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피난에 관한 연구 : Part II
A Study on Evacuation of Patients in Hospitals : Part II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19 no.3 = no.59, 2005년, pp.28 - 36  

김응식 (호서대학교 환경안전공학부 안전공학과) ,  이정수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박성민 (호서대학교 환경안전공학부 안전공학과) ,  유희권 (호서대학교 환경안전공학부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병원 피난 시간 평가를 위하여 변수를 확립하고 이를 측정하였으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종합병원의 병동 별 피난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다른 병원에도 적용이 용이하게 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의 종합병원에 협조를 구하여 피난 실험을 함으로써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 하에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산정하고 이를 측정하였으며 나아가 전체 피난시간을 평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확립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establishment of egress parameters and algorithm for estimation of total egress time in hospitals. Therefore, egress parameters should be measured and analyzed via the experiment at many hospitals. In this study, 4 general hospitals were experimented and egress parameters w...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둘째는 건축 구조에 관한 변수로서 입원실의 위치, 복도의 구조, 입원실에서 비상 탈출구 까지의 거리, 문 폭, 층별 비상계단의 수, 위치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장애 유형별 이동 속도 및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자의 의식 수준을 "병원 피난에 관한 연구 : Part I"에서 기술하였다. 이후 같은 연장선상에서 4개의 종합병원의 협조를 구하여 피난 실험을 함으로써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 하에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전체 피난시간을 유추함으로써 타 병원에서도 전체 피난시간도 예측 가능하도록 하였다.
  • (3) 실험을 통해 구해진 유출계수와 방 탈출시간을 이용하여 평가한 피난시간과 실제 병원별 피난시간을 비교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피난시간 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다른 종합병원의 피난시간 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전체 인원을 정상 인원과 이동능력이 떨어지는 환자군으로 나뉘되 이동능력이 떨어지지 않는 환자는 정상인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유출계수의 산정을 위해 전체 인원 중 정상인원 즉 아무런 도움이나 기구 없이 스스로 이동 가능한 인원의 비율을 구한다.
  • 병동은 환자를 포함한 다수의 상주인원 및 24시간 상시 근무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병실별로 인지시간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보와 함께 화재를 알리는 근무자의 신호를 기점으로 환자들이 병실에서 완전히 피난하는 시간을 '병실문 통과시간' 이라는 새로운 변수로 처리하였다. 여기에는 인지시간, 환자들이 이동을 준비하는 반응시간 그리고 병실문까지의 이동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 (2) 전체 피난시간에 있어서는 환자의 구성 비율이 피난에 큰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구성 비율을 변수로 하여 유출계수 산정식을 구하였다. 병목현상이 없을 경우 장애 유형별 환자 개인의 이동 속도가 전체 피난 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 7은 81병동의 평면 구조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자 형의 2개의 긴 복도로 되어있으며 복도의 한 쪽 끝에(그림의 왼쪽) L14m 폭의 출구가 있고 다른 한쪽에(오른쪽) 1.04 m 폭의 비상계단으로 통하는 출구가 있으며 이를 최종 탈출의 판정기준으로 삼았다. 양쪽 복도의 병실에서 피난하는 환자들 모두 본 출구에 들어섰을 경우 피난에 성공했다고 간주한다.
  • 6은 43병동의 평면 구조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자형의 2개의 긴 복도로 되어있으며 1.8 m 폭의 비상계단으로 통하는 출구가 한 쪽 복도 끝에 있으며 이를 최종 탈출의 판정기준으로 삼았다. 양쪽 복도의 병실에서 피난하는 환자들 모두 본 출구에 들어섰을 경우 피난에 성공했다고 간주한다.
  • 이들 병원에서 협조가 가능한 병동을 선택하여 계단실이 있는 안전 구획 안으로 피난하는 층별 피난 실험을 실시한다. 실험 시 공정용 감시카메라 및 캠코더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동선별 이동속도, 입원실 탈출시간, 비상구 탈출시간 및 최종 탈출구에서의 유출계수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실험 시작 시부터 모든 환자가 최종 탈출구를 탈출하는 총 피난시간을 측정한다.
