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내의 이동 노드 (Mobile Node: MN)들의 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IP이동성 관리로 인한 시그널링 트래픽은 급증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전반적인 네트워크의 성능을 크게 좌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인 Mobile IPv6 (MIPv6)와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의 시그널링 부하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연속 시간 마코프 체인 모델과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는 새로운 분석적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 하에서 MIPv6와 HMIPv6가 각각 적용되었을 경우,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 시간 동안에 MN에 의해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들을 분석적 모델링에 기반하여 각각 유도해 낸다. 또한, MN의 이동성 및 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변화가 MIPv6와 HMIPv6 하에서 MN에 의해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분석적 모델링을 통하여, MN의 평균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큰 값으로 설정될수록, 그리고 평균 패킷 도착율이 적을수록,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 시간 동안에 HMIPv6 하에서 발생되는 총 시그널링 비용은 MIPv6 하에서 발생되는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되며, 이와 반대되는 상황 하에서는 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H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네트워크 내의 이동 노드 (Mobile Node: MN)들의 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IP 이동성 관리로 인한 시그널링 트래픽은 급증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전반적인 네트워크의 성능을 크게 좌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인 Mobile IPv6 (MIPv6)와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의 시그널링 부하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연속 시간 마코프 체인 모델과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는 새로운 분석적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 하에서 MIPv6와 HMIPv6가 각각 적용되었을 경우,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 시간 동안에 MN에 의해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들을 분석적 모델링에 기반하여 각각 유도해 낸다. 또한, MN의 이동성 및 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변화가 MIPv6와 HMIPv6 하에서 MN에 의해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분석적 모델링을 통하여, MN의 평균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큰 값으로 설정될수록, 그리고 평균 패킷 도착율이 적을수록,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 시간 동안에 HMIPv6 하에서 발생되는 총 시그널링 비용은 MIPv6 하에서 발생되는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되며, 이와 반대되는 상황 하에서는 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H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As the number of the mobile nodes (MNs) increases in the networks, the signaling traffic generated by mobility management for MNs will increase explosively, and such a phenomenon will probably affect overall network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nalytical approach using a continuou...
As the number of the mobile nodes (MNs) increases in the networks, the signaling traffic generated by mobility management for MNs will increase explosively, and such a phenomenon will probably affect overall network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nalytical approach using a continuous-time Markov chain model and hierarchical network model for the analysis on the signaling load of representative IPv6 mobility support Protocols such as Mobile IPv6 (MIPv6) and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 According to these analytical modeling, this paper derives the various signaling costs, which are generated by an MN during its average domain residence time when MIPv6 and HMIPv6 are deployed under the same network architecture, respectively. In addition, based on these derived costs,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mobility/traffic-related parameters on the signaling costs generated by an MN under MIPv6 and HMIPv6.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as the average moving speed of an MN gets higher and the binding lifetime is set . to the larger value, and as its average packet arrival rate gets lower, the total signaling cost generated during its average domain residence time under HMIPv6 will get relatively lower than that under MIPv6, and that under the reverse conditions, the total signaling cost under MIPv6 will get relatively lower than that under HMIPv6.
As the number of the mobile nodes (MNs) increases in the networks, the signaling traffic generated by mobility management for MNs will increase explosively, and such a phenomenon will probably affect overall network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nalytical approach using a continuous-time Markov chain model and hierarchical network model for the analysis on the signaling load of representative IPv6 mobility support Protocols such as Mobile IPv6 (MIPv6) and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 According to these analytical modeling, this paper derives the various signaling costs, which are generated by an MN during its average domain residence time when MIPv6 and HMIPv6 are deployed under the same network architecture, respectively. In addition, based on these derived costs,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mobility/traffic-related parameters on the signaling costs generated by an MN under MIPv6 and HMIPv6.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as the average moving speed of an MN gets higher and the binding lifetime is set . to the larger value, and as its average packet arrival rate gets lower, the total signaling cost generated during its average domain residence time under HMIPv6 will get relatively lower than that under MIPv6, and that under the reverse conditions, the total signaling cost under MIPv6 will get relatively lower than that under HMIPv6.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이러한 이동성 및 트래픽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 프로토콜들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성능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필수 불가결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인 MIPv6 와 HMIPv6 에 대한 새로운 성능 분석 모델링 방식을 제안하고, 이동성 및 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라 각 프로토콜 하에서 하나의 MN에 의해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들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에 대하여도 살펴본다. 아울러, 여러 다양한 상황 하에서 각 프로토콜간의 총 시그널링비용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들 두 프로토콜 간의 총 시그널링 부하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변화를 분석한다. 본 분석은 U, p, T의 값이 변함에 따라 MIPv6와 HMIPv6 하에서의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된다. 먼저 분석을 위하여, 우리는 HMJFv6의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을 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에 대한 H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으로서 정의한다.
