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 스틸(De Stijl) 사조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De Stijl Styl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4 no.6 = no.53, 2005년, pp.29 - 36  

김흥섭 (세명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riginal members of the De Stijl group, formed in neutral Holland during the First World War, included the painters Piet Mondrian, Bart van Leck and Theo van Doesburg, and the architects J.J.P. Oud and Jan Wils. The aim of the group was to create a language of form and color applicable to eve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술과 생활을 접근시키고자 한 그들의 이상은 이루지 못했으나, 그 영향은 이후 건축가들에게 크게 미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데 스틸 건축의 형태구성 방법 분류를 통해 나타나는 건축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 몬드리안에 의해 주창되었던 신조형주의(Neo-Plasticism)와 반 되스버그가 주장했던 요소주의 (Elementalism), 그리고 추상 적 환경의 창조라는 목표아래 데 스틸의 예술가들 사이에서 중 요하게 다루어졌던 기념비적인 예술(Monumental Art)의 건축 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 특히 건축의 형태구성과 시간성을 도입한 4차원적 공간 개념은 오늘날 합리주의의 새로운 틀을 정립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모더니즘 건축의한 부류였던 데 스틸을 선정하여 데 스틸 건축의 형태구성 및 공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 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조형수단에 있어서 이원적 대립은 구성에 있어서도 필요하다.
  • 넷째, 라이트(FL Wright)와 베를라헤(HP Berlage)의 건축 적 영향력이다. 라이트는 1910년대 중반에 네덜란드의 건축가 들과 디자이너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으며, 로베르트 반 호프(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상길, 데 스틸 건축의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론, 1985 

  2. 김영태, 현대건축에 있어서 탈 큐빅 공간형태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론, 1988 

  3. 신안준, 근대건축에 있어서 데 스틸운동의 의의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론, 1984 

  4. 최재석, 네덜란드의 근대건축에 관한 연구(데 스틸 건축전에 관하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8권 4호, 1992 

  5. 최재석, 네덜란드의 근대건축에 관한 연구(오벳트 개조계획을 중심으 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8권 11호, 1992 

  6. 윤재희.지연순, 데 스틸운동과 건축, 세진사, 서울, 1994 

  7. 정인국, 근대건축론, 문운당, 서울, 1997 

  8. Bruno Zevi, The Modern Language of Architecture (건축의 현대언어), 이해성 역, 세진사, 서울, 1992 

  9. H. B. Chipp, Theories of Modern Art, L.A U.C.L.A Press, 1968 

  10. Herbert Read, A Concise History of Modern Painting (현대회화의 역사), 김윤수 역, 도서출판 까치, 서울, 1990 

  11. Reyner Banham, Theory and Design in the First Machine Age (제1 기계시대의 이론디자인), 윤재희.지연순 공역, 집문사, 서울, 1990 

  12. W. Kandinsky, Punkt and Linie zu Fla``che(점, 선, 면), 차봉희 역, 열화당, 서울, 1992 

  13. 信定宏郞, 몬드리안과 데 스틸, 現代デザィン論理のエツセソス(현대디 자인 이론의 사상가들), 박대순 역, 미진사, 서울, 1991 

  14. John Pile, A History of Interior Design(실내디자인사), 홍승기 역, 서 우사, 서울,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