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안 여자만 조간대 퇴적물의 시공간적 변화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idal Flat Sediments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6 no.3, 2005년, pp.253 - 267  

최정민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이연규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우한준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반폐쇄성 만인 여자만 조간대 퇴적물의 물성 및 집적률의 시공간적 분포 및 변화를 밝히고자 조간대 표층퇴적물을 분석하였다. 연중 관측결과 각 측선별 월별 입도조성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퇴적물 조성에서 점토가 약 $40\~70\%$로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점토의 함량은 만 북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측에서 가장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점토의 함량변화에 따라 함수율과 유기물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며, 평균입도도 세립화되었다. 전단응력은 전체적으로 0kPa로 나타났으며, 계절별 변화는 각 조간대에서 거의 동일하게 겨울과 봄에는 점토함량이 높고 여름과 가을에는 낮은 함량분포를 보였으며, 겨울과 봄에 퇴적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조간대 집적률 측정결과 평균 $-14.62\~38.57mm{\cdot}yr^{-1}$로써 북측이 $32.13mm{\cdot}yr^{-1}$, 서측이 $-14.62mm{\cdot}yr^{-1}$, 그리고 동측이 $6.46mm{\cdot}yr^{-1}$로 나타났다. 연구 기간 중 퇴적물의 퇴적은 북측 조간대에서 퇴적이 일어났으며, 서측 조간대에서는 침식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측 조간대에서는 북서측 조간대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여자만 해수 흐름이 시계방향 흐름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계절별로는 건기(겨울과 봄)에 퇴적되었으며, 우기(여름과 가을)에 침식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idal flat sediments were studied in Yeoja Bay. Results of the yearly observation of tidal flat transect lines indicated that the monthly change of grain size composition was not distinct from each tidal flat transect line, but it was quite clear that clay covered ...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국립해양조사원, 2001. 2001년 조석표 (한국연안), 서지 제 510호, P 262 

  2. 류상옥, 1998. 한국 서남해안 함평만의 퇴적환경과 층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2 p 

  3. 류상옥, 2003. 한반도 서해안과 남해안의 반폐쇄된 만에서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서해안의 함평만과 남해안의 광양만. 한국지구과학회지, 24 (6), 578-591 

  4. 류상옥, 유환수, 이종덕, 1999.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2): pp. 127-135 

  5. 류상옥, 김주용, 장진호, 2001. 서해남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조간대 퇴적률. 한국지구과학회지, 22 (1): pp. 30-39 

  6. 우한준,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erach, 24 (4), 331-34 

  7. 이명철, 1983. 여자만의 해수교환, 어업기술학회지, 19 (1), 33-38 

  8. 이일상, 1986. 서산만 조간대 퇴적상 및 퇴적구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 55 

  9. 이창복, 유홍룡, 박경수, 1992, 경기만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7 (4), 277-289 

  10. 임현식, 제종길, 최진우, 이재학, 1991. 여자만에서의 여름철 저서동물의 분포, 한국해양연구소, 13 (2), 31-46 

  11. 정진호, 1995.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퇴적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2 p 

  12. 정진호, 최진용, 1998.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집적양상과 보존; 한국서해안의 곰소만.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 (3), 149-157 

  13. 정공수, 박용안, 1978. 남양만 남부 조간대 퇴적환경의 퇴적학적 특성에 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13 (1): pp. 918 

  14. 한국해양연구소, 1991 한국 서남해안 조간대의 종합조사연구(III). p. 162 

  15. 해양수산부, 1999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875 P 

  16. Alexander, C.R., Nittrouer, C.A., DeMaster, D.J., Park, Y.A. and Park, S.C., 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 Korea coast: a modda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61. pp.805-824 

  17. Christie M.C. and Dyer, K.R., 1998. Observation of the long term and short term change in bed elevation of a macro-tidal mudflat In: Abstracts of Papers fur The Fifi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ay 26-30, 1998, Seoul, Korea, 29-30 

