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ast Square Collocation에 의한 GPS/Leveling의 정확도 개선
Accuracy Improvement of GPS/Levelling using Least Square Collocation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3 no.4, 2005년, pp.385 - 392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이동하 (성균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중력데이터를 사용하여 중력지오이드모델을 개발하고, GPS/Leveling데이터를 사용하여 개선한 KGEOID05모델을 계산하였으며, 그 정밀도를 분석하였다. KGEOID05는 중력지오이드모델에 보정항을 더하여 계산하였으며, 보정항은 GPS/Levelling에 의하여 구한 지오이드고와 중력지오이드고의 차이를 사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모델링을 위한 통계학적 함수는 Markov 2차공분산 함수에 기초한 least squares collocation방법을 사용하였다. 총 373점의 GPS관측점을 보정항 모델링에 사용하였으며, 정밀도분석결과 KGEOID05의 정밀도는 11cm로 계산되었다. $2{\sim}3$점의 수준점에 대한 GPS관측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적으로 KGEOID05모델에 대한 fitting을 실시할 경우에 GPS관측에 의한 $2{\sim}3cm$ 정밀도의 표고측정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an accuracy analysis of newly developed gravimetric geoid and an improvement of developed geoid using GPS/Levelling data. We developed the KGEOID05 model corrected with the correction term. The correction term is modell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GPS/Levelling derived geoi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2003년까지 200점의 수준 점에서 측정한 GPS관측데이터를 처리하여 Least Square Collocation방법(Tscheming, 1994)에 의한 모델링을 적 용하고, GPS/Levelling에 의한 정표고 결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인 GPS/Levelling의 개념은 그림 1에 표시한 바와 같다.
  • 현재 우리나라의 측량작업 규정에는 GPS/Levelling에 관한 명확한 작업규정이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GPS/Levelling 의 실용화를 위한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으나 표준화된 방법이나 규정들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Levelling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 로서 중력지오이드의 계산과 정확도 평가 및 Least Square Collocation기법을 기반으로 한 GPS/Levelling점의 Surface fitting을 실시하여 GPS/Levelling의 실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자료의 획득이 어려운 관 계로 장비의 조정을 고려하지 않았다.

가설 설정

  • 정밀수준측량의 경우에 ±2cm의 표고차는 불충분한 정확도(Tscheming et al, 2001)이므로 미국의 NGS에서는 타원체고의 결정을 위한 작업규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작 업규정은 관측에 관한 작업규정과 데이터처리규정(vector processing)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미국의 High Accuracy Reference Network(HARN)과 GP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CORS)가 완전하게 구축되는 것을 가 정하여 작성되었다. 수준측량에 사용되는 수준점은 'A, 등급 (한국의 1등에 해당)의 정표고를 가지는 수준점이어 야 하며, 정확한 지오이드고차 을 결정하기 위하여는 정확한 수평좌표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최재화, 윤홍식, 이석배 (1996), FFT에 의한 한반도 일원에서의 중력지오이드 결정, 한국측지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49-58 

  2. Arabelos, D. and C. C. Tscherning (1998), The Use of Least Suqares Collocation Method in Global Gravity Field Modeling Phys. Chem. Earth, Vol. 23, No. 1, pp. 1-12 

  3. Benahmed Daho S.A. and S. Kahlouche (1998), The gravimetric geoid in Algeria: First Results. Geodesy on the Move. IAG Scientific Assembly, Rio de Janeiro, September 3-9 

  4. Forsberg R., C. C. Tscherning and P. Knudsen (2003), An Overview Manual of the GRAVSOFT, Kort & Matrikelstyrelsen 

  5. Forsberg, R. (1985), Gravity field terrain effect computations by FFT, Bull. Geod., 59, pp. 342-360 

  6. Forste C., F. Flechtner, R. Schmidt, U. Meyer, R. Stubenvoll, F. Barthelmes, R. Konig, K.H. Neumayer, M. Rothacher, Ch. Reigber, R. Biancale, S. Bruinsma, J.M. and Lemoine, J.C. Raimondo (2005), A New High Resolution Global Gravity Field Model Derived From Combination of GRACE and CHAMP Mission and Altimetry/Gravimetry Surface Gravity Data, EGU General Assembly 2005, Vienna, Austria, pp. 24-29 

  7. Heiskanen, W.A. and H. Moritz (1967), Physical Geodesy, W.H. Freeman and Co., San Fransisco 

  8. Henning, W. E., E. E. Carlson and D. B. Zilkoski (1998) Baltimore County, Maryland, NAVD 88 GPS-derived Orthometric Height Project, Surv. Land Info. Sys., Vol. 58, No. 2, pp. 97-11 

  9. Kearsley, A.H.W. (1988), The determination of the geoid-ellipsoid separation for GPS levelling, The Australian Surveyor, 34(1), pp. 11-18 

  10. Omang, O. C. D. and R. Forsberg (2000), How to handle topography in practical geoid determination: three examples, Bull. Geod., 74, pp. 458-466 

  11. Tschering C. C., A Radwan, A. A. Tealab, S. M. Mahmoud, M. Abd EL-Monum, Ramdan Hassan, I. EI-Syad and K. Saker (2001), Local geoid determination combining gravity disturbances and GPS/Levelling: a case study in the Lake Nasser area, Aswan, Egypt, Bull. Geod., 75, pp. 343-348 

  12. Tscheming, C. C. (1994), Gravity field modelling with GRAYSOFT least-squares collocation. Lecture Notes, International School for the Determination and Use of the Geoid, Milano, Oct. 10-15. International Geoid Service, pp. 101-134 

  13. Yun, H. S. (1994), Determination of Gravimetric Geoid Solution in South Korea, Gravity and Geoi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desy, Symosia. 113, IUGG and IAG, Springer, Berlin 

  14. Yun, H. S. (1999), Precision geoid determination by spherical FFT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Earth Planets Space, 51, pp. 13-18 

  15. Zilkoski, D. (2001), Vertical Datums. In Digital Elevation Model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The OEM User Manual, Published by American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MAUNE, D. Eds. Bethesda, MD. pp. 35-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