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의 프로세스 Context 추출을 위한 디지털 이미지 정보체계 구축
An Information Framework for the Derivation of Process Context from Construction Site Digital Images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6 no.2 = no.24, 2005년, pp.80 - 91  

윤수원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진상윤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현장에서 수집되는 사진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관리체계 미흡으로 촬영자의 의도나 사진의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하여 거대한 디지털 이미지 파일 pool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 숨어있는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제대로 도출하기 어렵고 재활용도가 떨어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집된 현장 사진들로부터 현장 프로세스에 대한 기술, 지식, 교훈 등의 context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체계 구축을 위해 육하원칙, 즉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라는 원칙에서 일련의 사진들이 가지는 여러 가지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관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속성을 도출하고 정보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속성도출 및 정보모델 개발 과정과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사진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논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construction site photos contain important as_built information, technique and knowledge, there has been lack of frameworks to store and manage construction site photo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 problems in site photo management are getting increasingly serious, as digital cameras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축적 . 관리함으로써 현장 프로세스에 대한 기술, 지식, 교훈 등의 context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관리 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진 관리에 관한 문헌 고찰 및 국내. 외의 사진 촬영 현황을 분석하고, 사진 관리를 위한 속성을 도출 하였으며, 이를 육하원칙 관점에서 현장 사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속성을 도출하고 건설 현장 사진 관리를 위한 정보모델을 제안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분류체계를 사진의 촬영 목적 및 사용 목적으로 정의하고, 이들 분류체계를 반영할 수 있는 모델을 고려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집된 현장 사진들로부터 현장 프로세스에 대한 기술, 지식, 교훈 등의 context를 추출하기 위하여, who, when, where, what, why, how (5W1H)라는 육하원칙에서 일련의 사진들이 가지는 현장 및 기술적 상황, 시공 프로세스의 전후관계와 그 밖의 사진 속에 포함된 여러 가지 상황 정보를 추출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는 속성과 정보체계를 제안하고, 이에 따른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현장 사진 관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현장 사진이 담고 있는 정보를 가장 포괄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사진의 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체계를 제안하기 위하여 그림 1과 같은 절차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와 현장 사진 관리 업무 분석을 통하여 현장 사진의 특성을 파악하고, 육하원칙에 의하여 현장 사진의 속성을 분석한 다음,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객체지향 방법론을 이용하여 현장 사진 정보관리체계를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수집된 디지털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축적 . 관리함으로써 현장 프로세스에 대한 기술, 지식, 교훈 등의 context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관리 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진 관리에 관한 문헌 고찰 및 국내.
  • 본 연구에서는 사진 관리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존의 사진 관리에 관한 연구 및 현장사진관리 시스템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건설현장의 프로세스 context 도출을 위한 정보체계를 수립하고자 국내 . 외의 사진관리 관련 연구 및 기준을 중심으로 기본적 인 사진 속성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분석한 사진의 속성을 중심으로 현장 사진을 육하원칙에 기반을 두어 분석하고 건설현장에서 수집되는 현장 사진 속성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건설 현장 사진관리 정보체계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육하원칙에 의해 도출된 건설 사진 정보 모델을 검증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건설 현장 이미지 관리 시스템 I (Construction Image Management System H, 이하 CIMS U)를 개발하였다. 비록 모델 자체는 사진을 중심으로 한 관련 정보 연계와 PMIS에서 정보관리 내에서 관련 사진 정보연계라는 두 가지 방향성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자인 사진 관리를 중심으로 한 관련 정보 연계에 초점을 두고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 개발과정에서는 현장 실무자와 인터뷰를 통해 현장 사진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 관점에서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시스템 개발에 반영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육하원칙에 의해 현장 상황에 대한 프로세스와 배경, 이유 등을 구체적으로 담을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함으로써 비정형화된 정보 중의 하나인 현장 사진 관리를 위한 필요정보 속성을 도출하고, 정보체계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모델에서 표현된 IfcRoot와의 관계는 generic level에서 그 개념을 나타낼 뿐이며, 이를 실제 시스템 상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축되는 시스템에서 최상위 class를 지정하고 그 class가 Constructionimage와 연관 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사진 관리체계 개발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실행은 본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특이사항에 대한 기술과 사진용도에 대한 분류를 통해 why에 관련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사용 목적 등)로 분류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일련의 사진들이 여러 가지 관련 정보와 연계되어 있을 때, 현장 및 기술적 상황, 시공 프로세스의 전후 관계 등 한 장씩 낱개 단위의 현장 사진이 가지고 있던 단순한 정보 이상의 유용한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육하원칙을 기반으로 사진 관리를 위한 관련 정보를 도출하고 사진 관리 정보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설교통부,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적용기준', 건설교통부장관 공고 2001-230호, 2001년 8월 27일 (관보 제14886호) 

  2. 류광 역, 'Professional ADO 2.5 RDS Programming with ASP3.0', 정보문화사, 2000년 7월 

  3. 박민호 역, 'Microsoft SQL Server 2000 Programming', 정보문화사, 2001년 3월 

  4. 일본CALS협회, http://www.offer.ne.jp/cals/index.html (2003년 4월) 

  5. BUREAU OF ENGINEERING, B. O. E. Master Specification section 01322, 2001.01.07 http://eng.lacity.org/techdocs/boe_master_specs/div01g r/GR_Section_01322.pdf, (2003년 5월) 

  6. 윤수원, 진상윤, 김예상, '건설현장사진의 프로세스 Context 추출을 위한 정보체계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 회 논문집, 제 23권 제 1호, 2003년 4월 

  7. 정동원 역, 'Professional Active Server Page 3.0', 정보문 화사, 2000년 6월 

  8. 진상윤, 김재준, Liu, L.Y., '정보화 기술을 이용한 멀티미디 어 건설현장 정보관리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 권 4호, 1999년 4월호 

  9. 진상윤, 신태홍, 신동우, '건설현장지식 수집을 위한 인터넷 기반의 이미지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2권, 2001년 

  10. 최현호 역, 'Professional ASP Data Access', 정보문화사, 2001년 4월 

  11. Jorge Abeid and David Ariditi, 'Linked Time-Lapse Digital Photography and Dynamic Scheduling of Construction Operation',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October 2002 

  12. Fowler, M., and Scott, K. 'UNL Distilled', Addison Wesley Longman, Inc. 1997년 

  13. J. Reinhardt, B. Akinci, J. H. Garrett Jr. 'Navigational Models for Computer Supported Project Management Tasks on Construction Sites,' ASCE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ol. 18, No. 4, pp. 281-290 Oct. 2004 

  14. Stumpf, A., Liu. L.Y., Kim, C.S., Chin, S. 'Delivery and Test of the Digital Hardhat System at U.S. Army Corps of Engineers Fort Worth District Office',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nstruction Engineering Research Laboratories, USACERL ADP Report 99/16, December 1998 

  15. IAI, International Alliances for Interoperability, http://www.iai-international.org (2002년 8월) 

  16. RIBA, 'Uniclass: Unified Classificatio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