  18. Davies, J.S., 1964. A morphogenic approach to world shorelines. Z. Geomorph, 8, 127-142 

  19. Dyer, K.R., 1979. Estuarine Hydrography and Sedimentation, Cambridge Univesity press. 160 p 

  20. Evans. G, 1965. Tidal flat sediments and their environments of deposition in the Wash. Quat Jour. Soc., London, 121, 209-241 

  21. Evans, G and Collins, M.B., 1976. The transportation and deposition of suspended sediment over the intertidal flats of the Walsh. In: J. Hails and A. Carr (Eds), Nearshore Sediment Dynamics and Sedimentation. John Wiley, 273-306 

  22. Greon, P., 1967. On the residual transport of suspended matter by an alternating tidal current.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3, 364-374 

  23.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Carver, R.E. (ed.). Proces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ley-Inter Science. 49-67 

  24. Kim, J.L. and Park, S.C., 1985. Intertidal flat sediments and characteristic sedimentary structures in the Changgu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 pp. 43-49 

  25. Klein, G. deV. and Sanders, J.E., 1964. Comparison of sediments from Bay of Fundy and Duch Wadden Sea tidal flat.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4, 19-24 

  26. Larsonneur, C., 1994. The bay of Mont-Saint-Mitchel: A sedimentation model in a temperate macrotidal environment. Senckenbergiana rnarit., b.24, Frankfurt a. M, pp. 3-63 

  27. Lee, H,J. Chu, Y.S., and Park, Y.A., 1999. Sedimentary proces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157: 171-184 

  28. Lee, H.J., Shoo, S.S., Chang, J.R and Han, S.J., 1994, Landward migration of isolated shelly sand ridge( chenier)on the macrotidal flat of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controls of storms and typoon,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64, 886-893 

  29. Lee, Y.G, Chu, Y.S., Jung, K.K., Woo, H.J. and Lee, H.J., 2000. Depositional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s and Foraminiferal Imprint of Estuarine Circulation by Summer Floods in Yoja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5. pp. 109-123 

  30. Oost, A.P. and deBoer, P.L., 1994. Sedimentology and development of barrier islands, ebb-tidal daltas, Inlets and backbarrier areas of the Duch Wadden sea. Senckenbergiana marit., b.24, Frankfurt a. M., pp. 65-115 

  31. Postama, H., 1961,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suspended matters in the Dutch Waden Sea,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1, 148-196 

  32. Reineck, H.E., 1967. Layered sediments of tidal flats, beaches, and shelf bottoms of the North Sea. In: Lauff, G.H. (Ed.), Estuaries. Amer, Assoc. Adv. Sci. Publ. 83, Washington, D.C., pp. 191-206 

  33.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 in semi-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481-492 

  34. van Straaten, L.M.J.U. and Kuenen, P.H., 1957. Accumulation of fine grained sediments in the Duch Wadden Sea. Geol. Mijnbouw, 19, 319-324 

  35. van Straaten, LM.J.U. and Kuenen, P.H., 1958. Tidal action as a cause of clay accumulation.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8, 406-413 

  36. Viles, Heather and Tom Spencer, 1995. Coastal Problems: Geomorphology, Ecology and Society at the Coast. John Wiley & Sons, 360 p 

  37. Wells, J.T. Adams Jr., C.E., Park, Y.A. and Frankenberg, E.W., 1990.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tidal channel process on a high-tide-range mudflat, west coast of South Korea. Marine Geology, 95, 111-130 

  38. Yang, B.C. and Chun, S.S., 2001. A seasional model of surface sedimentation on the Baeksu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Geosciences Journal, 5,251-262 

  39. Yeo, R.K. and Risk, M.J., 1981. The sedimentology, stratigraphy and preservation of intertidal deposits in the Minas Basin system, Bay of Fundy,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 51. p. 245-2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