본 논문은 MIPv6와 HMIPv6의 성능 분석을 위한 새로운 분석적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이들 두 프로토콜 하에서의 시그널링 비용 함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자 이동성 모델과 네트워크 모델올 정의하였고, 이 두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MIPv6와 HMIPv6 하에서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에 MN으로부터 발생되는 위치등록 비용, 패킷터널링 비용 및 총 시그널링 비용 함수를 각각 분석적으로 유도해 내었다.
먼저 이들 두 프로토콜 하에서의 시그널링 비용 함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자 이동성 모델과 네트워크 모델올 정의하였고, 이 두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MIPv6와 HMIPv6 하에서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에 MN으로부터 발생되는 위치등록 비용, 패킷터널링 비용 및 총 시그널링 비용 함수를 각각 분석적으로 유도해 내었다. 또한, 이들 각 시그널링 비용 함수들에 대하여 여러 이동성 및 트래픽 관련된 파라미터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는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에 MN의 평균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큰 값으로 설정될수록, 그리고 패킷 도착율이 적을수록 H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은 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되며, 이와 반대되는 상황 하에서는 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H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한편, bHlMwK)은 주어진 도메인으로부터 다른 도메인으로의 MN의 이동율을 나타낸다. 또한, 주어진 도메인 내에서의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에 MbH] 의해 발생되는 모든 시그널링 비용을 고려하기 위하여, MNe 주어진 도메인 영역 내에서 유한 번의 서브넷 이동 후에 도메인을 벗어난다고 가정하고, 이때 주어진 도메인 영역 내에서의 MN의 서브넷 이동 횟수의 최대값은 K라고 가정한다.
가정한다. 즉, MNe 평균 u의 속도로 이동하며, 이동 방향은 [0, 2끼 사이에서 균일(uniform)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모든 서브넷들은 사각형의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서로 인접하며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MNe 평균 u의 속도로 이동하며, 이동 방향은 [0, 2끼 사이에서 균일(uniform)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모든 서브넷들은 사각형의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서로 인접하며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MN의 이동율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
[11]과 유사하게, 우리는 그림 2에서 보여지는 2 계층 (two-layer) 구조의 네트워크 모델을 가정한다. 1.
각 1 계층 노드는 깊이가 [인 N진 트리의 루트이며. CN 또는 MN이 위치한 영역에 존재하는 디폴트 액세스 라우터 (access router: AR)들을 포함한 모든 AR들과 HA는 모두 2 계층 (second layer) 노드들이라고 가정한다. 한편, 각 도메인은 동일한 1 계층 노드하에 존재하는 모든 2 계층 노드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CN 또는 MN이 위치한 영역에 존재하는 디폴트 액세스 라우터 (access router: AR)들을 포함한 모든 AR들과 HA는 모두 2 계층 (second layer) 노드들이라고 가정한다. 한편, 각 도메인은 동일한 1 계층 노드하에 존재하는 모든 2 계층 노드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동일한 1 계층 노드하에 존재하는 모든 2 계층 노드들의 수를 도메인의 크기 (N) 라고 정의한다.
