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집법에 따른 연엽산 일대 딱정벌레목의 출현상 비교 분석
Comparison of Occurrences of Coleoptera by Three Sampling Methods in Mt. Yeonyeop Area,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3 no.3 = no.59, 2005년, pp.228 - 237  

정종국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승일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최재석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권오길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개월 동안,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의 출현상을 채집방법에 따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Sweeping에 총35과 151종 690개체가 나타났고, light trap에 30과 148종 68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그리고 pitfall trap에는 총18과 112종 1674개체가 채집되었다. 채집방법별 건중량은 pitfall trap (181.46 g), light trap (39.85 g), 그리고 sweeping (10.89 g)의 순으로 나타났다. Light trap으로는 크기가 작고, 비행성이 강한 Coccinellidae, Nitidulidae, Scarabaeidae 등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7월에 종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pitfall trap의 경우, 크기가 크고, 육식성 또는 부식성인 Carabidae, Silphidae, Staphylinidae종류가 많이 출현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지만, 종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리고 sweeping의 경우 식식성이거나 미소 곤충을 포식하는 작은 크기의 Chrysomelidae, Curculionidae, Coccinellidae등이 많이 출현하였고,5월에 종수가 가장 많았다. 채집방법간 유사도 분석 결과, Jaccard's index의 값이 light trap-pitfall trap에서 0.07, light trap-sweeping에서 0.10,그리고 pitfall trap-sweeping에서 0.01로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각 채집방법에 따른 효과는 모두 달랐으며, 다양성 연구 시 세 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mpare the occurrence of Coleoptera by different sampling methods such as light trap, pitfall trap and sweeping, we collected samples every month from April to September,2004 in the Mt. Yeonyeop, Gangwon-do, Korea. According to the sampling methods, the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and dry wei...

주제어

참고문헌 (60)

  1. 강태화. 2000. 한국산 병대벌레과(딱정벌레목: 병대벌레상과)의 분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3pp 

  2. 고대식, 위흡, 김영호. 1980. 소나무좀 방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11:44-47 

  3. 김원목. 2001. 한국산 좀비단벌레족(딱정벌레목: 비단벌레과)의 분류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pp 

  4. 김원택, 김상범. 2000. 한라산 딱정벌레 군집에 관한 조사 5.16도로변을 중심으로 한 딱정벌레상과의 시공간 변동. 제주생명과학연구. 3:103-116 

  5. 김수연. 2003. 한국산 거저리아과(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계통분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2pp 

  6. 김진일. 1996. 한국곤충명집 (1994)에 추가할 곤충류 목록. 자연보존. 93:8-22 

  7. 김진일. 2001. 한국경제곤충 4. 풍뎅이상과 上(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49pp 

  8. 김진일. 2001. 한국경제곤충 10. 풍뎅이상과 下(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97pp 

  9. 김진일. 2002. 미기록과 1종을 포함한 한국산 딱정벌레목 곤충의 총목록. 한국생물상연구지. 7:225-261 

  10. 박상규, 최재영. 2004. 강원대학교 연습림(춘천시 동산면.홍천군 북방면 일대)의 나비 분포와 군집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학사학위논문. 32pp 

  11. 박종균, 권용정, 서상재. 1996. 길쭉먼지벌레의 개체군 변동. 경북대농학지. 14:77-84 

  12. 박종균, 안승락. 2000. 경주 국립공원내 개발지구별 딱정벌레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5:133-137 

  13. 박종균, 연화순, 담휴착. 2003.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벚 풍부도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8:32-36 

  14. 박종균, 백종철. 2001. 한국경제곤충 12. 딱정벌레과(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69pp 

  15. 박해철, 권태성, 이범영, 이준호. 1996. 남해시험림 딱정벌레목 종다양성의 측정. 산림과학논문집. 53:131-141 

  16. 변봉규, 권영대. 이형근, 고민수, 박규택. 1994. 강원대학교 연습림내에서 발생하는 나방류(나비목)의 분포. 강원대학교 논문집-과학기술연구-. 33:228-242 

  17. 윤일병, 박해철. 1985. 한국산 무당벌레아과의 분류학적 연구. 1985. ENT. RES. Bulletin. 11:1-36 

  18. 이강운. 2001 덕유산지역 딱정벌레과의 다양성 및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농생물학과 석사학위논문. 43pp 

  19. 이숭화, 이창언, 박희천. 1988. 한국산 수서 물땡땡이과의 분류(초시목). Nature & Life (Korea). 18:79-91 

  20. 이숭화, 조영복, 이창언. 1988. 한국산 수서 점물땡땡이아과의 분류(물땡땡이과, 초시목). Nature & Life (Korea), 18:71-78 

  21. 이승모. 1987. 한반도 하늘소과 갑충지. 국립과학관. 287pp 

  22. 이승일, 정종국, 최재석, 권오길. 2005. 연엽산 일대 딱정벌레목의 군집구조 및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 23:71-88 

  23. 이종은, 안승락. 2001. 한국경제곤충 14. 잎벌레과(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229pp 

  24. 임업연구원. 1995. 한국수목해충목록집. 계문사. 360pp 

  25. 장석준. 2001. 강원중부지역 산림내의 딱정벌레과 분포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시학위논문. 57pp 

  26. 조영복. 2004. 속리산 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국립공원관리공단. 179-209 

  27. 조영복, 안기정. 2001. 한국경제곤충 11. 송장벌레과, 반날개과(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67pp 

