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귀밑샘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0년부터 2002년까지 130명의 귀밑샘 악성 종양 환자가 서울대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었고 이 중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72명의 환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는 42명, 여자는 30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46.5세였다. 점액표피양암종이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이었다. 병기에 따라서는 I, I, III, IV 병기에 각각 6, 23, 23, 20명이 해당되었다. 수술 부위의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60 Gy였고, 일회 조사량의 중앙값은 1.8 Gy였다. 결과: 5년 전체 생존율 및 10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85\%$$76\%$였다. 5년 국소제어율은 $76\%$였고 6년이 지나면서 변화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을 하였을 때, 성별,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나이, 안면신경마비증상, 병기(T 병기, N병기, 병기)는 생존율과 관련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국소제어율의 경우,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 침범여부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조직학적 유형, 종양의 크기, 신경침윤여부 및 수술의 종류는 국소제어율의 예후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귀밑샘 악성종양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우수한 성적을 확인하였다. 성별 및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에 대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고,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의 침윤이 있는 경우 국소제어율이 불량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parotid gland malignancy, and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for locoregional control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0 and 2002, 130 patients with parotid malignancy were registered 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inical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newly diagnosed parotid gland malignancies, and to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for lo­ coregional control and surviv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impson JR. Salivary glands. In : Perez PA, Brady LW,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Co. 2004:976-977 

  2. Armstrong JG, Harrison LB, Thaler HT, et al. The indications for elective treatment of the neck in cancer of the major salivary glands. Cancer 1992;69:615-619 

  3. Tu GY, Hu YH, Jiang PJ, et al. The superiority of combined therapy (surgery and postoperative irradiation) in parotid cancer. Arch Otolaryngol 1982;108:710-713 

  4. Kim WD, Park CI, Kim KH. Radiation 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J Korean Soc Ther Radiol 1994;12:43-49 

  5. Garden AS, EL-Naggar AK, Morrison WH, et al.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7;37:79-85 

  6. Hosokawa Y, Shirato H, Kagei K, et al. Role of radiotherapy for mucoepidermoid carcinoma of salivary gland. Oral oncology 1999;35:105-111 

  7. Terhaard CHJ, Lubsen H, Eijkenboom WMH, et al. Salivary gland carcinoma: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locoregional control, distant metastases, and survival: results of the Dutch head and neck oncology cooperative group. Head Neck 2004;26:681-693 

  8. Frankenthaler RA, Luna MA, Lee SS, et al. Prognostic variables in parotid gland cancer.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17:1251-1256 

  9. Armstrong JG, Harrison LB, Spiro RH, et al. Observations on the natural history and treatment of recurrent major salivary gland cancer. J Surg Oncol 1990;44:138-141 

  10. Poulsen MG, Tripcony LB, Kynaston B. Nodal recurrence in primary malignant epithelial tumours of the parotid gland. Australas Radio 1991;35:169-173 

  11. Terhaard CHJ, Lubsen H, Rasch CRN, et al.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parotid gland tumor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5;61:103-111 

  12. Spiro RH, Huvos AG. Stage means more than grade in adenoid cystic carcinoma. Am J Surg 1992;164:623-628 

  13. Kelly DJ, Spiro RH. Management of the neck in parotid carcinoma. Am J Surg 1996;172:695-697 

  14. Korkmaz H, Yoo GH, Du W, et al. Predictors of nodal metastasis in salivary gland cancer. J Surg Oncol 2002;80: 186-189 

  15. AJCC cancer staging manual. 6th ed. Greene FL. Page DL. Fleming ID, et al. Chicago; 2002:69-7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