동일한 1 계층 노드하에 존재하는 모든 2 계층 노드들의 수를 도메인의 크기 (N) 라고 정의한다. 또한, 분석의 간략화를 위하여, CN, HA 및 MNe 모두 서로 다른 도메인 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하에서의 두 프로토콜들 (즉, MIPv6 와 HMIPv6) 의 성능 분석을 위하여.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하에서의 두 프로토콜들 (즉, MIPv6 와 HMIPv6) 의 성능 분석을 위하여. HMIPv6가 적용될 때 MAP의 기능은 1 계층 노드에 추가적으로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한편.
한편. 1 계층 노드간의 링크 홉수는 Q이고, 1 계층 노드와 2 계층 노드간의 링크 흡수는 b라고 가정한다. 또한, CN과 CN의 디폴트 AR간의 링크 홉수는 0 이라고 가정하고, 무선 링크 구간에서의 전송 비용 (transmission cost)은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1 계층 노드간의 링크 홉수는 Q이고, 1 계층 노드와 2 계층 노드간의 링크 흡수는 b라고 가정한다. 또한, CN과 CN의 디폴트 AR간의 링크 홉수는 0 이라고 가정하고, 무선 링크 구간에서의 전송 비용 (transmission cost)은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그림 2에서 보여지는 네트워크 모델에서 네트워크 스케일의 비율 (厂)을 조절함으로써, 우리는 또한 MN과 CN 또는 HA간의 거리에 따른 변화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게 되고, 네트워크 스케일의 비율 厂은 Q.
또한, CN과 CN의 디폴트 AR간의 링크 홉수는 0 이라고 가정하고, 무선 링크 구간에서의 전송 비용 (transmission cost)은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그림 2에서 보여지는 네트워크 모델에서 네트워크 스케일의 비율 (厂)을 조절함으로써, 우리는 또한 MN과 CN 또는 HA간의 거리에 따른 변화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게 되고, 네트워크 스케일의 비율 厂은 Q.l < r = b/a < 1, b = 3 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广의 값이 크다는 것은 MN이 HA 또는 CN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하게 되고, 广의 값이 작다는 것은 MN이 HA 또는 CN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한편, MIPv6 하에서의 HA와 CN에 대한 바인딩 라이프타임을 각각 祐와 元라 가정하자. n러면 MIPv6 하에서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 MN에 의해발생되는 평균 BR 비용(Rw)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사용된 성능 평가 척도는 MN의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 발생하는 모든 패킷 당 시그널링 대역폭의 소모량과 각 패킷이 이동하는 홉 수의 곱으로써 정의하였다 (= 바이트 X 링크 흡 수 /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 시간). 또한, % 厂 및 6는 각각 0.7, 0.2와 0.1 로 가정하였고, K는 N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분석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파라미터들은 [4, 8, 12]에서 사용되어진 값들로 설정되었다. 한편, BU/BR/BAck 메시지들의 크기는 각각 IPv6 헤더의 크기(40바이트)와 binding extension 헤더의 크기(28바이트)의 합(68바이트)과 같다고 가정하였으며[4], 패킷당 터널링에 의해 발생되는 부가적인 시그널링 대역폭의 소모량은 IPv6 헤더의 크기(40바이트)와 같다고 가정하였다[2]. 한편, [2, 3]에 의해, MIPv6와 HMIPv6에서의 각 바인딩 라이프타임들(%, Th, Tm, 二 C)은 모두 같다고 가정하였으며, 丁라 표기하기로 한다.
한편, BU/BR/BAck 메시지들의 크기는 각각 IPv6 헤더의 크기(40바이트)와 binding extension 헤더의 크기(28바이트)의 합(68바이트)과 같다고 가정하였으며[4], 패킷당 터널링에 의해 발생되는 부가적인 시그널링 대역폭의 소모량은 IPv6 헤더의 크기(40바이트)와 같다고 가정하였다[2]. 한편, [2, 3]에 의해, MIPv6와 HMIPv6에서의 각 바인딩 라이프타임들(%, Th, Tm, 二 C)은 모두 같다고 가정하였으며, 丁라 표기하기로 한다.
