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II)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II)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9 no.2, 2005년, pp.173 - 180  

김성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  김미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  이유선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  김희연 (강원도 농업기술원) ,  최해진 (강원도 농업기술원) ,  허수정 (강원도 농업기술원) ,  권순배 (강원도 농업기술원) ,  김경희 (강원도 농업기술원) ,  한상섭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임상현 (강원도 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자생식물 중 살초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38과 81종 시료로부터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에 대한 살초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81종 시료 중 높은 살초활성($GR_{50}$ 값 < 1,000 ${\mu}g\;g^{-1}$) 을 나타낸 식물은 곤드레(Cirsium setidens),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 남오미자(Kadsura japonica DUNAL), 살갈퀴(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K. KOCH),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Sieb. et ZUCC.), 암대극 (Euphorbia jolkini BOISS.), 얇은잎고광나무(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et MAXIM.), 조구나무(Sapium sebiferum), 좁은잎참빗살나무(Euonymus maackii RUPR.),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 함박꽃(Paeonia aliflora Pall var. tricocarpa BUNGE)이었다. 자생식물 81종 중 50종 식물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1,000 ${\mu}g\;g^{-1}$ < $GR_{50}$ 값 < 2,000 ${\mu}g\;g^{-1}$), 20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초활성이 검정된 국내의 자생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살초활성물질은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f Korean native plants to screen herbicidal activity which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natural herbicides. Eighty-one plants were collected from Wan and Juju islands in Korea and their methanol extracts were obtained. Heibicid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생이 다양한 남부 도서 지역-완도와 제주도에서 채집된 81종의 자생식물 시료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추출물의 살초 활성을 유채 (Brassica napus L.)종자가 치상되어 있는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 처리하여 검정한 결과 11종의 높은 살 초 활성을 갖는 식물을 탐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완도와 제주도에서 수집된 38과 81종 식물의 건조시료로부터 얻은 메탄올을 유채를 대상으로 in vifro에서 살초 활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높은 살초활성(GR50값 < 1,000 pg g-1)을나타낸 식물종은 전체 식물종의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en, W. J., C. Y. Chang and J. K. Un (2003) Induction of G1 phase arrest in MCF human breast cancer cells by pent agalloyglucose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CDK4 and CDK2 activities and up-regulation of the CDK inhibitors $p27^{Kip}$ and $p21^{Cip}$ . Biochem. Pharmacol. 65(11):1777-1785 

  2. Harborne, J. B. (1993) Bio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higher plants. pp.243-263. In Introduction to ecological biochemistry. Academic Press 

  3. Liang, W. S. (2001) The two ${\beta}$ -cyanoalanine synthase isozymes of tobacco showed different antioxidative abilities. Plant Sci. 161(6):1171-1177 

  4. Mertens-Talcott, S. U. and S. S. Percival (2005)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teract synergistically with resveratrol in the induction of apoptisis and cause transient cell cycle arrest in human leukemia cells. Cancer Letters 218(2):141-151 

  5. Mitchell G., D. W. Bartlett, T. E. M. Fraser, T. R. Hawkes, D. C. Holt, J. K. Townson and R. A. Wichert (2001) Mesotrione: a new selective herbicide for use in maize. Pest. Manag. Sci. 57:120-128 

  6. Okubo, T., F. Nagai, K. Ushiyama, T. Seto, K. Satoh and I. Kano (1997) The inhibitory effects of moutan cortex and paeoniae radix on oxidative DNA damage by t-butylhydroquinone, phenolic antioxidant. Mutalation Reasearch/Fundament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Mutagenesis 379(1):S178 

  7. Sansei, N., H. Adlercreutz. S. Shunichi and R. Haruki (2003) Leaf Forsythia, its extract and its use. Japanese Patent 2001-253043 

  8. Soutetsu, C. (2001) Antivi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prophylaxis and therapy for viral infectious disease using the same pharmaceutical preparation. Japanese Patent 11217559 

  9. Yamada K., Y. Shizuri and Y. Hirata (1978) Isolation and structures of a new alkaloid alatamine and an insecticidal alkaloid wilfordine from euonymus alatus forma striatus (thunb.) makino. Tetrahedron 34(13): 1915-1920 

  10. 강일준, 함승시, 정차권, 이상영, 오덕환, 회근표, 도재준 (1997) 고려엉겅퀴 및 컴프리를 이용한 양조간장의 개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6):1152-1158 

  11. 김미성, 이유선, D. B. Khoa, 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a)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I). 농약과학회지 8(3):220-230 

  12. 김윤근, 조종수, 문창국 (1998)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정유의 항균활성과 성분분석. 농업연구소보 32:7-14 

  13. 김윤근, 조종수, 문창국 (1999) 구상나무 리그난류의 항균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1):260-262 

  14. 김정아, 최지영, 손애량, 박성희, 허광화, 이종구, 오인석, 김진준, 장현옥, 정시련, 장태수, 이승호 (2004b) 대극과 식물로부터 분리한 천연폴리페놀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생약학회지 35(2):157-163 

  15. 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한상섭, 김도순, 황기환, 김성문 (2003)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 한국농약과학회지 7(4):248-257 

  16. 박종의, 이정규 (2003) 상용 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598p 

  17. 손정수 (2004) 친환경유기농업 영농활용 매뉴얼. 농촌진흥청. p.29-140 

  18. 육창수 91989)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65p 

  19. 이경모 (2003) 친환경농업 생산현황과 발전방향. pp.69-96. In 환경농업총람. 농경과원예 

  20. 이우철 (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p 

  21. 이우철 91996b)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2383p 

  22. 이유선, 김미성,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국내 자생 살초활성물질의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24(2):103-113 

  23. 임록재 (1999) 조선약용식물지I. 한국문화사. p.281 

  24. 조무연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서적. p.498 

  25. 한완수 (2003) 산국의 자유라디칼 소거 물질 분리 및 동정.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