Guerney, B. (1973). Interpersonal effects of interpersonal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6, 142-150 

  26. Silva Cardoso, E., Blalock, K., Allen, C. A., Chan, F., & Rubin, S. E. (2004). Life skill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nt J Reh Res, 27, 331-334 

  27. Son, M. J., & Bae, J. K. (1999). Guide to theory of psycho-rehabilitation program. Tae-gu 

  28. Trower, P., Casey, A., & Dryden, W. (1988). Cognitive-Behavioural Counselling in Action. London: Sage 

  29. Tull, M. T., Kim, L. G., Salters, K., & Roemer, L. (2004). The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J Nerv & Mental Dis, 192(11), 754-761 

  30. Yang, S., & Kim, H. S. (1999). Effects of social skill training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sertiveness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8(2), 331-342 

  31. Zappe, C., & Epstein, D. (1987). Assertive training. J Psychosoc Nurs, 25(8), 23-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