한편, MN의 이동율을 구하기 위하여, Fluid flow 모델을 가정한다. 즉, MNe 평균 u의 속도로 이동하며, 이동 방향은 [0, 2끼 사이에서 균일(uniform)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2절에서 주어진 네트워크 모델과 가정들에 따라 Um = 2Sb加 久 = 2&冲 + 싸와 Uc = Sbu{a+2b) 로 각각 표현된다. 여기서, 吳u는 하나의 BU 메시지에 의하여 발생되는 시그널링 대역폭의 소모량(signaling bandwidth consumptionX 나타내고, 분석의 간략화를 위하여 바인딩 관련된 메시지들은 피기백(piggyback) 되지 않고 단일의 패킷으로 전송되며, CN 으로부터의 binding acknowledgement(BAck) 메시지는 보내지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제안 방법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인 MIPv6 와 HMIPv6 에 대한 새로운 성능 분석 모델링 방식을 제안하고, 이동성 및 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라 각 프로토콜 하에서 하나의 MN에 의해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들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에 대하여도 살펴본다. 아울러, 여러 다양한 상황 하에서 각 프로토콜간의 총 시그널링비용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들 두 프로토콜 간의 총 시그널링 부하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9]에서는 IP 기반 셀룰러 네트워크 하에서 HMIPv6에 대한 성능 분석을 위한 랜덤 워크 기반의 분석 모델을 소개하였다. 저자는 HMIPv6 하에서의 MN의 위치등록 비용, 패킷 전달 비용 및 총 비용을 각각 유도하고, 위치등록 비용에 대한 셀 상주 시간 변화에 따른 영향, 패킷 전달 비용에 대한 사용자 수 변화에 따른 영향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에서의 분석 모델은 HMIPv6 하에서의 다양한 이동성 및 트래픽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른 성능 분석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MIPv6와의 비교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시그널링 부하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인딩 라이프타임 (binding lifetime) 및 주기적인 위치 갱신에 의해 발생되는 BR 비용에 대한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위에서 제시한 기존 논문들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 하에서 MIPv6와 HMIPv6가 각각 적용되었을 경우,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에 MN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시그널링 비용들을 새로운 분석적 모델링에 기반하여 각각 유도해 낸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이동성 및 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른 두 프로토콜간의 시그널링부하롤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관리자 또는 설계자로 하여금 MIPv6 또는 HMIPv6를 자신의 네트워크에 도입하려 할 경우, 각 프로토콜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이며, 이는 보다 효율적인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의 설계를 위한 초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분석의 간략화를 위하여, CN, HA 및 MNe 모두 서로 다른 도메인 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하에서의 두 프로토콜들 (즉, MIPv6 와 HMIPv6) 의 성능 분석을 위하여. HMIPv6가 적용될 때 MAP의 기능은 1 계층 노드에 추가적으로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본 절에서는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 하에서 MIPv6와 HMIPv6가 각각 적용되었을 경우,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 시간 동안에 MN에 의해 발생되는 위치등록 비용 (즉, BU 비용과 BR 비용의 합), 패킷터널링 비용 및 총 시그널링 비용 등을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 이동성 모델과 네트워크 모델에 기반하여 분석적으로 유도해 낸다. MIPv6와 HMIPv6 에는 두 가지 종류의 위치 등록 메시지가 존재한다.
하나는 MN이 서브넷 경계를 벗어나 이동함으로써 새로운 위치를 등록시키기 위하여 발생되는 메시지이며, 다른 하나는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만료되기 직전에 HA 또는 CN에 존재하는 MN 에 대한 바인딩 (binding) 정보를 갱신 및 유지하기 위하여 발생되는 메시지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두 개의 메시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전자를 BU 메시지, 후자를 BR 메시지라 구분한다. 아울러, 성능 분석을 위해 3.
본 절에서는 3.1 절과 3.2절에서 주어진 분석 모델들에 입각하여, HMIPv6 하에서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을 분석한다.
