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라켓 부착 시 실런트 레진이 법랑질 탈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sealant resin on enamel demineralization in orthodontic bracket bonding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5 no.1 = no.108, 2005년, pp.43 - 50  

윤영아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조진형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이기헌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정용 브라켓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 중 two paste type의 실런트 레진 적용이 법랑질 탈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된 소의 상악절치 48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법랑질 처리 방법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Phase II (Reliance, Itasca III)를 이용하여 치면처리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Group 1.37% 인산으로 30초간 산부식을 시행한 Group 2, 산부식 후 실런트 A와 B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도포한 Group 3과 산부식 후 실런트를 도포하고 레진 페이스트 A와 B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도포한 Group 4로 분류하여 각 군을 인공탈회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각각의 탈회된 깊이를 측정한 후 비교한 결과, 탈회된 법랑질의 평균 깊이$47.4{\mu}m$ (Group 1). $61.8{\mu}m$ (Group 2). $13.9{\mu}M$(Group 3) $8.2{\mu}n$ (Group 4) 로 나타났다. 산부식 후 인공탈회용액에 노출되는 군 (Group 2) 은 산부식 없이 노출도는 군 (Group 1) 센 비해 탈회된 깊이가 더 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실런트 레진을 도포한 군 (Group 3: 은 산부식 없이 노출되는 군 (Group 1)이나 산부식 후 노출되는 군 (Group 2) 에 비해 탈회된 법랑질 깊이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접착레진으로 부착된 군 (Group 4)은 법랑질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실런트 레진의 도포가 유용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ealant resin on enamel demineralization In orthodontic bracket bonding. The forty eight extracted sound bovine teeth were subdivided into four groups and treated with Phase II (Reliance, itasca. III) on the surface Group 1 was not tre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교정용 접착제 중 실런트가 포함된 two-paste type의 교정 용 접 착제 내에 포함되어있는 실런트의 적용이 법랑질 탈회방지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치면처리 후 인공 탈회를 발생시켜 법랑질 탈회정도를 비교 평가해 봄으로써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브라켓 부착 시 실런트 레진의 도포가 법 랑질 탈회방지 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정 용 접착제 중 실 런트 레진을 포함한 twopaste type인 Phase U®를 이용하여 치면처리 후 법랑질 탈회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Newman GV. Epoxy adhesives for orthodontic attachments: Progress report. Am J Orthod 1965;51:901-12 

  2. Reynolds IR. A review of direct orthodontic bonding. Br J Orthod 1976;2:171-8 

  3. Gorelick L, Geiger AM, Gwinnett AJ. Incidence of white spot formation after bonding and banding. Am J Orthod 1982;81:93-8 

  4. Diedrich P. Enamel alterations from bracket bonding and debonding: A study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m J Orthod 1981;79:500-22 

  5. Gibbin FE. Control of cari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nt J Orthod 1937;23:1205-11 

  6. Bloom RH, Brown LR Jr. A study of the effect of orthodontic appliances on the oral microbial flor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4;17:658-67 

  7. Gwinnett AJ, Ceen RF. Plaque distribution on bonded brackets: A scanning microscope study. Am J Orthod 1979;75:667-77 

  8. Buonocore MG. A simple method of increasing the adhesion of acrylic filling materials to enamel surfaces. J Dent Res 1955;34:849-53 

  9. Gwinnett AJ. State of the art and science of bonding in orthodontic treatment. JADA 1982;105:844-50 

  10. Luescher B, Lutz F, Ochsenbein H. Microleakage and marginal adaptation in conventional and adhesive Class II restcirartans. J Prosthet Dent 1977;37:300-9 

  11. Wang WN, Trang TH. Evaluation of the sealant in orthodontic bond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1;100:209-11 

  12. Shannon IL. Prevention of decalcification in orthodontic patients. J Clin Orthod 1981;15:694-705 

  13. Ten Cate JM, Duijsters PP. Influence of fluoride solution on tooth demineralization. I Chemical data. Caries Res 1983;17:193-9 

  14. Geiger AM, Gorelick L, Gwinnett AJ, Benson BJ. Reducing white spot lesions in orthodontic populations with fluoride rins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2;101:403-7 

  15. 손한신, 이동주. Bracket 부착에 의한 법랑질 표면의 탈회 및 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5;25:165-74 

  16. Frazier MC, Southard TE, Doster PM. Prevention of enamel demineralizat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n in vitro study using pit and fissure seala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110:459-65 

