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광동굴 주변 관광자원의 유형별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on Surrounding Open Caves 원문보기

洞窟 : 한국동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peleological society, no.67 = no.67, 2005년, pp.53 - 63  

홍충렬 (경민대학 중국유학반) ,  김원진 (건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동굴은 오랜기간 동안 생성된 귀중한 문화유산이며 관광자원이다. 우리나라에는 많은 석회동굴용암동굴이 분포하고 있다. 그중 천연기념물과 지방기념물로 각각 21개가 지정되어 있고 관광동굴로 개발된것이 12개이다. 본 연구 결과 기념물로 지정된 동굴은 강원도와 제주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관광동굴은 강원도와 충청북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12개 관광동굴을 대상으로 각 동굴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관광자원과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자연적 관광자원과의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동굴의 효과적인 관광자원화를 위해서는 주변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고려한 관광루트 및 관광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to present the activation of cave tourism. So first of all for establishing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caves and monument ca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nument caves concentrate upon Gangwon-do and Je...

주제어

참고문헌 (19)

  1. 김병문, 2004, 관광지리학, 백산출판사 

  2. 김선희, 2003, '강원 남부지역의 관광구조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8(2), 257-274 

  3. 김재관, 1989, 영남권의 관광지역구조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홍운, 1989, 관광지리학, 일신사 

  5. 유영준, 1998, '울진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 한국 동굴학회지, 53,15 - 24 

  6. 홍시환, 1990, 한국동굴대관, 삼주출판사 

  7. 홍충렬.김원진, 2001, '관광동굴에 대한 이미지 및 행태 특성', 호텔관광연구, 7, 135-153 

  8. 홍현철.김일봉.유영준, 1993, '고수동굴의 관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3, 44- 59 

  9. 황창윤, 1992, 한국관광지의 구조적 특성과 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 학위논문 

  10. Baxter, M., 1981, 'Models of recreational trip distribution', Regional Studies, 15, 327-344 

  11. 鶴田英一, 1994, '觀光地理學の現狀と課題-日本と 英語?の?究の止揚に向けて', 人文地理, 46(1),66-84 

  12. http://gun.yeongwol.gangwon.kr(강원도 영월군) 

  13. http://taebaekgo.kr(강원도 태백시) 

  14. http://www.bukjeju.go.kr(제주도 북제주군) 

  15. http://www.danyang.chungbuk.kr(충청북도 단양군) 

  16. http://www.jeongseon.go.kr(강원도 정선군) 

  17. http://www.knto.or.kr(한국관광공사) 

  18. http://www.samcheokgangwon.kr(강원도 삼척시) 

  19. http://www.uljin.go.kr(경상북도 울진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