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식의 섭취가 납중독 흰쥐의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rotective Effect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Lead Induced Toxicity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7, 2005년, pp.959 - 967  

오영주 (풀무원식문화연구원 기능성연구소) ,  김재민 (㈜켐온 전임상연구센터) ,  송시환 (㈜켐온 전임상연구센터) ,  하효철 (풀무원식문화연구원 기능성연구소) ,  김현수 (풀무원식문화연구원 기능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식 제품이 납중독 흰쥐의 피해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2mg의 납을 매일 1회 쥐에게 경구 투여하면서 생식제품이 $12.5\%,\;25\%,\;50\%$ 함유된 식이로 6주간 사육 후 체중 증가율 및 사료 효율, 혈액학적 검사, 간 조직의 과산화지질함량, SOD활성, GSH 함량과 간 및 신장 조직내 납 함량을 측정하였다. 체중 증가율과 사료 효율은 납 투여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생식의 급여는 체중과 식이효율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2.5\%$ 생식 섭취군에서는 식이 효율이 납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납에 의한 혈액학적 독성 증상으로 납 단독 투여군에서는 RBC를 제외한 HGB, HCT, MCV, MCH, RDW에서 유의적인 손상이 나타났으며(p<0.05), HCT의 경우 $50\%$ 생식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MCV, MCH, RDW의 경우 $25\%$$50\%$ 생식 급여 시 납에 의한 손상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HGB의 경우 생식 농도에 따른 수치 증가는 관찰되었지만 유의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납 투여로 간조직 의 과산화지 질 생성이 다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12.5\%$$50\%$ 생식 섭취군에서 과산화지질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타나났다(p<0.05). 그러나 납 투여에 따른 SOD활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생식은 SOD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납 단독 투여는 항산화 및 해독 작용 관련 물질인 GSH 수준을 유의적(p<0.05)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에 반해 생식의 섭취는 증가된 GSH의 함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생식은 간과 신장 조직에서의 납 축적을 억제시켜 간 조직의 경우 $25\%$$50\%$ 생식군에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었고, 신장 조직에서는 $25\%$ 생식군에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생식의 섭취는 납중독으로 발생되는 혈액학적 및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켜 주고, 조직에서의 납축적을 억제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나 생식은 납중독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켜줄 수 있는 해독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생식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 일환으로 동물실험 수준에서 평가된 연구로서 인체에 적용하기는 아직 무리가 있으며, 향후 용량 설정에 대한 연구 및 임상단계에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고, 이와 함께 후속 연구를 통한 생식의 납 해독 기전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d is a ubiquitous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pollutant that causes a major health concerns. It is known to induce a broad range of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behavioral dysfunctions in laboratory and humans, including hematopoietic system, kidneys, liver, and reproductive system.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납에 의한 산화적 손상 수반 여부와, 생식 섭취 시 항산화 표지자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간 조직 에서 MDA, GSH 및 SOD 활성을 측정 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 현재까지 연구 발표된 내용으로는 생식 이 항산화 체계 및 혈청 무기질에 미치는 영향(21, 22), 과체중 비만 여성의 비만도와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23, 24), 지방간 개선(25), 고지 혈증에 대한 건강개선효과(26-28), 항당뇨 효과 (29, 30) 등이 있으나 유해물질에 대한 해독작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식의 섭취가 유해물질에 의한 피해 경감효과를 갖는지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고 이를 위해 유해성 중금속 중 피해 범위가 넓은 납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생식의 복합성분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기 때문에 식이 구성 시 식이섬유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생식에 함유된 식이섬유소에 의한 효과도 고려 해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식이의 4% 수준의 식이섬유소는 납대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10% 수준의 식 이 섬 유소는 납에 의한 독성을 완화시키고 납 배설을 증가시킨다는 보고(38)로 비추어 볼 때 납 제독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가설 설정

  • 3) Data are expressed as mean±SD.
  • 3,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Jarup L. 2003. Harzard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British Medical Bulletin 68: 167-182 

  2. Miller H, Boswell FC. 1981. Cadmium, lead, and zinc in growing rats fed com leaf tissue grown on soil amended with sewage sludge or heave metal salts. Environ Health Perspect 42: 197-202 

  3. Baik DW, Kwon WC, Won KP, Kim JH, Kim OH, Sho YS, Kim YJ, Park KS, Seong DK, Seo SC, Lee KJ. 1988. Study on the contents of trace elements in foods. Kor H Food Hygiene 3: 7-18 

  4.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2. Dietary intake and risk assessment of contaminants in Korean foods 

  5.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1989. Evaluation of certain g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Tech Rep Ser 776: 8-9 

