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no.4, 2005년, pp.451 - 462
연규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염승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In order to examine the ext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t abandoned Samsanjeil Cu mines in Kosung-kun, Kyeongsangnam-do, we hav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s and mobility of toxic trace elements from mine wastes including about 280,000 tonnages of tailings by chemical experiments (total ex...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강민주, 이평구, 최상훈, 신성천 (2003) 폐중석광산 주변의 중금속 오염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p. 299-301
김경웅, 홍영국, 김택남 (1996) 달성광산 주변지역에서의 중금속 오염과 이의 제거 방안. 자원환경지질, 28권, p. 389-394
김상현, 전효택 (1993)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광상지질, 26권, p.217-226
김휘중, 양재의 , 이재영, 전상호 (2003) 휴. 폐광석지역에서 폐제 내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용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8권, p. 43-55
대한광업진흥공사 (1973) 탐광굴진 1호, p. 171-172
대한광업진흥공사 (1974) 탐광굴진 2호, p. 166-167
대한광업진흥공사 (1976) 탐광굴진 3호, p. 37-38
박영석, 김진 (2000) 덕음-광산 선광광미와 주변토양의 미량원소에 대한 수평.수직적인 분산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33권, p. 91-100
연규훈, 이평구, 최상훈, 박성원, 신성천 (2004) 구룡광산의 광미와 오염된 통야에 대한 중금속 존재형태 비교.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p.392-395
이평구, 신영식, 최상훈 (2004b) 연-아연광산 지역 내 복토된 광미장 부지 농작물(벼)의 체내 중금속 오염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p. 168-171
이평구, 연규훈, 최상훈, 박성원, 조호영 (2004c) 삼산제일 광산 주변의 중금속 오염 평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p. 9-12
전동진, 전효택, 전용원 (1995) 신예미 Pb-Zn-Fe광산과거도 Cu-Fe광산주변의 토양 하상퇴적물의 미량원소 오염. 자원환경지질, 5권, p. 10-20
환경부 (2002) 토양오염공정시험법, p. 136-163
Banerjee, A,D.K. (2003) Heavy metal levels and solid phase speciation in street dusts of Delhi, India. Environmental Pollution, v. 123, p. 95-105
Baruah, N.K., Kotoky, R, Bhattacharyya, K.G. and Borah, G.C. (1996) Metal speciation in Jhanji River sediments. Th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v. 193, p. 1-12
Bird, G., Brewer, p. A., Macklin, M. G., Balteanu, D., Driga, B., Serban, M. and Zaharia, S. (2003) The solid state partitioning of contaminant metals and As in river channel sediments of the mining effected Tisa drainage basin, northwestern Romania and eastern Hungary. Applied Geochemistry, v. 18, p. 1583-1595
Clark, M.W., Davies-McConchie, E, McConchie, D. and Birch, G.F. (2000) Selective Chemical extraction and grainsize normalisation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noxic sediments: validation of an integrated procedure. Th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v. 258, p. 149-170
Dold, B. (2003) Speciation of the most soluble phases in a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dapted for geochemical studies of copper sulfide mine waste.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v. 80, p. 55-68
Hamel, S.C., Ellickson, K.M. and Lioy, P.J. (1999) The estimation of the bioaccessibility of heavy metals in soils using artificial biofluids by two novel methods: mass-balance and soil recapture. Th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v. 243-244, p. 273-283
Kersten, M. and Forstner. (1986) Chemical fractionation of heavy metals in anoxic estuatrine and coastal sediment.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 18, p. 121-130
Maiz, I., Arambarri, I., Garcia, R. and Millan, E. (2000) Evaluation of heavy metal availability in polluted soils by two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s using factor analysis. Environmental Pollution, v. 110, p. 3-9
Maiz, I., Esnaola, M.V and Millan, E. (1997) Evaluation of heavy metal availability in contaminated soils by a short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 206, p. 107-115
Perm, G., Fabris, R., Manente, S., Wagener, A.R., Hama-cher, C. and Scotto, S. (1997) A Five-Year Study on the Heavy-metal Pollution of Guanabara Bay Sedi-ments(Rio de Janeiro, Brazil) and Evaluation of the Metal Bioavailability by means of Geochemical Spe-ciation. Water Research, v. 31, p. 3017-3028
Robinson, B. H., Brooks, R.R., Gregg, P.E.H. and Kirk-man, J.H. (1999) The nickel phytoextraction potential of some ultramafic soils as determined by sequential extracion. Geoderma, v. 87, p. 293-304
Tarvainen, T, Kallio, E. (2002) Baselines of certain bio-available and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Finland. Applied Geochemistry, v. 17, p. 975-980
Tessier, A., Campbell, P.G.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 Analytical chemistry Chem., v. 51, p. 844-850
VROM. (2000) Circular on target values and intervention values for soil remediation: DBO/1999226863. Netherlands Govermment Gazette, v. 39, p. 1-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