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약의 폭속이 발파에 미치는 영향 검토
The Influence of the Detonation Velocity of Explosive in Blasting 원문보기

화약·발파 = Explosives & blasting, v.23 no.3, 2005년, pp.43 - 56  

이승찬 (㈜한화 인천공장)

초록

폭속은 화약에서 폭굉의 전파속도이다. 화약의 폭굉 속도는 발파 환경이나 시험 조건 하에서 제품의 성능과 관련된 주요한 변수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발파현장이나 시험장에서 가장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화약의 특성치이며 또한 정확한 수치로 측정 할 수 있어 품질 평가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발파에 있어서 폭속과의 관련성을 논의 및 분석한다. 발파 기술자에게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도록 폭속과 발파 공정 관의 관련성을 정밀히 검토해보았다. 그러나 폭속과 폭약의 품질, 효율성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foliation velocity is tile rate of propagation of a detonation in an explosive. An explosive's velocity of defoliation(VOD) can be used to indicate a number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product's performance under specific field and test conditions. Also, it is useful quality mon...

주제어

참고문헌 (14)

  1. (주) 한화, 2005, 화약과 기술의 신개념 메가멕스 제품설명서 

  2. Lownds, C. M., 1992, The Relevancy of Detonation in Blasting, The Second Annual Bulk Mining Explosives South Africa Surface Mining Seminar, pp. 6-11 

  3. Udy, L. L. and C. M. Lownds, 1990, The Partition of Energy in Blasting with Non-ideal Explosives, Thi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ck Fragmentation by Blasting, pp. 37 

  4. Harries, 1983, The Modelling of Long Cylindrical Charges of Explosives, pp. 419 

  5. Austin powder, 2000, Emulex 제품설명서 

  6. Leiper, G. A., 1987, Describing Explosives in Blast Models,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ck Fragmentation by Blasting, pp. 462 

  7. Tidman, P. J. and J. R. T. Grant, 1987, An Experimental Study of Explosively Induced Stresses Close to The Borehole Wall,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ck Fragmentation by Blasting, pp. 61 

  8. McHugh, S. L., 1983, Computational Simulations of Dynamically Induced Fracture and Fragmentation,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ck Fragmentation by Blasting, pp. 407 

  9. Winzer, S. R., D. A. Anderson and A. P. Ritter, 1983, Rock Fragmentation by Explosives, pp. 225 

  10. Bergman, O. R., 1983, Effect of Explosive Properties Rock Type and Delays on Fragmentation in Large Model Blasts, pp. 301 

  11. Chiapetta, F. R. and D. G. Borg, 1993, Increasing Productivity through Field Control and High Speed Photography, pp. 71 

  12. Cameron, A. and P. Grouhel, 1990,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Bulk Commercial Explosives on Blast Performance, Thi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ck Fragmentation by Blasting, pp. 335 

  13. (주) 한화, 2000, 함수폭약 장기저장성능 보고서 

  14. Kristiansen, J., K. Kure, Vestre and J. Bergqvist, 1990, An Investigation of Heave and Fragmentation Related to Explosives Properties, pp. 83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