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화 및 장군 연-아연 광상의 Pb 동위원소 조성 및 Pb의 근원: 선캠브리아 기저 지각 및 중생대 화성암의 역할
Pb Isotopic Composition of Yeonhwa and Janggun Pb-Zn Ore Deposits and Origin of Pb: Role of Precambrian Crustal Basement and Mesozoic Igneous Rocks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4 no.3 = no.41, 2005년, pp.141 - 148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장호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화, 장군 및 울진 Pb-Zn 광상에서 산출되는 납의 근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방연석황철석 등의 황화광물과 주변의 석회암, 관입암 및 기반암 등에 대해 납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206}Pb/^{204}Pb-^{207}Pb/^{204}Pb$ 그림에서 연화광산의 방연석들은 비교적 잘 정의되는 정(+)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 배열을 보이며, 한반도 선캠브리아 기저지각과 유사한 변화를 보인다. 울진광산의 방연석, 장군석회암 및 주변의 기저암체 역시 연화광산의 변화경향을 따른다. 그러나 연화광산에 비해 $^{206}Pb/^{204}Pb$값이 낮은 장군광산의 광석광물들은 연화광산의 변화경향으로부터 $^{207}Pb/^{204}Pb$ 값이 낮은 쪽으로 벗어난다. 경상분지 내에서 산출되는 중생대 화성암 및 광상들이 한반도의 기저암체들에 비해 훨씬 낮은 $^{207}Pb/^{204}Pb$ 값을 가지는 것을 참조할 때, 장군광산의 광석광물들이 보이는 변화는 기저암체의 오래된 지각물질로부터 용출된 납과 중생대 화성암들이 갖고 있던 보다 맨틀성분이 많이 포함된 납의 혼합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선캠브리아 기저지각의 변화경향을 비교적 잘 따르는 연화광산과 울진광산의 광석들에 포함된 납은 대부분 오래된 기저암체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이나, 기저암체의 변화구역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고려할 때 중성대 화성암 기원의 납이 일정비율로 포함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d isotopic compositions are analyzed from the sulfide minerals of the Yeonhwa, Janggun and Uljin deposits and from host limestone, intrusives, and basement rocks to reveal the source of Pb in these deposits. In the $^{206}Pb/^{204}Pb$ vs $^{207}Pb/^{204}Pb$ plot, Galenas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주로 태백지역의 연화광산 및 장군광 산을 대상으로 이들 광상을 구성하는 주성분의 하나인 Pb가 어디서 유래되었는지 그 근원에 대하여 토의하고자 한다. 연화 및 장군광산을 선택한 이유는 우선 이 광상들이 다른 광상들에 비하여 연구가 많이 되어 있으 며(예; 황인전, 1968; 한갑수, 1969; Yun, 1979; 이현구 외, 1990), 납 자체가 주 연구대상이 될 수 있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납광상이라는 점이다.
  • 따라서 연화와 장군 광산들의 Pb도 중생대 화성암으로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연구에서는 중생대의 화성암들에 포함된 납의 동위원소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입시기가 백악기로 밝혀진 원동연- 아연 광산의 석 영반암과 신예미 연-아연 광산의 석 영반암과 화강암에 대하여도 납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하 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권성택, 이진한, 박계헌, 전은영, 1995, 단양 천동리 지역 옥천대/영남육괴의 접촉관계와 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의 pb-pb 연대. 암석학회지, 4, 144-152 

  2. 김정환, 정창식, 손영철, 고희재, 1997, 평창지역의 지질과 선캠브리아 화강암질암의 스트론튬, 니오디미움 및 납 동위원소 조성. 지질학회지, 33, 27-35 

  3. 박계헌, 1996, 무주지역 대리암의 pb-pb 연대. 암석학회지, 5, 84-88 

  4. 박계헌, 김동연, 송영선, 2001, 지리산 지역 차노카이트와 함티탄철석 회장암질암의 Sm-Nd 광물연대 및 성인적 관계. 암석학회지, 2001 

  5. 박계헌, 정창식, 이광식, 장호완, 1993, 태백산지역의 고기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류에 대한 납 동위원소 연구. 지질학회지, 29, 387-395 

  6. 박희인, 장호완, 진명식, 1998, 태백산지역내 광사의 생성연령. 광산지질, 21, 57-67 

  7. 이현구, 고석진, N. Imai, 1990, 장군광산의 연, 아연, 은 및 철광상의 성인과 지질구조와의 관계 광상 생성의 지질구조 규제와 모암의 변질. 광산지질, 23, 161-181 

  8. 정창식, 권성택, 김정민, 장병욱, 1998,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지역과 서남 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3기 화강암류와의 비교 고찰. 암석학회지, 7, 77-97 

  9. 정창식, 길영우, 김정민, 정연중, 임창복, 2004, 영남육괴 북동부 죽변 지역 선캠브리아 기반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40, 481-499 

  10. 한갑수, 1969, 연화광산의 지질광상. 광산지질, 2, 81-90 

  11. 황인전, 1968, 삼한장군광산조사보문. 광산지질, 1, 934 

  12. Andersen, T. and Grorud, H.-F., 1998, Age and lead isotope systematics of uranium-enriched cobalt mineralization in the Modum complex, South Norway implications for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in the SW part of the Baltic Shield. Precam. Res., 91, 419-432 

  13. Chang, B.U., 1997, A study o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s of ore deposits and igneous rocks in the Gyeongsang Basin, Southeast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00 p 