  28. 조복성. 1969. 한국동식물도감 제10권 동불편(곤충류 II). 문교부. 93-712 

  29. Adis J. 1979. Problems of interpreting arthropod sampling with pitfall trap. Zool. Anz. 202: 177-184 

  30. Appel DN, R Peters and RJr Lewis. 1987. Tree susceptibility. inoculum availability, and potential vectors in Texas oak wilt centers. J. Econ. Entomol. 79: 1276-1279 

  31. Arnett RHJr and MC Thomas. 2002. American beetles. CRC Press, Boca Raton. 880pp 

  32. Booth RG, ML Cox and RB Madge. 1990. IIE Guides to insects of importance to man 3. Coleoptera. Th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84pp 

  33. Bratton J and J Andrews. 1991. Invertebrate conservationprinciples and their application to broad-leaved woodland. British-Wildlife. 2:335-344 

  34. Chang VCS and L Jensen. 1974. Transmission of the pineapple disease organism of sugarcane by nitidulid beetles in Hawaii. J. Econ. Entomol. 67:190-192 

  35. Evans AV and CL Bellamy. 1996. An inordinate fondness for beet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3-118 

  36. Evans EW, RA Rogers and DJ Opferman. 1983. Sampling grasshoppers (Orthoptera : Acrididae) on burned and unburned tallgrass prairie: night trapping vs. sweeping. Environ. Entomol. 12:1449-1454 

  37. Gallardo-Covas F and S Medina-Gaud. 1983. Conditions that affect populations of Carpophilus bumeralis F. (Coleoptera : Nitidulidae) in the pineapple fields of Puerto Rico. J. Agr. Univ. Puerto Rico. 67: 11 

  38. Heliovaara K and R Vaisanen. 1984. Effects of modern forestry on north-western European forest invertebrates, a synthesis. Acta. For. Fenn. 189:1-32 

  39. Hinton HE. 1945. A monograph of beetles Associated with Stored Products. Vol. 1. brit. Mus. Natur. Hist. London. 433pp 

  40. Hong KJ, AB Egorov and BA Korotyaev. 2000. Illustrated Catalogue of Curculionidae in Korea (Coleoptera). Jung-haeng-sa, Seoul. 337pp 

  41. Irmler U, K Heller and J Warning. 1996. Age and tree species as factors influencing the populations of insects living in dead wood (Coleoptera, Diptera: Sciaridae, Mycetophilidae). Pedobiologia 40:134-148 

  42. Kim JL and CE Lee. 1992. Seasonal prevalence and geographical fluctuations of the southern Korean Carabinae (Coleoptera: Carabidae). Nature and Life (Korea). 22:33-41 

  43. Kim JI and EJ Lim. 1997. Fauna of Korean Histeridae (Coleoptera). 1997. ENT. RES. Bulletin. 23:59-76 

  44. Kubota K, JK Kim, CY Lee and K Fruta. 2001. Ground beetle fauna in Pinus densiflora forests in Yangyang-gun, Kangwon provinc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outbreaks of the pine needl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2001. Jour. Korean For. Soc. 90:632-642 

  45. Kurosawa Y, S Hisamatsu and H Sasaji. 1998. The Coleoptera of Japan color, Vol I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500pp 

  46. Kwon TS. 1996.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oidea) in the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Korean J. Entomol. 26:351-361 

  47. Kwon YJ and SM Lee. 1984.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Carabinae from Korea (Coleoptera: Carabidae). Ins. Koreana. 4:363pp 

  48. Lawrence JF and AFJr Newton. 1995. Families and subfamilies of Coleoptera (with selected genera, notes, references and data on family-group names). pp.779-1006 

  49. Lee HP and GH Lee. 1995.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abundance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in three different types of forests. ENT. RES. Bulletin. 21:84-90 

  50. Lussenhop J and DT Wicklow. 1990. Nitidulid beetles (Coleoptera: Nitidulidae) as vectors of Aspergillus flavus in pre-harvest maize. Trans. Mycol. Soc. Japan. 31:63-74 

  51. Niemela J, D Langor and JR Spence. 1993. Effects of clearcut harvesting on boreal ground beetle assemblages (Coleoptera : Carabidae) in Western Canada. Cons. Biol. 7:551-561 

  52. Park JK, YJ Kwon and JS Lim. 1997.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beetles (Coleoptera: Carabidae) in Mt. Togyu, Korea. Korean J. Soil Zool. 2:92-97 

  53. Rushton SP, ML Luff and MD Eyre. 1989. Effects of pastur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n the ground beetle and spider communities of upland grasslands. J. Appl. Ecol. 26:489-503 

  54. Southwood TRE. 1978. Ecological method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study of insect populations, 2nd ed. Wiley, New York. 542pp 

  55. Southwood TRE and PA Henderson. 2000. Ecological methods, 3rd ed. Blackwell, Oxford. 576pp 

  56. Spence JR and J Niemela. 1994. Sampling carabid assemblages with pitfall traps, the madness and the method. Can Ent. 126:881-894 

  57. Thomas AW and GM Thomas. 1994. Sampling strategies for estimating moth species diversity using a light trap in a northeastern softwood forest. J. Lepid. Soc. 48:85-105 

  58. Ueno, SI, Y Kurosawa and M Sato. 1999.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514pp 

  59. Volkmar C, S Bothe, T Kreuter, M Luebke-Al Hussein, L Richter, U Heimbach and T Wetzel. 1994. Epigaische Raubarthropoden in Winterweizenbestanden Mitteldeutschlands und ihre Beziehung zu blattlausen. Mitt. Biol. BundAnst. Ld-Forstw. (Berlin-Dahlem). 299:1-134 

  60. Wood GA, J Hasenpusch and RI Storey. 1996. The life history of Phalacrognathus muelleri(Macleay) (Coleoptera: Lucanidae). Aust. Entomol. 23:37-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