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30년간 한반도 일 강수강도의 지역적 특성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Daily Precipitation Intensity in Korea for Recent 30 Year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6 no.5, 2005년, pp.404 - 416  

김은희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맹기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우섭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최근 30년 동안 21개 지상관측소 일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강수일수 및 강수강도의 지역성 및 계절성을 조사하였다. 일강수량 80 mm를 기준으로 다우와 소우로 나누어 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강수일수 및 강도의 일차 선형경향도 함께 연구하였다. 호남 지방에서 소우에 의한 강수일수는 모든 계절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많으며, 특히 가을과 겨울철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컸다. 그러나 다우에 의한 강수일수는 대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 지역에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안 지방에서 강수량은 많고 강수일수가 적어 강수강도가 모든 계절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연강수량에 대한 기여도는 다우와 소우 모두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최근 30년간 대부분 지역에서 연강수량은 증가하는 선형경향을 보였는데, 대부분 다우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의 연 강수일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선형경향을 보이지만, 다우에 의한 연 강수일수는 증가하는 선형경향을 보였다. 특히 충청과 경기지방에서 강수강도의 선형경향이 유의한 지역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집중호우에 대한 위험도가 적지 않은 지역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s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Korea, terms of the amount of precipitation per day, number of days, and intensity was analyzed using precipitation data from 1971 to 2000.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linear trend of these data was also investigated using the analysis of ...

주제어

참고문헌 (14)

  1. 기상청 기상연구소, 2004, 한국의 기후. 109-128 p 

  2. 김우철, 김재주, 박용욱, 박성현, 송문섭, 이상열, 이영조, 전종우, 조신섭, 2000, 현대통계학. 영지문화사, 서울, 290-291 p 

  3. 문영수, 이병곤, 권혜영, 1995, 강수량의 장기변동에 의한 한국의 지역구분. 한국지구과학지, 16 (1), 38-43 

  4. 박순웅, 정창희, 1984, 동계한파 내습시 황해상에서의 공기의 변질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20 (2), 35-50 

  5. 박종길, 문승의, 1989, 우리나라 태풍에 의한 강수의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25 (2), 45-55 

  6. 소선섭, 이영기, 1998, 영동 지방에서 발생한 국지적 호우의 사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9 (6), 590-609 

  7. 이광호, 김문일, 1982, 집중호우의 종관기후학적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18 (2), 11-17 

  8. 정영근, 1999, 호남지방 대설 발생의 종관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0 (4), 398-410 

  9. 정지현, 2004, 한반도 강수의 최근 특성과 시간변동.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이학석사학위논문, 51 p 

  10. 차은정, 최영진, 오재호, 2000, 한반도 여름철 집중호우의 시간.공간 변동 특성 연구. 한국기상학회 2000년도 봄 초청강연 및 학술발표회, p. 19-21 

  11. 최영은, 민승기, 남경엽, 권원태, 2002, 남부지방 일강수량과 호우의 경향분석. 대기(한국기상학회보), 12 (1), 192-195 

  12. 최영진, 문자연, 2000, 한국의 여름철 일 강우강도 변화 경향. 한국기상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가을 학술발표회, p. 339-341 

  13. 허창회, 강인식, 1988,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 (1), 38-48 

  14. Easterling, D. R., J. L. Evans, P. Ya Groisman, T. R. Karl, K. E. Kunkel and P. Ambenje, 2000, Observed variabil¬ity and trends in extreme climate events: A brief review.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1 (3), 417-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