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s of Mesoscale Convective Complex Development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6 no.7, 2005년, pp.698 - 705  

이순환 (조선대학교 아시아몬순기후환경연구센터) ,  원효성 (광주지방기상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집중호우를 유발시키는 중규모대류복합체는 매우 복잡한 특성을 띠고 있다. 2004년 7월 14일 발생한 중 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a) 대류복합체 생성 전에 강한 남서기류의 유입이 있었으며, b) 600hPa고도에서 강한 역전층이 나타났다. 역전층은 상층과 하층간의 상당온위의 차이를 유발하여 대기불안정을 더욱 강화시켰다. 그리고 c) 일반적인 중규모대류복합체 특징인 풍향의 쉬어보다는 풍속의 쉬어에 의해 대류계의 열역학 불안정이 강화되었다. 그리고 d) 흑산도 등 해안지방에 의해 유발되는 난류 및 대기불안정으로 인하여 중규모 대류복합체가 해안지방에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지형에 의한 중규모 대류 복합체의 발달메커니즘 규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vy rain fall in the Korean Peninsula often occurs in the summer season due to MCC (Mesoscale Convective Complex) with complex mechanism. W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ing mechanism of MCC occurred at 14 July 2004.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re is strong wind inflow from th...

주제어

참고문헌 (12)

  1. 김남욱, 1994, 1991년 7월21일 수원지방에 집중호우를 일으킨 뇌우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1 p 

  2. 류찬수, 신유미, 이순환, 2004, 해안지형 복잡성이 중규모 순환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연구. 한국기상학회지, 40 (1), 71-86 

  3. 류찬수, 원효성, 이순환, 2005, 호남지방 고층관측 자료동화가 수치기상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 (1), 66-77 

  4. 홍성유, 1992: 한반도에서 발생한 집중호우의 수치 모의 실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6 p 

  5. Anderson, C.J., and Arritt, R.W., 1998: Mesoscale convective complexesand persistant elongated convective systems over United States during 1992 and 1993, Monthly Weather Review, 126,578-599 

  6. Cotton, W.R. and Anthes, R.A., 1989: Storm and cloud dynamics, Academic Press, 880 PP 

  7. Dudhia, J., Gill, D., Guo, Y.R., Manning, K., and Wang, W., 2000, PSU/NCAR mesoscale modeling system tutorial class note and users guide, Mesoscale and Microscale Meteorology Division, NCAR, 5-12 

  8. Gray, M.E.B., and Marshall, C., 1998: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over the UK, 1981-97, Weather, 53, 388-396 

  9. Laing, A.G., and Fritsch, J.M., 2000; The large-scale environment of the global population of mesoscale complexes, Quarterly Journal Royal Meterological Society., 123, 387-405 

  10. Lee, S.H., Kobayashi, T., Chino, M., and Ryu, C.S., 2005: Ocean model coupling with atmospheric model for prediction of radioactivity contaminant dispersion in emergency, Journal of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42 (8), 732-744 

  11. Lucas, C., May, P.T., and Vincent, R.A., 2001: An algorithm for the detection of front in wind profiler data. Weather Forecasting 16, 234-347 

  12. Mohr, K.I., and Zipser, E.J., 1996,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defined by their 85GHz ice scattering signature: Size and intensity comparison over tropical oceans and continents, Monthly Weather Review, 124, 2417-24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