  6. Slobozhanina El, Kozlova NM, Lukyanenko LM, Oleksiuk OB, Gabbianelli R, Fedeli D, Caulini GC, Falcioni G. 2005. Lead-induced changes in human erythrocytes and lymphocytes. J Appl Toxicol 25: 109-114 

  7. Rasile DA, Stewart PW, Burright RG, Donovick PJ. 1995. Cross generation lead ingestion,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effects in mice. Brain Res Bull 36: 473-482 

  8. Hsu PC, Guo YL. 2002. Antioxidant nutrients and lead toxicity. Toxicology 180: 33-44 

  9. Toplan S, Ozcelik D, Gulyasar T, Akyolcu MC. 2004. Changes in hemorheological parameters due to lead exposure in female rats. J Trace Elem Med Biol 18: 179-182 

  10. Gurer H, Ercal N. 2000. Can antioxidants be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led poisoning? Free Radic Biol Med 29: 927-945 

  11. Hsu JM. 1981. Lead toxicity as related to glutathione metabolism. J Nutr 111: 26-33 

  12. Upasani CD, Balaraman R. 2003. Protective effect of Spirulina on lead induced deleterious chagnes in the lipid peroxidation and endogeneous antioxidants in rats. Phytotherapy Res 17: 330-334 

  13. Queiroz ML, Rodrigues AP, Bincoletto C, Figueiredo CA, Malacrida S. 2003. Protective effects of Chiarella vulgaris in lead-exposed mice infec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Int Immunopharmacol 3: 889-900 

  14. Li GZ, Liu YM, Li GZ. 2004. Study on the adsorption behaviors of cadmium and lead ions on green tea and black tea by ICP-AES. Guang Pu Xue Yu Guang Pu Fen Xi 24: 1444-1446 

  15. Kim DJ, Cho SY, Hee SK, Lee MK, Kim MJ. 2003.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water extract on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 activities in lead administered rats. Korean J Nutr 36: 11-7124 

  16. Dipti P, Yogesh B, Kain AK, Pauline T, Anju B, Sairam M, Singh B, Mongia SS, Selvamurthy W. 2003. Lead induced oxidative stress: Beneficial effects of Kombucha tea. Biomed Environ Sci 16: 276-282 

  17. Shukla PK, Khanna VK, Khan MY, Srimal RC. 2003. Protective effect of curcumin against lead neurotoxicity in rat. Hum Exp Toxicol 22: 653-658 

  18.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중 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 2005-27호 

  19. Park MH. 2002. The status of uncooked food industry and its future. Food Ind and Nutr 7: 1-3 

  20. Lee SY. 2002. Manufacture processing of uncooked food on the market. Food Ind and Nutr 7: 11-15 

  21. Park J, Yang M, Jun HS, Lee JH, Bae HK, Park T. 2003. Effects of raw brown rice and job's tear supplemented diet on serum and hepatic lipid concentrations, antioxidative system, and immune function of rats. Korean J Nutr 36: 197-206 

  22. Lee YJ, Lee HM, Park TS. 2003.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antioxidative system and serum mineral concentrations in rats fed unbalanced diet. Korean J Nutr 36: 898-907 

  23. Park SH, Ahn BY, Kim SH, Han JH. 2003. The effect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the weight loss and the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in overweight and obese wom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9-55 

  24. Ha TY, Kim NY. 2003. The effects of uncooked grains and vegetables with mainly brown rice on weight control and serum components in Korean overweight/obese female. Korean J Nutr 36: 183-190 

  25. Lee E, Kim WJ, Lee YJ, Lee MK, Kim PG, Park YJ, Kim SK. 2003. Effects on natural complex food on specific enzymes of serum and liver and liver microstructure of rats f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56-262 

  26. Yang BK, Jeong SC, Park JB, Cho SP, Choi YS, Lim SK, Song CH. 2001. Effect of uncooked food on the hyperlipidemlic rats. Korean J Life Sci 11: 298-303 

  27. Han JH, Park SH. 2003. The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nutrient intake, body fat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hyperlipidemic patients. Korean J Nutr 36: 589-602 

  28. Kang SM, Shim JY, Hwang SJ, Hong S, Jang HE, Park MH. 2003. Effects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health improvement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06-912 

  29. Jang Y, Lee JH, Kim OY, Park HY, Lee SY. 2001. Consumption of whole grain and legume powder reduces insulin demand, lipid peroxidation,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I 21: 2065-2071 

  30. Kim M, Kim ES, Park MH, Hwang SJ, Jeong Y. 2004. Saengshik, a formulated health food, decreases blood glucose and increases survival rat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Med Food 7: 162-167 

  31.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1977. Report of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 J Nutr 107: 1340-1348 

  32.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33. Kim MK, Baek SM. 1996. Effect of dietary calcium level on cadmium and lead toxicity in rats. Korean J Nutr 29: 958-970 