3절에서 유도된 여러 비용 함수들에 기반하여 MIPv6와 HMIPv6 중]■에서의 시그널링 부하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먼저 MN의 평균 이동 속도, 바인딩 라이프타임, 네트워크 스케일의 비율, 패킷도 착 율과 같은 여러 다양한 이동성 및 트래픽 관련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라 각 비용들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런 다음, 총시그널링 비용 측면에서 두 프로토콜 하에서 발생되는 시그널링 부하의 차이를 살펴본다.
이 절에서는 표 2에서 주어진 네 개의 파라미터 셋 하에서 두 프로토콜간의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을 비교함으로써 MIPv6와 H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비용의 변화를 분석한다. 본 분석은 U, p, T의 값이 변함에 따라 MIPv6와 HMIPv6 하에서의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된다.
본 분석은 U, p, T의 값이 변함에 따라 MIPv6와 HMIPv6 하에서의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된다. 먼저 분석을 위하여, 우리는 HMJFv6의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을 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에 대한 H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으로서 정의한다. 따라서,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이 “1” 이라는 것은 이들 두 프로토콜들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정확히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총 시그널링 비용이 “1” 보다 작다는 것은 H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적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이들 두 프로토콜 하에서의 시그널링 비용 함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자 이동성 모델과 네트워크 모델올 정의하였고, 이 두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MIPv6와 HMIPv6 하에서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에 MN으로부터 발생되는 위치등록 비용, 패킷터널링 비용 및 총 시그널링 비용 함수를 각각 분석적으로 유도해 내었다. 또한, 이들 각 시그널링 비용 함수들에 대하여 여러 이동성 및 트래픽 관련된 파라미터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도 분석하였다.
데이터처리
그런 다음, 총시그널링 비용 측면에서 두 프로토콜 하에서 발생되는 시그널링 부하의 차이를 살펴본다. 사용된 성능 평가 척도는 MN의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 발생하는 모든 패킷 당 시그널링 대역폭의 소모량과 각 패킷이 이동하는 홉 수의 곱으로써 정의하였다 (= 바이트 X 링크 흡 수 /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 시간). 또한, % 厂 및 6는 각각 0.
성능/효과
비용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작은 값으로 설정될수록 네트워크 상에서의 시그널링 부하는 더 증가하게 되고,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수록 네트워크 상에서의 시그널링 부하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클수록 HA, MAP 과 CN에서의 바인딩 캐쉬 엔트리의 크기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바인딩 캐쉬 룩업(lookup) 시간에서의 증가와 이들의 메모리 자원에 대한 보다 많은 점유를 하게 될 것이다.
먼저 분석을 위하여, 우리는 HMJFv6의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을 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에 대한 H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으로서 정의한다. 따라서, 상대적인 총 시그널링 비용이 “1” 이라는 것은 이들 두 프로토콜들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정확히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총 시그널링 비용이 “1” 보다 작다는 것은 H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MIPv6의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 각 시그널링 비용 함수들에 대하여 여러 이동성 및 트래픽 관련된 파라미터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는 MN의 평균 도메인 상주시간 동안에 MN의 평균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바인딩 라이프타임이 큰 값으로 설정될수록, 그리고 패킷 도착율이 적을수록 H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은 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되며, 이와 반대되는 상황 하에서는 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이 HMIPv6 하에서의 총 시그널링 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링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MIPv6와 HMIPv6 하에서의 시그널링 비용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것이다. 두 번째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링 기법과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HMIPv6 네트워크 하에서 이동성과 트래픽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라 총 시그널링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MN 이 HMIPv6와 MIPv6를 적응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적응적 이동성 관리기법 [13]을 제안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며, 세 번째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링 기법을 FMIFP6나 F-HMIPv6와 같은 IPv6 이동성 관련 프로토콜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시키는 것이다.