  14. Chang, B.U., Chang, H.W. and Cheong, C.S., 1995, Lead isotope study on lead-zinc ore deposits in the east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Gyeongsang Basin. Econ. Environ. Geol., 28, 19-24 

  15. Chang, H.W., Turek, A. and Kim, C.-B., 2003,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Sm-Nd-Pb isotopic constraints for Precambrian pluton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 J., 37, 471-491 

  16. Chang, H.W., Cheong, C.S., Park, H.I. and Chang, B.U., 1995, Lead isotopic study on the Dongnam Fe-Mo starn deposit. Econ. Environ. Geol., 28, 25-31 

  17. Cheong, C.-S., Kwon, S.-T. and Park, K.-H., 2000, Pb and Nd isotopic constraints on Paleoproterozoic crustal evolution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uth Korea. Precam. Res., 102, 207-220 

  18. Cheong, C.-S., Kwon, S.-T. and Sagon, H., 2002, Geochemical and Sr-Nd-Pb isotopic investigation of Triassic granitoids and basement rocks in the northern G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the young basement in the East Asian continental margin. The Island Arc, 11, 25-44 

  19. Doe, B. R. and Stacey, J. S., 1974, The application of lead isotopes to the problems of ore genesis and ore prospect evaluation: A review. Econ. Geol., 69, 757-776 

  20. Doe, B. R. and Zartman, Z. E., 1979, Plumbotectonics, The Phanerozonic, in Barnes, H. L., ed.,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ore deposits. John Wiley, New York, 22-70 

  21. Frei, R., Nagler, Th.F., Schonberg, R. and Kramers, J.D., 1998, Re-Os, Sm-Nd, U-Pb, and stepwise lead leaching isotope systematics in shear-zone hosted gold mineralization: genetic tracing and age constraints of crustal hydrothermal activity. Geochim. Cosmochim. Acta, 62, 1925-1936 

  22. Gokce, A. and Bozkaya, G., 2005, Lead and sulfur isotope evidence for the origin of Inler Yaylasi lead-zinc deposits, Northern Turkey. J. Asian Earth Sci., in press 

  23. Gulson, B. L., 1986, Lead isotopes in mineral exploation. Elsevier. New York, 245p 

  24. Kim, J. and Cho, M., 2003, Low-pressure metamorphism and leucogranite magmatism,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implication for Paleoproterozoic crustal evolution. Precam. Res., 122, 235-251 

  25. Mabuchi, H., 1985,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Japan, No. 58540375-59549377, 19p (in Japanese) 

  26. Nie, F.-J., Jiang, S.-H., Su, X.-X. and Wang, X.-L., 2002, Geological features and origin of gold deposits occurring in the Baotou-Bayan Obo district, south-central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Ore Geology Reviews, 20, 139-169 

  27. Remus, M.V.D., Hartmann, L.A., McNaughton, N.J., Groves, D.I. and Fletcher, I.R., 2000, The link between hydrothermal epigenetic copper mineralization and the Cacapava Granite of the Brasiliano Cycle in southern Brazil. Jour. South American Earth Sci., 13, 191-216 

  28. Rubinstein, N.A., Ostera, H.A., Mallimacci, H. and Carpio, F., 2004, Lead isotopes from Gondwana polymetallic ore vein deposits, San Rafael Massif, Argentina. J. South American Earth Sci., 16, 579-586 

  29. Sagong, H. and Kwon, S.-T., 1998, Pb-Pb age and uplift history of the Busan gneiss comples in the Okcheon Belt, Korea: a comparison with the Bagdalryeong gneiss comples in the Kyeonki Massif. Geosciences J., 2, 99-106 

  30. Sagong, H., Cheong, C.-S. and Kwon, S.-T., 2003, Paleoproterozoic orogeny in South Korea: evidence from Sm- Nd and Pb step-leaching garnet ages of Precambrian basement rocks. Precam. Res., 122, 275-295 

  31. Sasaki, A., 1987, Isotope systematics of ore lead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Mininig Geology, 37, 223-226 (in Japanese) 

  32. So, C.-S., S.-T. Yun, S.-G. Choi, Y.-K. Koj and S.-J. Chi, 1991, Cretaceous epithermal Au-Ag mineralization in the Muju-Yeongam District(Jeonju minefalized area), Republic of Korea: galena-lead and stable isotope studies. J. Geol. Soc. Korea, 27, 569-586 

  33. Tilton, G. R., 1983, Evolution of depleted mantle: the lead perspestive. Geochim. Cosmochim. Acta, 47, 1191-1197 

  34. Turek, A. and Kim, C.-B.,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r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s, Korea. Geochem. J., 30, 231-249 

  35. Yun, S., 1979, Geology and skarn ore mineralization of the Yeonwha-Ulchin zinc- lead minining district, southeastern Taebaegsan region, Korea. Ph.D. thesis, Stanford University, 306p 

  36. Zartman, R. E and Haines, S.M., 1988, The plumbotectonic model for Pb isotopic systemics among major terrestrial reserial reservoirs- a case for bi-directional transport. Geochim. Cosmochim. Acta, 1327-1339 

  37. Zhang, L., Shen, Y. and Ji, J., 2003,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Kanggur gold deposit in the eastern Tianshan mountains, NW China: evidence from geology, isotope distribution and chronology. Ore Geology Reviews, 23, 71-90 

  38. Zindler, A. and Hart, S.R., 1986, Chemical geodynamics. Ann. Rev. Earth Planet. Sci., 14, 493-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