  34. Han SH, Shin MK, Kim YW, Lim S. 2000.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black soybean on enzymes activities of serum in rats fed Pb and Cd solu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93-197 

  35. Ryu JM, Kim MK. 1996. Effect of dietary cysteine level on cadmium and lead toxicity in rats. Korean J Nutr 29: 597-607 

  36. Lee JS, Kim MJ, Park EM. 1997. Effects of extract of Pueraria radix on hematological properties and lead level of the tissue of the Pb-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88-493 

  37. Lowe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38. Kim MK, Lee HY. 1990. Effect of dietary fiber diet on lead absorption and metabolic changes in growing rats. Korean J Nutr 23: 492-503 

  39. Wapnir RA, Exeni RA, Mcvicar M, Lifsheitz F. 1977. Experimental lead poisoning and intestinal transport of glucose, amino acid and sodium. Pediat Res 11: 153-157 

  40. Quarterman J, Morrison JN, Humphries WR. 1976. The effects of dietary lead content and food restriction on lead retention in rats. Environ Res 12: 180-187 

  41. Kang BH, Son HY, Ha CS, Lee HS, Song SW. 1995. Reference values of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in Ktc: Sprague-Dawley rats. Kor Lab Ani Sci 11 : 141-145 

  42. Flora SJS, Pande M, Mehta A. 2003. Beneficial effect of combined administration of some naturally occuring antioxidants (vitamins) and thiol chelator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ead intoxication. Chem Biol Interact 145: 267-280 

  43. Daniel S, Limson JL, Dairam A, Watkins GM, Daya S. 2004. Through metal binding, curcumin protects against leadand cadmium-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 brain homogenates and against lead-induced tissue damage in rat brain. J Inorganic Biochem 98: 266-275 

  44. Sivaprasad R, Nagaraj M, Varalakshmi P. 2004. Combined efficacies of lipoic acid and 2,3-dimercaptosuccinic acid against lead-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J Nutr Biochem 15: 18-23 

  45. Flora SJS, Tandon SK. 1987. Effect of combined exposure to lead and ethanol on some biochemical indices in the rat. Biochem Pharmacol 36: 537-541 

  46. Machartova V, Racek J, Kohout J, Senft V, Trefil L. 2000. Effect of antioxidant therapy on indicators of free radical activity in workers at risk of lead exposure. Vnitrni Lekarstvi 46: 444-446 

  47. Tian L, Lowrence D. 1995. Lead inhibits nitric oxide production in vitro by murine splenic macrophages. Toxicol Appl Pharmacol 132: 156-163 

  48. Ercal N, Treratphan P, Hammond TC, Mathews RH, Grannemann NH, Spitz DR. 1996. In vivo indices of oxidative stress in lead-exposed C57BL/6 mice are reduced by treatment with meso-2,3-dimercaptosuccinic acid or N-acetyl cysteine. Free Radic Biol Med 21: 157-161 

  49. Fowler BA, Kimmel CA, Woods JS, McConnel EE, Grant LD. 1980. Chronic low-level lead toxicity in the rat. Toxicol Appl Pharmacol 56: 59-77 

  50. Dhawan M, Kachru DN, Tandon SK. 1988. Influence of thiamine and ascorbic acid supplementation on the antidotal efficacy of thiol chelators in experimental laed intoxication. Arch Toxicol 62: 301-304 

  51. Kagi JHR, Vallee BL. 1961. Methalloprotein, a cadmium and zinc containing protein from equine renal cortex. J Biol Chem 236: 2435-2442 

  52. Flora SJ, Tandon SK. 1990. Beneficial effects of zinc supplementation during chelation treatment of lead intoxication in rats. Toxicology 64: 129-139 

  53. Kimura MH, Hamashita T, Komata J. 1986. Use of green tea as an adsorbent of several metal ions in water. Bunseki Kagaku 35: 400-405 

  54. Zmudzki J, Bratton GR, Womac C, Rowe LD. 1984. The influence of milk diet, grain diet, and method of dosing on lead toxicity in young calves. Toxicol Appl Pharmacol 76: 490-497 

  55. Hwang JK. 2002. Function of uncooked foods. Food Ind and Nutr 7: 16-19 

  56. Yoon OH. 2002. The effect of uncooked food for human health. Food Ind and Nutr 7: 4-10 

  57. West LG, Meyer KA, Balch BA, Rossi FJ, Schultz MR, Haas GW. 2004. Glucoraphanin and 4-hydroxyglucobrassicin contents in seeds of 59 cultivars of broccoli, raab, kohlrabi, radish, cauliflower, brussels sprouts, kale, and cabbage. J Agric Food Chem 52: 916-926 

  58. Hwang DF, Wang LC. 2001. Effect of taurine on toxicity of cadmium in rats. Toxicology 167: 173-18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