후속연구
또한, [9]에서의 패킷전달 비용은 이동성 관리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순수한 의미에서의 시그널링 트래픽에 대한 비용 분석이라기 보다는 시그널링 트래픽 뿐만 아니라 데이타트래픽까지 포함된 비용 분석이었다. 그러나, IP 이동성 관리의 측면에서 본다면, 위치 등록과 패킷 터널링으로 인하여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순수한 의미에서의 시그널링 트래픽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보다 정확한 분석이 돨 것이다.
낸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이동성 및 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른 두 프로토콜간의 시그널링부하롤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관리자 또는 설계자로 하여금 MIPv6 또는 HMIPv6를 자신의 네트워크에 도입하려 할 경우, 각 프로토콜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이며, 이는 보다 효율적인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의 설계를 위한 초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실제적으로는 바인딩 라이프타임의 주기에 대한값은 RFC 3775 [2]에서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MIPv6 또는 HMIPv6의 구현시에 명세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MIPv6와 HMIPv6의 성능 비교시, 바인딩 라이프타임의 영향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링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MIPv6와 HMIPv6 하에서의 시그널링 비용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것이다. 두 번째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링 기법과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HMIPv6 네트워크 하에서 이동성과 트래픽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라 총 시그널링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MN 이 HMIPv6와 MIPv6를 적응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적응적 이동성 관리기법 [13]을 제안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며, 세 번째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링 기법을 FMIFP6나 F-HMIPv6와 같은 IPv6 이동성 관련 프로토콜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시키는 것이다.
참고문헌 (13)
C. Perkins, 'IP Mobility Support for IPv4,' RFC 3344, Aug. 2002
D. Johnson and C. Perkins, 'Mobility Support in IPv6,' RFC 3775, Jun. 2004
H. Soliman, C. Castelluccia, K. Malki, L. Bellier, 'Hierarchical Mobile IPv6 Mobility Management (HMIPv6),' draft-ietf-mipshop-hmipv6-03.txt, Oct. 2004
C. Castelluccia, 'HMIPv6: A Hierarchical Mobile IPv6 Proposal,' ACM Mobi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Review, vol. 4, no. 1, pp. 48-59, Jan. 2000
A. Campbell, J. Gomez, S. Kim, C. Wan, Z. Turanyi, and A. Valko, 'Comparison of IP Micromobility Protocols,' IEEE Pers. Commun, vol. 9, pp. 72-82, Feb. 2002
J. Xie, and Ian F. Akildiz, 'A Novel Distributed Dynamic Location Management Scheme for Minimizing Signaling Costs in Mobile IP,' IEEE Trans. on Mobilecom, vol. 1, no. 3, Jul-Sept. 2002
M. Woo, 'Performance Analysis of Mobile IP Regional Registration,' IEICE Trans. on Commun, vol. E86-B, no. 2, pp. 472-478, Feb. 2003
S. Pack and Y. Choi, 'Performance Analysis of Hierarchical Mobile IPv6 in IP-based Cellular Networks,' in Proc. PIMRC 2003, Sep. 2003
F. Baumann and I. Niemegeers, 'An Evaluation of Location Management Procedures,' in Proc. UPC'94, pp. 359-364, Sept. 1994
T. Ihara, H. Ohnishi, and Y. Takagi, 'Mobile IP Route Optimization Method for a Carrier-Scale IP Network,' in Proc. ICECCS 2000, pp. 11-14 Sept. 2000
R. Ramjee, K. Varadhan, L. Salgarelli, S. Thuel, W. Yuan, T. Porta, 'HAWAII: A Domain-Based Approach for Supporting Mobility in Wide-Area Wireless Networks,' IEEE/ACM Trans. Networking, vol. 10, no. 3, pp. 396-410, Jun. 2002
K. Kong, S. Roh, and C. Hwang, 'History-Based Auxiliary Mobility Management Strategy for Hierarchical Mobile IPv6 Networks,' IEICE Trans. Fundamentals (Special Issue on Multi-dimensional Mobile Information Networks), vol. E88-A, no. 7, pp. 1845-1858, Jul. 200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