  • 유출계수를 산정한 후 이를 사용하여 환자의 정체가 예상되는 곳의 탈출시간과 최소 복도 보행시간을 더하여 비상출구 통과시간을 구한다.
  • 피난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전 시내 2군데 병원, 충남권 1군데, 경기권 1군데의 총 4군데 종합 병원의 협조를 구하였으며 앞으로 이들 병원을 A병 원, B병원, C병원, D병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들 병원에서 협조가 가능한 병동을 선택하여 계단실이 있는 안전 구획 안으로 피난하는 층별 피난 실험을 실시한다. 실험 시 공정용 감시카메라 및 캠코더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동선별 이동속도, 입원실 탈출시간, 비상구 탈출시간 및 최종 탈출구에서의 유출계수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실험 시작 시부터 모든 환자가 최종 탈출구를 탈출하는 총 피난시간을 측정한다.
  • 2 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이동속도와 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의 유출계수를 구하기 위해서 병원측과 환자의 협조를 얻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 병원의 6개 비상 탈출구에서 환자들의 정체 상황을 만든 후 피난을 실시하였고 정상인과 환자의 구성 비율을 변수로 하여 유출계수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Fig.
  • 본 연구는 장애 유형별 이동 속도 및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자의 의식 수준을 "병원 피난에 관한 연구 : Part I"에서 기술하였다. 이후 같은 연장선상에서 4개의 종합병원의 협조를 구하여 피난 실험을 함으로써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 하에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전체 피난시간을 유추함으로써 타 병원에서도 전체 피난시간도 예측 가능하도록 하였다.
  • 유출계수란 문폭이 결정되어 있을 때 단위 시간 당 이 문을 통과할 수 있는 인원수를 예측하는데 쓰이는 계수로서 피난시간 평가를 위해서는 매우 유용한 변수이다. 일반인의 경우와는 달리 환자들의 경우는 Fig. 2 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이동속도와 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의 유출계수를 구하기 위해서 병원측과 환자의 협조를 얻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 병원의 6개 비상 탈출구에서 환자들의 정체 상황을 만든 후 피난을 실시하였고 정상인과 환자의 구성 비율을 변수로 하여 유출계수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 (4) 가장 일반적인자형 복도의 구조를 갖는 C, D병원의 경우 각각 이동거리, 37.5 m, 46이로 피난로를 설정하여 대피실험을 하였다. 전체 피난시간 유추 시 병목현상은 기대되지 않았지만 두 병원 모두 100초 이상의 피난시간이 소요된다(C병원: 111.
  • 다음 부분은 방탈출 후 비상계단으로 통하는 출구까지의 이동시간을 측정한다. 51병동도 같은 수순으로 실험하였다. 총 참여인원은 각 병동별로 32명 이었다.
  • 병실문 통과시간은 화재 인지 후 해당 병실문을 나서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화재 인지 후 행동을 시작하기까지의 반응시간(response tin0과 방문까지의 이동시간을 더한 값이다. 본 실험에서는 전체 35개의 입원실에서 병실문 통과를 측정하였다. Table 1은 한 병동에서의 개인별 통과시간의 기록 예이다.
  • 지상 11층의 서 병동에서 피난을 실시하였다. Fig.
  • 지상 4층에 내과 구강외과로 구성된 43병동에서 피난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
  • 지상 8층에 소화기 내과로 구성된 81병동에서 피난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
  • 51병동도 같은 수순으로 실험하였다. 총 참여인원은 각 병동별로 32명 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長田泰公,건축환경 심리,도서출판 국제, p.154(1992) 

  2.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Chap. 3-12 

  3. 윤승진, '재실자의 피난형태 모델링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산업안전공학과 석사논문(1999. 2) 

  4. Bryan, J. L., 'Human Behavior in Fire the Development and maturity of a Scholarly Study Area', Human Behavior in Fire (1998) 

  5. 이수경, 정용기, 고한목, '최신 건축방화', p200, 도서출판 義?(1998) 

  6.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Committee 8A, 'Fire Safety in Tall Building', McGraw-Hill Inc.(1992) 

  7. 'Simulex User Manual', p. 39, Intergrated Environmental Solutions Ltd.(2001) 

  8. 김응식 , 백상현, '대피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pp. 33-38, 99 한국산업안전학회 춘계학술 논문 발표회 논문집(1999. 6) 

  9. Peter Thompson, 'Modelling Evacuation in Multistory Buildings with Simulex', Fire Engineering Journal(1996. 11) 

  10. 호서대학교.보건복지부, 대피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유치원 및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