  17. Newbrun E, Timberlake P, Pigman W. Changes in microhardness of enamel following treatment with lactate buffer. J Dent Res 1959;38:293-300 

  18. Glimcher MJ, Mechanic G, Bonar LC, Dannel EJ.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organic matrix of decalcified fetal bovine dental enamel. J Bio Chem 1961;236:3210-3 

  19. 홍석진, 박기철, Stookey GK. 미생물의 작용을 이용한 법랑질 우식 및 재광화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6;20:431-40 

  20. 홍석진, 박기철, Stookey GK. 인공우식 법랑질에 대한 불소함유치약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6;20:1-10 

  21. Gonzalez-Cabezas C, Fontana M, Dunipace AJ, Li Y, Fischer GM, Proskin HM, Stookey GK. Measurement of enamel remineralization using microradiography and confocal microscopy. Caries Res 1998;32:385-92 

  22. Gomez SS, Stookey GK, Schemehorn BR, Wood GD. Estudio in vitro en caries incipiente sobre biodisponibilidad de Fluor de cuatro dentifrieas diferentes. Odont Chilena 1991;39:73-7 

  23. Pioch T, Stotz S, Staehle HJ, Duschner H. Applications of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o dental bonding. Adv Dent Res 1997;11:453-61 

  24. Todd MA, Staley RN, Kanellis MJ, Donly KJ, Wefel JS. Effect of a fluoride varnish on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orthodontic bracke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159-67 

  25. Zachrisson BU. Cause and prevention of injuries to teeth and supporting structur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m J Orthod 1976;69:285-300 

  26. Mattingly JA, Sauer GJ, Yancey JM, Arnold RR. Enhancement of streptococcus mutans colonization by direct bonded orthodontic appliances. J Dent Res 1983;62:1209-11 

  27. Zachrisson BU. A posttreatment evaluation of direct bonding in orthodontics. Am J Orthod 1977;71:173-89 

  28. Geiger AM, Gorelick L, Gwinnett AJ. Bond failure rates of facial and lingual attachments. J Clin Orthod 1983;17:165-9 

  29. Ogaard B. Prevalence of white spot lesions in 19-year-olds: A study on untreated and orthodontically treated persons 5 years after treat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6:423-7 

  30. Valk P. Enamel damage resulting from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Excelsior Haarlem 1987;90:256-63 

  31. Ogaard B, Rolla G, Arends J, Ten Cate JM. Orthodontic appliances and enamel demineralization. Part 2.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esio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4:123-8 

  32. Hicks MJ, Silverstone LM. Acid-etching of caries-like lesions of enamel: A polarized light microscopic study. Caries Res 1984;18:315-26 

  33. Hicks MJ, Silverstone LM. Acid-etching of caries-like lesions of enamel: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Caries Res 1984;18:327-35 

  34. 김철위. 치아 경조직의 미세 경도에 관한 연구. 대치협회지 1975;13(1):17-32 

  35. Watson TF. Applications of confocal scanning optical microscopy to dentistry. Br Dent J 1991;9:287-91 

  36. Duschner H, Gotz H, Qgaard B. Fluoride-induced precipitates on enamel surface and subsurface areas visualised by electron microscopy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EurJ Oral Sci 1997;105:466-72 

  37. Zucker RM, Price OT. Practical confocal microscopy and the evaluation of system performance. Methods 1999;18:447-58 

  38. Arends J, Schuthof J, Jongebloed WG. Microhardness indentations on artificial white spot lesions. Caries Res 1979;13:290-7 

  39. Garberoglio R, Cozzani G. In vivo effect of oral environment on etched enamel: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J Dent Res 1979;58:1859-65 

  40. Hicks MJ, Silverstone LM. The effect of acid-etching on caries-like lesions treated with stannous fluoride. J Dent Res 1983;62:783-8 

  41. Banks PA, Richmond S. Enamel selants: A clinical evaluation of their value during fixed appliance therapy. Eur J Orthod 1994;16:19-25 

  42. Christopher JW, Martin W, Alan JB. Effectiveness of a fluoride-releasing sealant in reducing decalcificat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629-34 

  43. Hicks MJ, Silverstone LM. Internal morphology of surface wnes from acid-etched caries-like lesion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J Dent Res 1985;64:1296-301 

  44. Hwang HS. Indirect bonding techniques in orthodontics. In: Hardin JF, ed. Clark's Clinical Dentistry. St Louis: Mosby; 1998. p.1-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